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도부현 정리와 쓰기 연습, 길나에서 발췌한 백지도 같이 올려 드립니다.
3장. 지역사회의 경제활동
목차
1. 지역간 경제격차의 구조
2. 지역간 인구격차
3. 주요 공업지역
4. 주요 농업지역
5. 과소지역의 과제
1. 지역간 경제격차의 구조
(1) 산업별 인구구성
[표 1] 제1차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0년)
높은 지역
비율(%)
낮은 지역
비율(%)
1위
青森県
13.0
東京都
0.4
2위
高知県
12.4
大阪府
0.5
3위
岩手県
12.2
神奈川県
0.9
4위
宮崎県
11.8
埼玉県
1.8
5위
熊本県
10.5
兵庫県
2.1
⇒ 제1차산업 비중이 높은 곳은 도호쿠지방, 규슈지방, 산인지방, 시코쿠지방
[표 2] 제3차 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0년)
높은 지역
비율(%)
낮은 지역
비율(%)
1위
東京都
82.0
山形県
60.5
2위
沖縄県
79.2
長野県
60.7
3위
神奈川県
76.5
福島県
62.0
4위
千葉県
76.4
栃木県
62.2
5위
福岡県
76.0
富山県
62.4
⇒ 제3차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은 대도시권을 형성하고, 주변에 대규모 공업지역이 형성되어 있음
[표 3] 제2차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0년)
높은 지역
비율(%)
낮은 지역
비율(%)
1위
滋賀県
34.5
沖縄県
15.4
2위
富山県
34.1
高知県
17.5
3위
静岡県
33.7
東京都
17.6
4위
愛知県
33.6
北海道
18.1
5위
岐阜県
33.6
長崎県
20.2
⇒ 제2차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은 공업도시를 형성하고 있는 중소도시가 있는 경우
(2) 부문별 경제규모
[표 4] 농업 생산액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2년)
높은 지역
경제규모
(백억 엔)
낮은 지역
경제규모
(백억 엔)
1위
北海道
105
東京都
3
2위
茨城県
43
大阪府
3
3위
鹿児島県
41
奈良県
4
4위
千葉県
40
福井県
5
5위
熊本県
32
石川県
6
[표 5] 공업제품 생산액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2년)
높은 지역
경제규모
(백억 엔)
낮은 지역
경제규모
(백억 엔)
1위
愛知県
4,003
高知県
49
2위
神奈川県
1,746
鳥取県
69
3위
大阪府
1,602
島根県
98
4위
静岡県
1,571
秋田県
112
5위
兵庫県
1,435
宮崎県
144
[표 6] 상품 판매액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07년)
높은 지역
경제규모
(백억 엔)
낮은 지역
경제규모
(백억 엔)
1위
東京都
18,135
鳥取県
135
2위
大阪府
6,030
島根県
142
3위
愛知県
4,319
高知県
159
4위
福岡県
2,213
徳島県
165
5위
神奈川県
2,105
佐賀県
184
[표 7] 1인당 현민소득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1년)
높은 지역
경제규모
(백억 엔)
낮은 지역
경제규모
(백억 엔)
1위
東京都
437
沖縄県
202
2위
静岡県
316
高知県
220
3위
愛知県
311
宮崎県
221
4위
滋賀県
307
鳥取県
223
5위
富山県
306
長崎県
235
2. 지역간 인구격차
(1) 47개 도도부현의 인구격차
: 지역간 경제격차의 구조는 인구격차로 나타남
1) 일본인구의 추이
• 1955년 8,411만 명 → 1980년 1억 1,706만 명 → 2008년 1억 2,808만 명
• 2060년 8,674만 명이 될 것으로 예상됨
⧯ 인구가 500만 명이 넘는 지역(9) - 7개 지역이 3대 도시권에 해당하는 지역
: 홋카이도, 도쿄도, 사이타마현, 치바현, 가나가와현, 아이치현, 오사카부, 효고현, 후쿠오카현 인구
⧯ 100만 명 이하 현
: 후쿠이현, 야마나시현, 와카야마현, 시마네현, 돗토리현, 도쿠시마현, 가가와현, 고치현, 사가현
⧯ 인구 150만 명 이하 현
: 아오모리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이와테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시가현, 나라현, 에히메현, 나가사키현,
오이타현, 미야자키현, 오키나와현
[표 8] 인구증가율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 ( 1~5위, 2013)
인구증가 지역
비율(%)
인구감소 지역
비율(%)
東京都
0.53
秋田県
-1.18
沖縄県
0.44
青森県
-1.04
愛知県
0.21
山形県
-0.90
埼玉県
0.14
高知県
-0.89
神奈川県
0.13
和歌山県
-0.84
2) 고령자(65세이상) 비율의 추이
• 1970년의 7.1% → 1980년의 9.1% → 1990년의 12.0% → 2000년 17.3% → 2013년의 25.1%
• 2060년에는 39.9%가 될 것으로 예상됨
[표 9] 고령자 비율이 높은 도도부현과 낮은 도도부현 ( 1~5위, 2013)
높은 도도부현
비율(%)
낮은 도도부현
비율(%)
秋田県
31.6
沖縄県
18.4
高知県
31.1
東京都
21.9
島根県
30.9
愛知県
22.3
山口県
30.2
神奈川県
22.4
和歌山県
29.4
滋賀県
22.5
3) 3대 도시권 - 대규모 임해공업지역을 끼고 있어 인구가 집중됨
① 도쿄권: 도쿄도, 가나가와현, 사이타마현, 치바현
② 오사카권: 오사카부, 교토부, 효고현, 시가현, 나라현
③ 나고야권: 아이치현, 기후현, 미에현
4) 태평양벨트 지역
• 공업지역을 중심으로 대도시를 형성
• 인구가 증가하거나 인구감소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음
• 고령자 비율도 상대적으로 낮음
• 지역주민의 소득도 상대적으로 높음
5) 그 이외 지역
• 공업화로부터 탈락되어 제1차산업이 중심 산업
• 인구감소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큼
• 고령자 비율이 높음
• 지역주민의 소득도 상대적으로 낮음
(2) 주요 대도시
⧯ 정령지정도시(政令指定都市)
• 인구 50만 명 이상의 도시에 대해 정령으로 지정
• 도도부현에 속하는 사무권한의 일부를 위임받아 자율적으로 시행
• 행정사무의 편의를 위해 행정구를 설치할 수 있음
• 2013년 정령지정도시는 20개
그림입니다.
목차
1. 지역간 경제격차의 구조
2. 지역간 인구격차
3. 주요 공업지역
4. 주요 농업지역
5. 과소지역의 과제
1. 지역간 경제격차의 구조
(1) 산업별 인구구성
[표 1] 제1차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0년)
높은 지역
비율(%)
낮은 지역
비율(%)
1위
青森県
13.0
東京都
0.4
2위
高知県
12.4
大阪府
0.5
3위
岩手県
12.2
神奈川県
0.9
4위
宮崎県
11.8
埼玉県
1.8
5위
熊本県
10.5
兵庫県
2.1
⇒ 제1차산업 비중이 높은 곳은 도호쿠지방, 규슈지방, 산인지방, 시코쿠지방
[표 2] 제3차 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0년)
높은 지역
비율(%)
낮은 지역
비율(%)
1위
東京都
82.0
山形県
60.5
2위
沖縄県
79.2
長野県
60.7
3위
神奈川県
76.5
福島県
62.0
4위
千葉県
76.4
栃木県
62.2
5위
福岡県
76.0
富山県
62.4
⇒ 제3차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은 대도시권을 형성하고, 주변에 대규모 공업지역이 형성되어 있음
[표 3] 제2차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0년)
높은 지역
비율(%)
낮은 지역
비율(%)
1위
滋賀県
34.5
沖縄県
15.4
2위
富山県
34.1
高知県
17.5
3위
静岡県
33.7
東京都
17.6
4위
愛知県
33.6
北海道
18.1
5위
岐阜県
33.6
長崎県
20.2
⇒ 제2차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은 공업도시를 형성하고 있는 중소도시가 있는 경우
(2) 부문별 경제규모
[표 4] 농업 생산액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2년)
높은 지역
경제규모
(백억 엔)
낮은 지역
경제규모
(백억 엔)
1위
北海道
105
東京都
3
2위
茨城県
43
大阪府
3
3위
鹿児島県
41
奈良県
4
4위
千葉県
40
福井県
5
5위
熊本県
32
石川県
6
[표 5] 공업제품 생산액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2년)
높은 지역
경제규모
(백억 엔)
낮은 지역
경제규모
(백억 엔)
1위
愛知県
4,003
高知県
49
2위
神奈川県
1,746
鳥取県
69
3위
大阪府
1,602
島根県
98
4위
静岡県
1,571
秋田県
112
5위
兵庫県
1,435
宮崎県
144
[표 6] 상품 판매액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07년)
높은 지역
경제규모
(백억 엔)
낮은 지역
경제규모
(백억 엔)
1위
東京都
18,135
鳥取県
135
2위
大阪府
6,030
島根県
142
3위
愛知県
4,319
高知県
159
4위
福岡県
2,213
徳島県
165
5위
神奈川県
2,105
佐賀県
184
[표 7] 1인당 현민소득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1년)
높은 지역
경제규모
(백억 엔)
낮은 지역
경제규모
(백억 엔)
1위
東京都
437
沖縄県
202
2위
静岡県
316
高知県
220
3위
愛知県
311
宮崎県
221
4위
滋賀県
307
鳥取県
223
5위
富山県
306
長崎県
235
2. 지역간 인구격차
(1) 47개 도도부현의 인구격차
: 지역간 경제격차의 구조는 인구격차로 나타남
1) 일본인구의 추이
• 1955년 8,411만 명 → 1980년 1억 1,706만 명 → 2008년 1억 2,808만 명
• 2060년 8,674만 명이 될 것으로 예상됨
⧯ 인구가 500만 명이 넘는 지역(9) - 7개 지역이 3대 도시권에 해당하는 지역
: 홋카이도, 도쿄도, 사이타마현, 치바현, 가나가와현, 아이치현, 오사카부, 효고현, 후쿠오카현 인구
⧯ 100만 명 이하 현
: 후쿠이현, 야마나시현, 와카야마현, 시마네현, 돗토리현, 도쿠시마현, 가가와현, 고치현, 사가현
⧯ 인구 150만 명 이하 현
: 아오모리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이와테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시가현, 나라현, 에히메현, 나가사키현,
오이타현, 미야자키현, 오키나와현
[표 8] 인구증가율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 ( 1~5위, 2013)
인구증가 지역
비율(%)
인구감소 지역
비율(%)
東京都
0.53
秋田県
-1.18
沖縄県
0.44
青森県
-1.04
愛知県
0.21
山形県
-0.90
埼玉県
0.14
高知県
-0.89
神奈川県
0.13
和歌山県
-0.84
2) 고령자(65세이상) 비율의 추이
• 1970년의 7.1% → 1980년의 9.1% → 1990년의 12.0% → 2000년 17.3% → 2013년의 25.1%
• 2060년에는 39.9%가 될 것으로 예상됨
[표 9] 고령자 비율이 높은 도도부현과 낮은 도도부현 ( 1~5위, 2013)
높은 도도부현
비율(%)
낮은 도도부현
비율(%)
秋田県
31.6
沖縄県
18.4
高知県
31.1
東京都
21.9
島根県
30.9
愛知県
22.3
山口県
30.2
神奈川県
22.4
和歌山県
29.4
滋賀県
22.5
3) 3대 도시권 - 대규모 임해공업지역을 끼고 있어 인구가 집중됨
① 도쿄권: 도쿄도, 가나가와현, 사이타마현, 치바현
② 오사카권: 오사카부, 교토부, 효고현, 시가현, 나라현
③ 나고야권: 아이치현, 기후현, 미에현
4) 태평양벨트 지역
• 공업지역을 중심으로 대도시를 형성
• 인구가 증가하거나 인구감소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음
• 고령자 비율도 상대적으로 낮음
• 지역주민의 소득도 상대적으로 높음
5) 그 이외 지역
• 공업화로부터 탈락되어 제1차산업이 중심 산업
• 인구감소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큼
• 고령자 비율이 높음
• 지역주민의 소득도 상대적으로 낮음
(2) 주요 대도시
⧯ 정령지정도시(政令指定都市)
• 인구 50만 명 이상의 도시에 대해 정령으로 지정
• 도도부현에 속하는 사무권한의 일부를 위임받아 자율적으로 시행
• 행정사무의 편의를 위해 행정구를 설치할 수 있음
• 2013년 정령지정도시는 20개
그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