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다음이 설명하는 진술의 종류는 무엇인가?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개념과 그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는 진술로서, 그 타당성을 관념적인 근거에 입각하여 주장할 수 있는 진술이다. |
① 사실적 진술
② 논리개념적 진술
③ 가치진술
④ 형이상학적 진술
32. 다음 용어들 중 전통철학의 진리관과 관계 있는 것은?
a. 영원 불변의 진리 b. 세계의 궁극적인 의미 c. 가치부하설 d. 자연의 거울 |
① a, b
② a, b, c
③ a, b, d
④ a, b, c, d
33. 포스트모던 철학적 진리관을 주장하는 학자가 아닌 사람은?
① 아리스토텔레스
② 니체
③ 프로타고라스
④ 듀이
34. ‘인간이 진리 창조의 주체’라는 포스트모던 철학의 주장이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① 인간이 신의 역할을 대체하게 되었다.
② 인간은 자신의 판단과 해석에 따라 세계에 대한 이해를 형성해 나가는 능동적이며 창의적인 존재이다.
③ 신적 존재에 대한 믿음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④ 인간은 절대불변의 진리를 발견할 수 있다.
35. 인간이 세계를 파악하고,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작용하는 배경적 사고의 틀을 일컫는 용어는 무엇인가?
① 합리적 틀
② 개념적 틀
③ 경험적 틀
④ 추상적 틀
36. 가치부하설이 주장하는 바는 무엇인가?
① 사실과 가치는 분리되지 않는다.
② 사실과 가치는 분리된다.
③ 사실은 절대적인 것이다.
④ 가치에는 사실이 부하된다.
37. 교육철학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분석적 기능
② 사변적 기능
③ 통합적 기능
④ 과정적 기능
출석수업대체시험
교육철학 기말시험(2019)(2학년).pdf 교육철학 기말시험(2015).hwp 교육철학 기말시험(2016).hwp 교육철학 대체시험(2015).hwp 교육철학 기말시험(2017).hwp 교육철학 대체시험(2016).hwp 교육철학 대체시험(2017).hwp 교육철학 기말시험(2018).hwp 교육철학 대체시험(2018).hwp 교육철학 기말시험(2019)(1학년).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