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딕과 캐리가 제안한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에서 ‘평가도구 개발’ 바로 다음에 수행되는 단계는?
① 수업전략 개발
② 수업자료 개발
③ 총괄평가 실시
④ 형성평가 실시
2. 무어와 키어슬리의 교육체계 모형에서 제안하고 있는 원격교육과정의 일반적 개발활동의 주요 요소 중 인쇄, 오디오/비디오 테이프, 라디오/텔레비전 등의 하위 요소를 포함하는 것은?
① 설계 ② 개발
③ 전달 ④ 학습환경
3. 정인성의 네트워크 기반 교수체제개발(NBISD) 모형에서 현재의 학습자의 수준과 기대하는 학습자의 수준 간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목표분석 ② 요구분석
③ 내용분석 ④ 학습자분석
4. 원격교육을 위한 체계적 과정 개발에서 최종 개발 종료 직전 단계에서 예상 학습자의 반응을 반영하여 필요한 부분을 수정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종합평가
② 효과성 분석
③ 사용자 검사
④ 초기 전형개발
5. 데일의 경험의 원추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구체적인 경험일수록 비용 효과적이다.
② 텔레비전은 가장 구체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③ 보다 실제적인 것이 추상적인 것보다 항상 좋다.
④ 어린 학습자들은 우선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서 학습한다.
6. 다음의 인쇄매체 개발전략 중 학습동기 유발 전략에 해당하는 것은?
① 문어체 사용
② 그림과 도표의 활용
③ 적절한 질문의 활용
④ 학습자의 참여 유도
7. 영상매체의 교육적 활용방식 중 하나의 비디오테이프에 강의에 필요한 부분의 자료를 모아놓고 각 화면에서 특정활동을 지시한다거나 질문을 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화면을 중지시키고 지시사항을 따르게 하는 방식은?
① 상호작용 비디오
② 비디오 단편모음 방식
③ 교실에서의 강의 녹화 방식
④ 일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형태
8. 텔레컨퍼런스 종류 중 가장 많은 비용과 특별한 네트워크 설치가 필요한 것은?
① 비디오 컨퍼런스
② 오디오 컨퍼런스
③ 데스크탑 컨퍼런스
④ 오디오․그래픽 컨퍼런스
원격교육론, 인간과과학 4-1
1 학년 2 교시
9. 다음 중 인터넷 기반 원격교육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수업과 학습이 동시에 발생한다.
② 대체로 사용 환경 및 기술이 쉽다.
③ 교수자 중심의 교수-학습을 강조한다.
④ 개발된 온라인 강의 자료들의 수정이 어렵다.
10. 인터넷 기반 원격교육을 위한 기술 중 그래픽, 음향 등을 복합적이면서 상호작용하는 식으로 운용하여 인터넷상에서 멀티미디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① 동영상 기술
② 그래픽 프로그램
③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④ 웹 문서 제작 프로그램
11. 코스관리체제의 구성요소 중 개별학습자들이 언제, 얼마나 접속하고 학습을 지속했는지를 추적하여 보여주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① 코스관리
② 코스 평가도구
③ 코스 의사소통
④ 코스 및 시스템 통계
12. 다음 중 학습자 참여 유도를 위한 운영 전략 중 초기 참여 촉진을 위한 전략이 아닌 것은?
① 성찰노트 작성 요구
② 수업진행 형식의 제시
③ 흥미로운 토론 주제 제시
④ 흥미로운 질문 및 답변 요구
13. 무어와 키어슬리가 제안한 상호작용 유형 중 학습자가 인터넷을 통해 교수자의 동영상 강의를 시청하는 활동과 가장 밀접한 유형은?
①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②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③ 학습자-학습매체 상호작용
④ 학습자-학습내용 상호작용
14.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교수자가 수행해야 할 역할 중 학습자들이 집단에의 소속감이나 서로에 대해 유대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은?
① 사회적 역할
② 관리적 역할
③ 교수적 역할
④ 기술적 역할
15. 샐먼이 제안한 온라인 교수-학습 모형에서 학습자들이 새로운 컴퓨터 시스템에 익숙해지고 공동의 목표를 위해 함께 일할 동료 학습자들과 온라인 공동체를 형성하기 시작하는 단계는?
① 지식구성
② 정보교환
③ 사회적 상호작용
④ 시스템 접근과 동기화
16. 다음 중 원격교육 학습자의 특성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시간적 여유가 많지 않다.
② 학습에 대한 성취욕구가 강하다.
③ 자율적이고 자기주도적인 자세로 학습에 임한다.
④ 학업능력이나 학습에 임하는 태도가 젊은 학생들과 같다.
원격교육론, 인간과과학 4-2
원격교육론 대체시험(2019).pdf 원격교육론 기말시험(2015).hwp 원격교육론 기말시험(2016).hwp 원격교육론 기말시험(2017).hwp 원격교육론 기말시험(2018).hwp 원격교육론 대체시험(2015).hwp 원격교육론 대체시험(2016).hwp 원격교육론 대체시험(2017).hwp 원격교육론 대체시험(2018).hwp 원격교육론 하계계절시험(2015).hwp 원격교육론 하계계절시험(2017).hwp 원격교육론 기말시험(2019).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