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에서는 1학기 기준 첫 학기에 R컴퓨팅과 통계학개론 수강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2학기엔 개설과목이 달라져서 좀 추천할 과목이 난감해지긴 합니다.)
통데과에서는 대부분 R을 이용해서 실습을 합니다.
R을 설치해서 교재에 나와있는대로 직접 실행하고 결과를 확인하면 그게 꽤 오래 기억에 남던 기억이 나네요.
파이썬도 익히셔야 하지만 현 시점에서는 아직 통계학 과목에서는 파이썬 보다는 R이 더 많이 쓰이는 느낌입니다.
데이터과학 파트는 파이썬으로만 접근하는듯 하구요.
1학년 신입학의 경우는 커리큘럼대로 진행하시면 큰 문제는 없을것 같구요.
커리대로 천천히 따라오시다 보면 통계학이나 데이터과학에 대해 시나브로 지식이 습득되실것으로 생각합니다.
3학년 편입의 경우는 1학년 전공과목들을 다 수강하실 필요 없이 처음에 입학을 결심했을 때 하고자 하는 방향의 과목 위주로 공부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쉬어가는 개념으로 수강하셔도 됩니다만, 4학기만에 핵심과목만 수강하고 졸업하시려면 이런 과목들은 쳐내야 합니다.)
통계학 문외한 이므로 서두에 말씀드린 두 과목을 먼저 수강하시고, 2학년 전공과목 위주로 수강하시면 첫학기는 문제 없이 진행되리라 생각합니다.
여력이 되시면 회귀모형까지는 꼭 수강해보시구요. (그런데 어려워서 대부분 첫학기엔 수강을 권하지 않습니다.)
통데과 모든 과목이 회귀모형을 다루고 있으므로 먼저이든 나중이든 공부하시면 나머지 과목 이해에 큰 도움이 됩니다.
통데과에서는 넘어야 할 산 정도로 취급합니다.
작년 과목 기준 학과에서 제시하는 전공교과 흐름도입니다. 선수-후수 개념으로 연결된건 아닙니다만 관련이 있기는 할겁니다.
개략적으로 이런 계통으로 진행되며, 과목 인상은 1학기 개설과목은 이전에 제가 게시했던 게시물 참고하셔도 될겁니다.
그리고 수학. 통계학에서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긴 합니다만.
저도 이과수포자 라서. 수학관련 과목은 이수 안하고 넘어간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통계학으로 대학원을 진학하려면 증명을 이해하고 증명을 그대로 다 해야 합니다만.
대부분 그렇지는 않을 거라서.
간단한 공식만 외우고 그걸 가지고 워크북의 연습문제를 계산기로 풀 정도로만 공부하시면 무난하실겁니다.
제가 학과 톡.방에서 가끔 말씀을 드리는데, 과제 계산은 R이나 파이썬, 그리고 GPT가 해줄거고 시험문제는 계산기가 풀어줍니다.
공학용계산기에 익숙해지면 시험문제 푸는것에 있어서 마음이 편안해질겁니다.
평소엔 쓰지 않지만 통데과 재학기념품으로 하나 장만해두시면 마음의 부적이 될겁니다.
그리고 신/편입학 직후 학과에서 진행하는 온라인(zoom) OT에 한번은 참석하시면 공부하는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될겁니다.
마음가짐도 그렇고, 정보적인 면에서도 그렇구요.
그럼 2022년 3월에 입학해서 2024년 2월에 졸업한 한 학우로서 쓴 글을 줄입니다.
다들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