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자본주의와 시장
1)자본주의의 의미 : 자본이 지배하는 체제.
- 자본이란 돈벌이를 하기위한 밑천이다.(산업자본. 상업자본. 금융자본)
- 과거 자본의 영역은 ‘바다에 떠있는 섬‘처럼 주변적 존재였다.
- 그러나 현재, 자본의 운동은 사회전반을 지배하고 있다.
- 이러한 자본주의 사회의 경제체제는
①사유재산 제도 ②영리의 추구 ③사회의 기본집단이 자본가와 노동자로 구성
④시장과 가격시스템을 통한 경제활동의 조정을 그 본질적 특징으로 한다.
- 자본주의 등장으로 물질적 풍요가 진전되었고
- 이런 변화는 슘페터가 말한 혁신, 즉 새로운 제품. 생산방식. 판로의 개발이 누적된 결과다.
- 자본주의를 비판한 마르크스의 ‘공산당선언’에는 역설적이게도 자본주의의 역동성이 화려하게 묘사
(생산도구의 급격한 개선으로 모든 민족을 문명에 끌어넣고.. 더 방대한 생산력을 만들었다)
- 그러나 자본주의로 인해 생산기술이 발전했다고 해서 인간의 행복이 반드시
그만큼 증대된 것은 아니다. 또한 문화적 수준도 반드시 물질적 풍요에 비례하지 않는다.
2)시장의 등장
- 근대 자본주의를 움직이는 조정역할을 하는 시장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만나서 가격을 결정하고 매매가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 이전 시대에는 주변적인 존재였던 시장이 자본주의에서는 경제의 효용성면에서
역사상 존재했던 다른 어떤 조정 매카니즘 보다 우월하게 작용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