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2.01 실시된 교육학과 교육심리학 (1학년) 시험문제 해설입니다.
52번 한 문제를 제외하고 모두 기출문제에서 출제되었습니다.
4학년 (영문, 간호, 유아교육) 기말 시험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5번 문제 정답 오기
당초 4번에서 2번으로 정정했습니다. (해설 참조)
58번 문제 정답오기
당초 3번에서 2번으로 정정했습니다.(해설 참조)
교육심리학(1학년) 2019년 기말시험문제 해설
19-1기말36. 다음 중 인간 본성에 관해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14-1기말1) (10-4기말1) (06-4기말1) (03-1기말36) (01-4기말36)
⓵ 맹자(孟子) ⓶ 아우구스틴(Augustine) ⓷ 칼빈(Calvin) ⓸ 순자(荀子)
(해설)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생각은 역사적으로 대단히 오래된 사상이다. 고대 중국의 순자, 서구사회에서의 기독교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는 성 아우구스틴, 칼빈 등은 성악설의 대표적인 사람들이다. 맹자는 인간이란 본래 성인이나 범인이나 다같이 그 성품이 선하기 때문에 각자가 본성적으로 선한 것을 토대로 하여 행동하게 되면 성인도 될 수 있다고 하는 성선설을 주장하고 있다.
정답 ① 3p, 2-5p
19-1기말37. 18세기 중엽, ‘인간은 출생 시에 어질고 선한 성품을 지니고 태어나지만 성인의 풍습과 관습에 오염됨으로써 악하게 된다’는 주장을 한 사상가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16-4기말1, 13-1기말2, 11-4기말1, 08-1기말36) (강의2-1)
① 팡세 ② 섬머힐 ③ 에밀 ④ 국가론
(해설)
Rousseau는 18세기 중엽에 서구사회의 전통적인 성악설에 대해 처음으로 도전한 사상가로서 자연주의 교육관을 펼치고 있는데, 그의 유명한 저서중의 하나는 바로 <에밀>이다.
정답 ③ 4p
19-1기말38. 독립변인을 조작한 결과 종속변인이 얼마나 변화되었는가를 측정하는 것은 어떤 연구방법에 해당하는가? (13-1기말5) (12-4기말4) (09-1기말38) (06-1기말38) (05-4기말2) (01-4기말41)
① 해석적 연구방법 ② 경험적 연구방법 ③ 개념적 연구방법 ④ 인지적 연구방법
정답 ② 32p
19-1기말39. 발달과업에 대한 길모어(Gilmore)의 주장에 의하면 다음 중 청소년기의 특징적인 발달과업에 해당하는 것은? (17-4기말2, 15-1기말38, 14-4기말4) (09-4기말1)
① 자신을 유지하고 타인을 도움 ② 직업적 탐색을 함
③ 언어와 개념을 습득함 ④ 고독에 대처함
(해설)
길모어(Gilmore)는 인간의 발달단계에 따라 성취해야 할 과업을 일, 대인관계, 자기자신의 측면에서 제시하고 있다.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으로는 직업적 탐색을 하고, 성적 정체감을 확립하며, 자아의 독특성을 이해하고 책임 있게 활동하는 것 등이 있다.
정답 ② 14p 표
19-1기말40. 다음 중 연결이 바르게 되어 있는 것은?(16-4기말6, 08-4기말3) 유사
① 각인현상 – 헤비거스트(Havighurst) ② 발달과업 - 로렌츠(Lorenz)
③ 환경경험론 - 겟셀(Gesell) 61p ④ 자연성숙론 - 힐가드(Hilgard) 60p
(해설)
각인현상-로렌츠, 발달과업 – 해비거스트, 겟셀은 자연성숙론과 유전결정론
정답 ④ 60p
19-1기말41. 인간발달에서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과 관련이 있는 인간발달기제는?
(17-4기말6, 16-1기말41, 13-4기말9, 09-1기말42) (06-4기말4) (01-4기말37)
① 적기성 ② 누적성 ③ 기초성 ④ 불가역성
(해설)
인간발달의 기제 중 누적성은 발달의 성공과 실패는 누적되며, 그 둘 간의 차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 커진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학업의 실패를 계속 경험하는 것은 누적된 ‘선행학습의 결손’이 원인일 수 있으며, 만일 결손을 보충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학업적 성공을 경험한 사람과 비교해볼 때 그 성취의 차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욱 커진다.
정답 ② 57p
19-1기말42. 다음 중 써스톤(Thurston)의 일곱 기초정신능력(PMA)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6-4기말7. )
① 어휘력 ② 기억력 ③ 지각속도 ④ 창의력
(해설)
Thurstone은 57개의 지능검사 결과를 요인 분석한 결과 일곱 가지 기초정신능력을 발견했는데, 일곱 가지 기초정신능력(PMA: Primary Mental Ability)은 언어이해력, 추리력, 수리력, 공간지각력, 언어 유창성, 지각속도, 기억력이다.
[이 추수공 유지기] 정답 ④ 66p
19-1기말43. 카텔(Cattell)이 말하는 비교적 모든 문화권에 관련된 보편적인 문제해결능력인 유동적 지능에 해당하는 것은? (16-4기말8)
① 어휘력 ② 수리력 ③ 언어유추력 ④ 일반적 지식
(해설)
유동성 지능은 비교적 모든 문화권에 관련된 보편적인 문제해결능력(예: 언어유추력, 단순 암기력, 도형지각능력 등)을 말한다.
정답 ③ 66p
19-1기말44. 다음 중 서로 관련이 없는 것 하나는? (15-1기말41, 13-4기말8) (07-1기말41)
⓵ 비네(Binet) ⓶ 비율 I.Q ⓷ 정신연령 ⓸ 학습영재아
(해설)
20세기 초, 비네(Binet)는 학습부진아를 판별할 목적으로 최초의 지능검사를 개발하였다. 보통 아동이라면 해결할 수 있는 과제를 어떤 아동이 해결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학습부진아를 가려내고자 한 것이다. 비네(Binet)의 지능검사에서 시도했던 것은 비율 I.Q.(=“정신연령 ÷ 생활연령 x 100”)이다.
정답 ⓸ 68p
19-1기말45.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에서 인지발달의 두 가지 중요한 기제이며 기능적으로 불변하는 것은? (16-4기말12, 16-1기말47, 15-4기말5, 13-1기말10) (11-4기말7) (10-1기말6) (08-4기말9, 07-1기말46)
① 경험과 감각 ② 사고와 감정 ③ 순응과 조직화 ④ 성숙과 환경
(해설)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의하면 인간의 지력발달은 감각동작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의 순으로 발달한다고 한다. 이러한 인지발달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두 가지 기제는 조직과 순응이다. 조직(organization)은 별개의 감각들을 구조 속으로 변형시키고 결합하는 것을 말하고, 순응은 동화와 조절과정을 통하여 유기체가 현실에 적응해 가는 것을 말한다.
정답 ③ 86p
19-1기말46. 스턴버그(Sternberg)는 지능의 3요소의 역할이 강하게 나타난 분석적이고, 창의적이며, 실용적인 능력을 무엇이라고 하였는가? (16-4기말10, 16-1기말48)
① 실제적 지능 ② 경험적 지능 ③ 논리적 지능 ④ 성공적 지능
(해설)
Sternberg(1996)는 지능의 각 요소의 역할이 강하게 나타난 분석적이고, 창의적이며 실용적인 능력을 성공지능(successful intelligence)이라고 명명함
정답 ④ 76p
19-1기말47.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에서 삶과 죽음, 희노애락, 인간의 본성 및 가치에 대해 철학적, 종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과 가장 관련이 깊은 지능은? (16-4기말9)
① 언어적 지능 ② 실존 지능 ③ 대인간 지능 ④ 자연관찰 지능
(해설)
Gardner(1993)는 앞의 일곱 가지 지능 이외에 자연관찰 지능(naturalist intelligence)과 실존지능(existentialist intelligence)을 추가함
-자연관찰 지능 : 동식물이나 주변 사물을 관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능력
-실존지능 : 인간의 존재, 삶과 죽음, 희노애락, 인간의 본성 및 가치에 대해 철학적, 종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
정답 ② 75p 강의
19-1기말48. 평균이 100이고 표준편차가 15인 지능검사의 검사점수가 정상분포를 이루고 있다고 가정할 때, 평균에서 위아래로 1 표준편차씩 떨어진 IQ 85~115사이에는 정상인구의 약 몇 %가 속해있는가? (13-1기말12, 12-4기말10)
① 약 25% ② 약 50% ③ 약 30% ④ 약 68%
정답 ④ 69p
19-1기말49. 피아제(Piaget)의 지력발달이론에서 대상항구성의 개념을 발달시키는 시기는? (15-1기말44, 14-4기말7) (11-1기말9) (10-4기말7) (03-1기말43)
⓵ 전 조작기 ⓶ 감각동작기 ⓷ 구체적 조작기 ⓸형식적 조작기
정답 ⓶ 89-90p
19-1기말50.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에서 전조작기의 주요 발달 특징으로만 묶여진 것은? (16-4기말13, 13-1기말13, 12-4기말12)
① 언어의 발달, 중심화, 가역성 ② 언어의 발달, 탈중심화, 가역성
19-1기말36. 다음 중 인간 본성에 관해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14-1기말1) (10-4기말1) (06-4기말1) (03-1기말36) (01-4기말36)
⓵ 맹자(孟子) ⓶ 아우구스틴(Augustine) ⓷ 칼빈(Calvin) ⓸ 순자(荀子)
(해설)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생각은 역사적으로 대단히 오래된 사상이다. 고대 중국의 순자, 서구사회에서의 기독교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는 성 아우구스틴, 칼빈 등은 성악설의 대표적인 사람들이다. 맹자는 인간이란 본래 성인이나 범인이나 다같이 그 성품이 선하기 때문에 각자가 본성적으로 선한 것을 토대로 하여 행동하게 되면 성인도 될 수 있다고 하는 성선설을 주장하고 있다.
정답 ① 3p, 2-5p
19-1기말37. 18세기 중엽, ‘인간은 출생 시에 어질고 선한 성품을 지니고 태어나지만 성인의 풍습과 관습에 오염됨으로써 악하게 된다’는 주장을 한 사상가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16-4기말1, 13-1기말2, 11-4기말1, 08-1기말36) (강의2-1)
① 팡세 ② 섬머힐 ③ 에밀 ④ 국가론
(해설)
Rousseau는 18세기 중엽에 서구사회의 전통적인 성악설에 대해 처음으로 도전한 사상가로서 자연주의 교육관을 펼치고 있는데, 그의 유명한 저서중의 하나는 바로 <에밀>이다.
정답 ③ 4p
19-1기말38. 독립변인을 조작한 결과 종속변인이 얼마나 변화되었는가를 측정하는 것은 어떤 연구방법에 해당하는가? (13-1기말5) (12-4기말4) (09-1기말38) (06-1기말38) (05-4기말2) (01-4기말41)
① 해석적 연구방법 ② 경험적 연구방법 ③ 개념적 연구방법 ④ 인지적 연구방법
정답 ② 32p
19-1기말39. 발달과업에 대한 길모어(Gilmore)의 주장에 의하면 다음 중 청소년기의 특징적인 발달과업에 해당하는 것은? (17-4기말2, 15-1기말38, 14-4기말4) (09-4기말1)
① 자신을 유지하고 타인을 도움 ② 직업적 탐색을 함
③ 언어와 개념을 습득함 ④ 고독에 대처함
(해설)
길모어(Gilmore)는 인간의 발달단계에 따라 성취해야 할 과업을 일, 대인관계, 자기자신의 측면에서 제시하고 있다.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으로는 직업적 탐색을 하고, 성적 정체감을 확립하며, 자아의 독특성을 이해하고 책임 있게 활동하는 것 등이 있다.
정답 ② 14p 표
19-1기말40. 다음 중 연결이 바르게 되어 있는 것은?(16-4기말6, 08-4기말3) 유사
① 각인현상 – 헤비거스트(Havighurst) ② 발달과업 - 로렌츠(Lorenz)
③ 환경경험론 - 겟셀(Gesell) 61p ④ 자연성숙론 - 힐가드(Hilgard) 60p
(해설)
각인현상-로렌츠, 발달과업 – 해비거스트, 겟셀은 자연성숙론과 유전결정론
정답 ④ 60p
19-1기말41. 인간발달에서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과 관련이 있는 인간발달기제는?
(17-4기말6, 16-1기말41, 13-4기말9, 09-1기말42) (06-4기말4) (01-4기말37)
① 적기성 ② 누적성 ③ 기초성 ④ 불가역성
(해설)
인간발달의 기제 중 누적성은 발달의 성공과 실패는 누적되며, 그 둘 간의 차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 커진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학업의 실패를 계속 경험하는 것은 누적된 ‘선행학습의 결손’이 원인일 수 있으며, 만일 결손을 보충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학업적 성공을 경험한 사람과 비교해볼 때 그 성취의 차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욱 커진다.
정답 ② 57p
19-1기말42. 다음 중 써스톤(Thurston)의 일곱 기초정신능력(PMA)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6-4기말7. )
① 어휘력 ② 기억력 ③ 지각속도 ④ 창의력
(해설)
Thurstone은 57개의 지능검사 결과를 요인 분석한 결과 일곱 가지 기초정신능력을 발견했는데, 일곱 가지 기초정신능력(PMA: Primary Mental Ability)은 언어이해력, 추리력, 수리력, 공간지각력, 언어 유창성, 지각속도, 기억력이다.
[이 추수공 유지기] 정답 ④ 66p
19-1기말43. 카텔(Cattell)이 말하는 비교적 모든 문화권에 관련된 보편적인 문제해결능력인 유동적 지능에 해당하는 것은? (16-4기말8)
① 어휘력 ② 수리력 ③ 언어유추력 ④ 일반적 지식
(해설)
유동성 지능은 비교적 모든 문화권에 관련된 보편적인 문제해결능력(예: 언어유추력, 단순 암기력, 도형지각능력 등)을 말한다.
정답 ③ 66p
19-1기말44. 다음 중 서로 관련이 없는 것 하나는? (15-1기말41, 13-4기말8) (07-1기말41)
⓵ 비네(Binet) ⓶ 비율 I.Q ⓷ 정신연령 ⓸ 학습영재아
(해설)
20세기 초, 비네(Binet)는 학습부진아를 판별할 목적으로 최초의 지능검사를 개발하였다. 보통 아동이라면 해결할 수 있는 과제를 어떤 아동이 해결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학습부진아를 가려내고자 한 것이다. 비네(Binet)의 지능검사에서 시도했던 것은 비율 I.Q.(=“정신연령 ÷ 생활연령 x 100”)이다.
정답 ⓸ 68p
19-1기말45.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에서 인지발달의 두 가지 중요한 기제이며 기능적으로 불변하는 것은? (16-4기말12, 16-1기말47, 15-4기말5, 13-1기말10) (11-4기말7) (10-1기말6) (08-4기말9, 07-1기말46)
① 경험과 감각 ② 사고와 감정 ③ 순응과 조직화 ④ 성숙과 환경
(해설)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의하면 인간의 지력발달은 감각동작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의 순으로 발달한다고 한다. 이러한 인지발달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두 가지 기제는 조직과 순응이다. 조직(organization)은 별개의 감각들을 구조 속으로 변형시키고 결합하는 것을 말하고, 순응은 동화와 조절과정을 통하여 유기체가 현실에 적응해 가는 것을 말한다.
정답 ③ 86p
19-1기말46. 스턴버그(Sternberg)는 지능의 3요소의 역할이 강하게 나타난 분석적이고, 창의적이며, 실용적인 능력을 무엇이라고 하였는가? (16-4기말10, 16-1기말48)
① 실제적 지능 ② 경험적 지능 ③ 논리적 지능 ④ 성공적 지능
(해설)
Sternberg(1996)는 지능의 각 요소의 역할이 강하게 나타난 분석적이고, 창의적이며 실용적인 능력을 성공지능(successful intelligence)이라고 명명함
정답 ④ 76p
19-1기말47.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에서 삶과 죽음, 희노애락, 인간의 본성 및 가치에 대해 철학적, 종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과 가장 관련이 깊은 지능은? (16-4기말9)
① 언어적 지능 ② 실존 지능 ③ 대인간 지능 ④ 자연관찰 지능
(해설)
Gardner(1993)는 앞의 일곱 가지 지능 이외에 자연관찰 지능(naturalist intelligence)과 실존지능(existentialist intelligence)을 추가함
-자연관찰 지능 : 동식물이나 주변 사물을 관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능력
-실존지능 : 인간의 존재, 삶과 죽음, 희노애락, 인간의 본성 및 가치에 대해 철학적, 종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
정답 ② 75p 강의
19-1기말48. 평균이 100이고 표준편차가 15인 지능검사의 검사점수가 정상분포를 이루고 있다고 가정할 때, 평균에서 위아래로 1 표준편차씩 떨어진 IQ 85~115사이에는 정상인구의 약 몇 %가 속해있는가? (13-1기말12, 12-4기말10)
① 약 25% ② 약 50% ③ 약 30% ④ 약 68%
정답 ④ 69p
19-1기말49. 피아제(Piaget)의 지력발달이론에서 대상항구성의 개념을 발달시키는 시기는? (15-1기말44, 14-4기말7) (11-1기말9) (10-4기말7) (03-1기말43)
⓵ 전 조작기 ⓶ 감각동작기 ⓷ 구체적 조작기 ⓸형식적 조작기
정답 ⓶ 89-90p
19-1기말50.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에서 전조작기의 주요 발달 특징으로만 묶여진 것은? (16-4기말13, 13-1기말13, 12-4기말12)
① 언어의 발달, 중심화, 가역성 ② 언어의 발달, 탈중심화, 가역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