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논어』의 ‘학이편’을 통해서 공자가 강조한 것은?
① 인간의 평생에 걸친 과업인 배우는 것의 즐거움
② 인간의 본성과 습성
③ 교육자나 위정자가 지녀야 할 덕
④ 도의 궁극적 목표가 되는 인(仁)
37. 빈칸에 들어갈 숫자의 합은?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는 ( )세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 )세에 모든 기초를 세웠으며, ( )세에 사물의 이치에 대하여 의문 나는 점이 없었고, ( )세에는 천명을 알았다.” |
① 130 ② 135
③ 140 ④ 150
38. 장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무위자연의 실천을 강조하였다.
② 인위(人爲)의 문화를 비판하였다.
③ 인간 본성의 극복을 강조하였다.
④ 노자와 더불어 도가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39. 『장자』의 ‘제물론’ 편에서 강조되고 있는 사상은 무엇인가?
① 만물제동
② 인의예악
③ 색즉시공
④ 경세제민
40. 지눌이 ‘돈오점수(頓悟漸修)’를 통하여 강조한 것은 무엇인가?
① 한 번의 깨달음이면 모든 수행은 완성된다.
② 본래적인 불성은 마음 속에 깃들어 있다.
③ 깨달음 이후에도 계속적인 수행과 실천을 해야 한다.
④ 각자(覺者)에 이르기 위해서는 선정과 지혜를 함께 닦아야 한다.
41. 지눌의 교육원리의 내용 중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의 짝은?
“( )으로써 어지러운 생각들을 다스리고, ( )로써 멍한 상태를 다스린다.” |
① 작용, 본체
② 지행, 합일
③ 현상, 진리
④ 선정, 지혜
42. 이황의 교육론에서 강조된 것은?
① 정혜쌍수(定慧雙修)
② 무위자연(無爲自然)
③ 거경궁리(居敬窮理)
④ 수기치인(修己治人)
43. ‘위인지학(爲人之學)’에 관한 이황의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자신을 위한 학문이다.
② 진정한 자기완성을 위한 학문이다.
③ 과거를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다.
④ 성학(聖學)을 의미한다.
교육행정및경영, 교육고전의이해 4-1
4 학년 3 교시
44. 『격몽요결』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게 된 것은?
① 성균관의 교재로 쓰이기도 했다.
② 공부에 대한 이이의 견해가 집약적으로 나타나 있다.
③ 성리학의 기본 이념을 10개의 그림으로 정리하였다.
④ 불교의 가르침을 주체적으로 재해석하였다.
45. 다음 중 이이의 저작은 무엇인가?
① 수심결 ② 사회계약론
③ 성학십도 ④ 김시습전
46. 『국가론』에 나오는 각각의 계층과 그에 요구되는 덕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생산자 계층 - 용기
② 통치자 계층 - 지혜
③ 군인 계층 - 절제
④ 학자 계층 - 기개
47. 플라톤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게 된 것은?
①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이다.
② 리케이온이라는 학교를 설립하였다.
③ 자신의 언행록을 토대로 대화편을 저술하였다.
④ 시실리 섬에서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실현시키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48. ‘동굴의 비유’를 통해서 플라톤이 설명하고자 한 교육관은 무엇인가?
① 초월로서의 교육관
② 국가주의 교육관
③ 계명으로서의 교육관
④ 자연주의적 교육관
49. 코메니우스를 ‘근대교육의 아버지’로 평가하는 이유는?
① 합자연의 원리에 입각하여 과학적 교수론을 주장
② 종교적 신념에서 교육목적을 도출함
③ 『언어입문』이라는 체계적인 교육학 서적을 저술
④ 중세 대학을 최초로 설립
50. 코메니우스의 『대교수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교육학 서적이다.
② 합자연의 원리에 입각하여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③ ‘모든 사람에게 모든 사물을 가르치는 기술’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④ 일명 『세계도회』라고 한다.
51. 루소의 대표적인 교육저작의 제목은 무엇인가?
① 교수대전 ② 에밀
③ 사회계약론 ④ 신엘로이즈
52. 루소의 교육론의 특징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무엇인가?
① 실존주의적 교육론
② 적극적 교육론
③ 자연주의적 교육론
④ 진보주의적 교육론
53. 루소에 의하면 이성의 훈련이나 지식교육보다는 감각훈련과 경험을 통한 생활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시기는?
① 유아기 ② 아동기
③ 소년기 ④ 청년기
교육행정및경영, 교육고전의이해 4-2
교육고전의 이해 기말시험(2018)(4학년 2학기).hwp 교육고전의 이해 기말시험(2019)(4학년 1학기).hwp 교육고전의 이해 기말시험(2019)(4학년 2학기).pdf 교육사 기말시험(2015).hwp 교육사 기말시험(2016).hwp 교육사 기말시험(2017).hwp 교육사 기말시험(2018).hwp 교육사 기말시험(2019).pdf 교육고전의 이해 기말시험(2015)(4학년 1학기).hwp 교육고전의 이해 기말시험(2015)(4학년 2학기).hwp 교육고전의 이해 기말시험(2016)(4학년 1학기).hwp 교육고전의 이해 기말시험(2016)(4학년 2학기).hwp 교육고전의 이해 기말시험(2017)(4학년 1학기).hwp 교육고전의 이해 기말시험(2017)(4학년 2학기).hwp 교육고전의 이해 기말시험(2018)(4학년 1학기).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