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전개과정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교육의 사회학(Sociology of Education)에서 교육적 사회학 (Educational Sociology)으로 변화되었다.
② 1900년 독일에서 막스 베버가 처음 교육사회학 강좌를 개설하였다.
③ 신교육사회학(New Sociology of Education)은 종래의 미시적 접근을 하는 교육사회학을 비판하며 등장하였다.
④ 교육에 대한 실천적 접근에서 이론적 접근으로의 변화되었다.
47. 다음 중에서 학교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기능론적 설명에 부합되지 않는 표현은?
① 학교는 개인의 능력에 따라 공정하게 평가하며 정당한 사회적 보상을 제공
② 학교는 사회의 평등화에 적극 기여하는 제도
③ 학교는 객관적 지식보다는 지배집단의 이해를 반영하는 내용을 전달
④ 학교는 사회의 안정과 질서에 기여하는 제도
48. 교육에 관한 갈등론적 시각을 설명한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학교는 사회가 요구하는 기술, 지식 등과 공동체 의식을 전수한다.
② 학교는 기존의 질서를 재생산함으로써 사회불평등을 영속화한다.
③ 학교는 인간을 강요하고 억압함으로써 수동적 존재로 전락시킨다.
④ 학교는 지배계층이 선호하는 가치관, 규범, 태도 등을 은밀히 전수한다.
49. ‘호레스 만(Horace Mann)은 교육을 ( )(이)라고 표현하였다.’ 괄호 안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말은?
① 사회화 기관
② 사회적 선발 장치
③ 위대한 평등장치
④ 평등한 사회통합기구
50. 파슨스(T. Parsons)는 ‘사회체제로서의 학교학급’이라는 논문에서 학교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해서 언급한 바 있다. 그 내용을 가장 잘 요약한 것은?
① 사회화 - 의식화 과정
② 문화화 - 불평등 재생산
③ 문화화 - 사회체제 혁신
④ 사회화 - 사회적 선발․배치
51. 『탈학교사회』(Deschooling Society)를 통해 학교교육의 한계를 지적하고 비판한 학자는?
① 프레이리(Freire) ② 일리치(Illich)
③ 라이머(Reimer) ④ 뒤르껭(Durkeim)
52. 알뛰세(L. Althusser)가 학교를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ISA)의 하나라고 주장하였는데, 이 개념이 갖는 의미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① 학교는 지배집단의 이념을 전파시키고 내면화시킴으로써 사회재생산에 기여한다.
② 학교는 새로운 가치관과 비판의식을 창출하여 국가발전과 사회변화에 기여한다.
③ 학교는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력의 선발과 사회배치를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④ 학교는 사회생활을 위한 준비를 갖추지 못한 어린 세대에 대한 사회화 기능을 수행한다.
출석수업대체시험
교육사회학 대체시험(2017)(2학년).hwp 교육사회학 기말시험(2015)(2학년).hwp 교육사회학 기말시험(2015)(3학년).hwp 교육사회학 기말시험(2016)(2학년).hwp 교육사회학 기말시험(2016)(3학년).hwp 교육사회학 기말시험(2017)(2학년).hwp 교육사회학 기말시험(2017)(3학년).hwp 교육사회학 기말시험(2018)(2학년).hwp 교육사회학 기말시험(2019)(2학년).pdf 교육사회학 기말시험(2019)(3학년).pdf 교육사회학 대체시험(2015)(2학년).hwp 교육사회학 대체시험(2015)(2학년) (1).hwp 교육사회학 대체시험(2016)(2학년).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