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TV토론에 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① 케네디와 닉슨의 정치토론이 획기적 전환점이었다. ② 1980년대 미국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③ TV토론으로 방송의 정치적 영향력이 축소되었다. ④ 정치인의 TV토론은 유권자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 37. 방송의 역사에서 「세계의 전쟁(War of Worlds)」과 관련 없는 것은? ① 방송의 사회적 영향을 보여준 대표적 사례 ② 1938년 방송된 미국의 라디오 드라마 ③ 사람들의 공포심을 부추긴 TV 다큐멘터리 ④ 화성인 침입을 다룬 가상 드라마 ※ 38∼40. ( )에 가장 적절한 것은? “디지털화에 따른 방송개념의 변화는 아날로그 → 디지털, 일방향 → 쌍방향, ( 38 ), 무선전파 → ( 39 ), ( 40 )로 특징지을 수 있다.” 38. ① 생산성 확대 → 생산성 축소 ② 독과점 확대 → 독과점 축소 ③ 무한 자산 → 유한 자산 ④ 선택성 제한적 → 선택성 확대 39. ① 광대역망 전송 ② IPTV ③ 유선망 통신 ④ HDTV 40. ① 특화된 수용자 → 소수 수용자 ② 엘리트 수용자 → 일반 수용자 ③ 불특정 수용자 → 특화된 수용자 ④ 일반 수용자 → 불특정 수용자 ※ 41∼43. “( 41 )(이)란 국제적으로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가 전파되어 인기를 끌고 있는 현상을 말한다. 2000년대 후반에는 아이돌 그룹을 중심으로 ( 42 )이(가) 만들어져 확산되었다. 그 성공요인으로 ( 43 ) 등을 꼽는다.” 41. ( )에 가장 적절한 것은? ① K-pop ② 뉴웨이브 ③ 한류 ④ 글로벌문화 42. ( )에 가장 적절한 것은? ① K-pop ② 뉴웨이브 ③ 한류 ④ 글로벌문화 43. ( )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콘텐츠의 높은 완성도 ② 세계화 지향성 ③ 아날로그 미디어의 적극적 활용 ④ 문화 혼종성 글쓰기, 방송의이해 4-1 ※ 44∼45. ( )에 가장 적절한 것은? “( 44 )(이)란 정치인이 지면이나 방송시간을 이용하여 지지를 호소하는 정치 캠페인을 말한다. 이는 ( 45 )이(가) 정치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44. ① 선거방송 ② 정치선전 ③ 정치광고 ④ 여론정치 45. ① 선거방송 ② 통신매체 ③ 매스미디어 ④ 여론정치 46. 공영방송제도의 재원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 ① 시청자 수신료 ② 광고비 ③ 공익자금 ④ 정부조세 47. 방송규제의 이론적 근거에 해당되는 것은? ① 전파자원의 희소성 ② 정보화이론 ③ 경쟁완화이론 ④ 신자유주의 경제 ※ 48∼49. ( )에 가장 적절한 것은? “경쟁 방송사와 장르가 다른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직접 경쟁을 피하면서 수용자를 유인하는 편성전략은 ( 48 ), 반면 같은 장르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경쟁하는 전략은 ( 49 )이다.” 48. ① 구획편성(block programming) ② 대응편성(counter programming) ③ 실력편성(power programming) ④ 줄띠편성(strip programming) 49. ① 구획편성(block programming) ② 대응편성(counter programming) ③ 실력편성(power programming) ④ 줄띠편성(strip programming)
방송의 이해 대체시험(2017).hwp
방송의 이해 기말시험(2019).hwp
방송의 이해 기말시험(2016).hwp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