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중 ‘경험을 통하여 인간의 본성이 결정된다’고 주장하는 대표적 사상가는?
① 로크(Locke)
② 순자(荀子)
③ 맹자(孟子)
④ 루소(Rousseau)
2. “교육의 목적은 사회화에 있다”고 하는 주장은 교육을 어떤 관점에서 파악하고 있는 것인가? 다음 중 가장 가까운 것은?
① 국가발전의 수단
② 인간행동의 조종
③ 자아실현의 조력
④ 가치의 전수
3. 다음 중 특정한 개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자연발생적 행동을 관찰하거나 자서전과 같은 기록을 분석하는 연구방법은?
① 개념적 연구방법
② 실험 연구방법
③ 임상적 연구방법
④ 상관 연구방법
4. 다음 중 타일러(Tyler)가 말하는 인간형성의 특징과 가장 가까운 것은?
① 인간의 형성과정에는 점진적 변화만 있을 뿐이다.
② 인간의 형성은 구체적 선택에 의해 좌우된다.
③ 인간은 핵심적인 한 가지 잠재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④ 인간은 수동적으로 환경에 대응하는 존재다.
5. 다음 중 연결이 바르게 되어 있지 않은 것은?
① 각인현상 - 로렌츠(Lorenz)
② 발달과업 - 해비거스트(Havighurst)
③ 환경경험론 - 겟셀(Gesell)
④ 자연성숙론 - 힐가드(Hilgard)
교육심리학 4-1
6. 0∼6세 동안 영양 불충분으로 체격이 빈약해졌을 경우 그 후 7∼17세 동안 잘 먹여도 체중은 보충하기 쉬우나 신장은 보충하기 어렵다고 한다. 즉 신장은 체중에 비해 이 특징이 더 심한데, 이것과 관련된 인간발달기제는?
① 불가역성
② 기초성
③ 누적성
④ 적기성
7. 카텔(Cattell)에 의하면, 개인의 명석도와 순응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서 비교적 모든 문화권에 관련된 보편적인 문제해결능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특수 지능
② 일반 지능
③ 유동적 지능
④ 결정적 지능
8. 삼원지능이론에 의하면 현실의 어떤 상황에서든 잘 적응하는 사람은 지능의 어떤 요소가 특별히 강하다고 할 수 있는가?
① 성분적 요소
② 맥락적 요소
③ 경험적 요소
④ 논리적 요소
9. 전통적인 지능검사나 학교교육에서 중시하고 있는 지능과 가장 관련이 깊은 지능은?
① 개인 내 지능
② 음악 지능
③ 논리-수학 지능
④ 대인간 지능
10.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에서 말하는 여러 가지 지능 중 감성지능, 사회적 지능과 가장 관련이 깊은 지능은?
① 개인내 지능
② 논리-수학 지능
③ 언어적 지능
④ 공간 지능
11. 평균이 100이고 표준편차가 15인 지능검사의 검사점수가 정상분포를 이루고 있다고 가정할 때, 평균에서 위로 1 표준편차 떨어진 I.Q. 100∼115사이에는 정상인구의 약 몇 %가 속해 있는가?
① 약 14% ② 약 28%
③ 약 34% ④ 약 68%
교육심리학 4-2
교육심리학 기말시험(2019)(1학년).pdf 교육심리학 기말시험(2019)(1학년) (1).pdf 교육심리학 기말시험(2019)(4학년).pdf 교육심리학 대체시험(2019)(1학년).pdf 교육심리학 기말시험(2015)(1학년).hwp 교육심리학 기말시험(2015)(4학년).hwp 교육심리학 기말시험(2015)(4학년) (1).hwp 교육심리학 기말시험(2016)(4학년).hwp 교육심리학 대체시험(2015)(1학년).hwp 교육심리학 대체시험(2016)(1학년).hwp 교육심리학 하계계절시험(2015).hwp 교육심리학 하계계절시험(2016).hwp 교육심리학 기말시험(2017)(4학년).hwp 교육심리학 대체시험(2018)(1학년).hwp 교육심리학 하계계절시험(2018).hwp 교육심리학 기말시험(2017)(1학년).hwp 교육심리학 기말시험(2018)(1학년).hwp 교육심리학 기말시험(2018)(4학년).hwp 교육심리학 대체시험(2017)(1학년).hwp 교육심리학 하계계절시험(2019).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