머신러닝 1번 문제
머신러닝의 일반적이고 전체적인 처리과정 그림 1-3을 알고지즘의 수행단계로 나타내시오
참조.교재 120,138,152,224쪽
교재가 없으니 참조도 못하고 답답하기만 합니다..
교재있으신분은 참조된곳 교재 사진이라도 좀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머신러닝 1번 문제
머신러닝의 일반적이고 전체적인 처리과정 그림 1-3을 알고지즘의 수행단계로 나타내시오
참조.교재 120,138,152,224쪽
교재가 없으니 참조도 못하고 답답하기만 합니다..
교재있으신분은 참조된곳 교재 사진이라도 좀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필독) 공지 모음 / 코인(포인트) 얻는 방법 및 입문서 417 | 게시판관리 | 7717 | 2022.12.24 | |
공지 | 커뮤니티를 홍보하고 포인트를 적립해보세요 73 | 게시판관리 | 3396 | 2023.09.20 | |
공지 |
글쓰기 에디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37 ![]() |
게시판관리 | 2441 | 2024.03.11 | |
공지 |
📢 정치 게시글 관련 운영 방침 및 아고라학당 (정치토론장) 안내
![]() |
게시판관리 | 179 | 2025.06.21 | |
912 | 과공지 | 방송통신대학교 컴퓨터학과, 혼자 공부하지 말고 함께해요 | 게시판관리 | 23 | 2025.07.03 |
911 | 일반 |
책 판매합니다 ! 워크북 있어요 :)
2 ![]() |
고양이츄르 | 2745 | 2025.07.01 |
910 | 과공지 | [K-MOOC] <컴퓨터로 여는 미래사회> 강좌 오픈 | comet | 4290 | 2025.06.25 |
909 | 일반 | 계절학기 질문드립니다. 3 | Mumung | 1560 | 2025.06.24 |
908 | 질문 | 과제물 | 미라클i | 226 | 2025.06.19 |
907 | 3학년 | 가입인사 2 | Tapper | 182 | 2025.06.18 |
906 | 일반 | 시험후기~ 1 | 펄반 | 260 | 2025.06.16 |
905 | 3학년 | 3학년 편입 후 첫 기말고사 후기 2 | 추추 | 282 | 2025.06.16 |
904 | 1학년 | 기말고사 2 | 파이션 | 253 | 2025.06.15 |
903 | 자료 | 자료 요청 하신 분들께 양해를 구합니다. 1 | 예린지 | 253 | 2025.06.15 |
902 | 일반 | 안녕하세요! 가입인사 드립니다. 1 | 마니 | 176 | 2025.06.14 |
901 | 일반 | 가입인사 드립니다!! | 전북아자아자 | 170 | 2025.06.14 |
900 | 일반 | 안녕하세요 컴퓨터과학과 2학년입니다 1 | 떨롱떨롱 | 219 | 2025.06.14 |
899 | 일반 | 강의자료실에있는 기출문제들 PDF 로 구할방법은 없나요 ?? 3 | Mumung | 269 | 2025.06.14 |
898 | 일반 | 처음 뵙습니다 1 | 주저씨 | 180 | 2025.06.13 |
897 | 자료 |
Java프로그래밍 기출문제풀이 2015년
1 ![]() |
추추 | 214 | 2025.06.13 |
896 | 자료 |
컴퓨터의이해_기말풀이
![]() |
추추 | 250 | 2025.06.13 |
895 | 자료 |
알고리즘 기말고사 기출문제 풀이
2 ![]() ![]() |
추추 | 233 | 2025.06.13 |
894 | 3학년 | 운영체제 2019년 기말시험풀이 | 추추 | 214 | 2025.06.13 |
893 | 3학년 | 운영체제 2018년 기말시험풀이 | 추추 | 175 | 2025.06.13 |
저는 이쪽에 관심있어서 방송통신대학교 전자도서관에서 책을 대출했었습니다.
그때 관심있는 내용은 개인적으로 정리해두었습니다.
혹시 도움이 될까 공유해 드립니다. 아래는 제가 이전에 커뮤니티에 올린전자도서관 이용방법 링크입니다.
- https://c-knou.com/socialwelfare/949302
먼저 그림 1-3은 다음과 같습니다. 머신러닝의 전체적인 처리과정에 대한 그림입니다.
참조 교재 페이지에 나와있는 내용은 목차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아마도 타이틀만 봐도 위의 그림과 어느정도 매칭되는 느낌을 받으실 것 같습니다.
- 교재 120 : 로지스틱 회귀
- 교재 138 : 계층적 군집화
- 교재 152 : 주성분 분석
- 교재 224 : SVM에 의한 분류
제가 컴퓨터과학과 머신러닝 수업을 직접 들을 수 없으니 정확한 답변은 아닐 수 있습니다. 감만 잡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학습할 데이터를 수집하고 학습하는 '학습단계'에 대한 설명입니다.
먼저 학습데이터를 수집하고 학습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이것을 이용하 학습을 진행한 후 결정함수를 만들게 됩니다.
학습을 잘 하기 위해서 학습데이터에 전처리(예를 들어 데이터 정규화)를 수행하게 됩니다.
학습 과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학습 데이터 수집
2. 학습 데이터 전처리(예시 : 데이터 정규화)
3. 특징 추출 (예시 : 좌표, 이미지 컬러, 코너점, 각도 등등)
4. 학습 (예시 : 회귀, 군집화, 분류기)
5. 결정함수 (예시 : 회귀, 군집화, 분류기)
- 학습과 결정함수의 예시를 동일하게 작성한 이유 : "데이터 분류기를 학습하므로, 학습 결과는 데이터 분류기 입니다."
- 학습과정에서 앙상블 학습(여러 분류기 결합)이 포함될 수 도 있습니다.
이제 학습한 결과로 실제 데이터에 테스트해 보는 '추론단계'에 대한 설명입니다.
테스트할 데이터에 대해 학습할 때 와 동일한 전처리를 수행하고, 특징 추출 후 결정함수에 넣고 결과값 확인(추론)합니다.
1. 테스트할 데이터 준비
2. 데이터에 전처리 (학습 과정도 동일한 전처리 수행)
3. 데이터에서 특징 추출
4. 위의 '학습단계'에서 학습한 결정함수(분류/회귀/군집화)를 수행하여 판단
일반적인 이론에 대해 설명드린 것이므로 세부적인 용어나 표현은 수업 내용과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제가 요즘 일이 많아서 커뮤니티 활동을 잘 못하지만 더 궁금하신 내용이 있다면 글 남겨주세요. 쪽지 주셔도 됩니다.
가능한 선에서 도움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