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미디어의 지위부여기능에 해당되는 것은? ① 미디어는 사람들이 현실에 대한 이미지를 갖게 만든다. ② 사람들 간의 실제 관계를 미디어가 가상으로 대신 해준다. ③ TV에 자주 등장하는 의사를 사람들은 명의라고 생각한다. ④ 미디어의 정보 제공으로 사람들은 지위를 부여한다. 37. ( )에 가장 적절한 것은? 미디어의 ( )은 4대 사회적 기능의 하나이다. 이는 정보제공 차원에서 나아가 사건의 의미를 해석하고 처방해주는 미디어 기능이다. ① 사회발전기능 ② 환경감시기능 ③ 상관조정기능 ④ 문화유산전수기능 38. “미디어 정보는 의견지도자를 거쳐 수용자 대중에게 전달된다.” 이에 해당되는 미디어 효과이론은? ① 정보의 2단계 흐름 이론 ② 이용과 충족 이론 ③ 침묵의 나선형 이론 ④ 문화계발효과 이론 39. 미디어의 사회적 상호작용 강화기능이란? ① 사회구성원들이 공통된 의식구조를 갖도록 한다. ② 공통 화제를 제공하여 사람들 관계를 원활하게 한다. ③ 대면 접촉을 축소시켜 사회적 갈등을 완화시킨다. ④ 사회 정보를 공유하게 하여 사람들을 의식화시킨다. 40. ( )에 가장 적절한 것은? 구텐베르크 인쇄술 발명 이후 ( )가(이) 시작되었다. ① 인류 문명 ② 과학혁명 ③ 신문 시대 ④ 매스미디어 시대 41. 상업광고의 종류가운데 소매광고는 주로 지방도시와 같은 한 도시 전체를 커버하게 될 때에 무슨 광고라 일컬어지는가? ① 블록 광고(block advertising) ② 도시 광고(city advertising) ③ 지방 광고(community advertising) ④ 대형 광고(big advertising) 42. 다음 중 비상업 광고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정치 광고 ② 공공봉사 광고 ③ 거래 광고 ④ 논설 광고 43. 미디어가 객관적인 정치적 정보를 제공하면서, 정치권력의 남용을 견제하는 역할을 일컫는 용어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설득자 역할 ② 감시견(watch dog) 역할 ③ 의제설정 역할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