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려고 자료 정리하다가 보니 작년엔가 제가 요약한 자료가 있어서 올립니다.
그 때는 기말범위가 3~8강이어서 그것만 요약했네요. 혹시나 해서 시험범위 공지를 찾아보니 1~8강 전범위이네요.
그래서 올리지 말까 하다가 아쉬운대로 도움이 될까해서 올려요. (1~2강 따로 보셔야 하는 거 유념하세요)
열공하세요.!!
< 3장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뿌리 >
1. 우리나라 평생교육제도의 발전과정
1) 근대적 의미의 평생교육 ⇒ 일제강점기를 거쳐 정부를 수립한 이후
① 덴마크의 경우 : 18세기 말 ‘평민대학’으로 전국적인 평생교육체계 갖춤
② 일본의 경우 : 2차 대전 이후 공민관 중심으로 평생교육체제 확립
③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본격적 실시 : 1980년대 「헌법」에 평생교육진흥 조항이 명문화되고, 「사회교육법」이 만들어진 이후
2. 우리나라 전통적인 평생교육의 역사적 사례와 성격
1) 일제하의 이상촌운동
- 일제강점기에 이루어진 농촌운동으로 식민성을 탈피하고 민족자주적 농촌 중심의 지역사회개발운동
① 도산 안창호 ⇒ 이상촌운동의 선구자. 교육이 독립운동을 위한 근간으로 생각하고 민족의 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확고한 투쟁방법을 이상촌운동으로 추구
② 남강 이승훈 ⇒ 도산의 사상을 이어받아 더욱 구체적인 성과를 냄. 오산학교(민족인사들이 세운 비정규학교) 설립하여 지역사회와 공동체를 이룸.
③ 일가 김용기 ⇒ 이상촌 운동의 가장 성공적인 예로, 봉안이상촌(남양주군 봉안마을)에서 현대적 의미의 지역사회조직과 농업협동체제를 실현
④ ‘상록수’의 모델 최용신 ⇒ 경기도 화성에서 YWCA의 지역주민을 위한 교육운동
※ 이상촌에서는 지역 전체 차원에서 평생교육이 매우 다양하면서 조직적, 체계적으로 수행.
2) 우리나라 전통적인 평생교육의 성격
① 평생교육 이론의 핵심적인 기본원리 : 소외계층 지원, 생활중심, 학습자 주체성
② 평생교육 선구자들의 공통점 : 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한 사람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는 점
③ 평생교육의 원형 : 소외계층 배려, 삶의 터전 속에서 문제해결과 협력을 추구하는 공동체 지향.
3. 우리나라 평생교육론의 굴절
- 1990년대에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평생교육 선진국과 맥을 같이하여 빠른 속도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평생교육체제 구축
1. 우리나라 평생교육제도의 발전과정
1) 근대적 의미의 평생교육 ⇒ 일제강점기를 거쳐 정부를 수립한 이후
① 덴마크의 경우 : 18세기 말 ‘평민대학’으로 전국적인 평생교육체계 갖춤
② 일본의 경우 : 2차 대전 이후 공민관 중심으로 평생교육체제 확립
③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본격적 실시 : 1980년대 「헌법」에 평생교육진흥 조항이 명문화되고, 「사회교육법」이 만들어진 이후
2. 우리나라 전통적인 평생교육의 역사적 사례와 성격
1) 일제하의 이상촌운동
- 일제강점기에 이루어진 농촌운동으로 식민성을 탈피하고 민족자주적 농촌 중심의 지역사회개발운동
① 도산 안창호 ⇒ 이상촌운동의 선구자. 교육이 독립운동을 위한 근간으로 생각하고 민족의 역량을 배양해 나가는 확고한 투쟁방법을 이상촌운동으로 추구
② 남강 이승훈 ⇒ 도산의 사상을 이어받아 더욱 구체적인 성과를 냄. 오산학교(민족인사들이 세운 비정규학교) 설립하여 지역사회와 공동체를 이룸.
③ 일가 김용기 ⇒ 이상촌 운동의 가장 성공적인 예로, 봉안이상촌(남양주군 봉안마을)에서 현대적 의미의 지역사회조직과 농업협동체제를 실현
④ ‘상록수’의 모델 최용신 ⇒ 경기도 화성에서 YWCA의 지역주민을 위한 교육운동
※ 이상촌에서는 지역 전체 차원에서 평생교육이 매우 다양하면서 조직적, 체계적으로 수행.
2) 우리나라 전통적인 평생교육의 성격
① 평생교육 이론의 핵심적인 기본원리 : 소외계층 지원, 생활중심, 학습자 주체성
② 평생교육 선구자들의 공통점 : 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한 사람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는 점
③ 평생교육의 원형 : 소외계층 배려, 삶의 터전 속에서 문제해결과 협력을 추구하는 공동체 지향.
3. 우리나라 평생교육론의 굴절
- 1990년대에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평생교육 선진국과 맥을 같이하여 빠른 속도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평생교육체제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