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자원의이해, 역사의현장을찾아서 4-1
2015학년도 2 학기 1 학년 1 교시
|
|
|
|
||||
53. 단양군수로 부임한 뒤 ‘단양팔경’에 해당하는 명승지를 지정하고 시문을 남긴 인물은? ① 정약용 ② 이황 ③ 이긍익 ④ 성해응
54. 17세기 이후 산수를 유람하고 풍류를 즐기려는 문인들이 가장 선호하던 ‘사군산수(四郡山水)’의 ‘사군(四郡)’에 속하지 않는 곳은? ① 단양 ② 청풍 ③ 제천 ④ 홍성
55. 비해당(匪懈堂)에 거주하며 안견에게 「몽유도원도」를 그리게 한 서촌에 거주한 대표적인 인물은? ① 안숙 ② 송시열 ③ 이이 ④ 안평대군
56. ‘옥계시사(玉溪詩社)’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1787년 천수경 등 13명의 시인이 결성하였다. ② ‘송석원시사(松石園詩社)’로 불리기도 하였다. ③ 해마다 봄, 가을이 되면 큰 백일장도 열었다고 한다. ④ 정부에서 순라군을 보내어 엄격히 금지시켰다.
57. 정약용이 태어난 경기도 광주군 초부면 마현리를 흔히 부르는 이름은? ① 마재 ② 황토재 ③ 청풍계 ④ 옥류동
58. 정약용이 유배에서 돌아온 뒤 고향에서 직접 교유하던 대표적인 인물은? ① 정철 ② 이익 ③ 신작, 신현 형제 ④ 김상헌
59. 정약용이 저술한 책이 아닌 것은?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라, 가
60. 조선 후기에 청에 매년 1회 파견하는 정기사행은? ① 동지사 ② 선무사 ③ 안무사 ④ 통신사
61. 사행단 삼사(三使)의 자제나 친지, 지인 중에서 견문의 목적으로 참여시켜 삼사를 수행하도록 한 구성원은? ① 자제군관(子弟軍官) ② 대통관(大通官) ③ 압물관(押物官) ④ 안핵사(按覈使)
62. 조선 사신들이 남긴 사행록이 아닌 것은? ① 빈왕록(賓王錄) ② 조천록(朝天錄) ③ 연행록(燕行錄) ④ 간양록(看羊錄)
63. 개항장의 외교행정을 담당한 기관은? ① 우정국 ② 중추원 ③ 집강소 ④ 감리서 |
|
|
64. 1876년 2월 ‘조일수호조규’가 체결되면서 일본이 조선 정부에 요구한 개항지가 아닌 곳은?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라, 가
65. 대전이 신흥 근대도시로서의 도시 공간을 구성하는 계기가 된 것은? ① 철도의 가설 ② 청일전쟁 ③ 3.1운동 ④ 골령골사건
66. 1918년 신축된 대전 역사(驛舍)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당시 최신식 건물로 2층에 식당까지 갖추고 있었다. ② 한국전쟁 당시 폭격으로 소실되었다. ③ 1913년에 지어진 대구 역사를 본떠 만들었다. ④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철도 역사였다.
67. 일제강점기 대구의 도시화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라, 가
68. 대구의 지형적 특징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① 세 개의 강이 합류하는 절승처이다. ② 영남의 중심부에 놓여 있다. ③ 만주와 북중국 지방을 향하는 요로에 자리하였다. ④ 대규모 농지가 펼쳐진 평원 지형이다.
69. 한양 도성에 설치한 4대문이 아닌 것은? ① 흥인문 ② 숭례문 ③ 장안문 ④ 돈의문
70. 한양의 동부에 있었던 대표적인 교육기관은?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라, 가 |
한국문화자원의이해, 역사의현장을찾아서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