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학년도 2 학기 3 학년 2 교시
|
|
||||||
|
2과목 |
생명공학과인간의미래 |
(36~60) |
|
|
42. 황우석의 발표에 대해 한국사회가 열광하면서 무시해버렸던 점이 아닌 것은? ① 줄기세포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난자가 필요하다. ② 그 연구는 배아의 유전자 변형 기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③ 태아로 성장하고 아기가 될 가능성이 있는 배아라는 생명을 파괴해야 한다. ④ 핵치환은 매우 어려운 기술이다.
43. 황우석 박사는 줄기세포를 만들기 위해 사용한 난자의 수가 처음에 약 240개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나중에 밝혀진 바에 의하면 훨씬 많은 수의 난자를 사용하고도 줄기세포를 만들지 못했다. 얼마나 많은 수였는가? ① 약 2000개 ② 약 500개 ③ 약 5000개 ④ 약 10000개
44. 황우석 박사 같은 체세포복제 배아 연구자들은 대체로 시험관 속에서라 하더라도 난자와 정자를 섞어서 얻은 수정란은 난자와 정자를 제공한 여성 및 남성과 연결된 ( )로 볼 수 있지만, 줄기세포를 얻기 위해 여성에게서 채취한 난자로부터 핵을 제거하고 다른 사람의 체세포 핵을 넣은 것은 ( )(이)라고 본다. 괄호에 들어갈 말은? ① 세포융합물, 인격체 ② 생물체, 무생물 ③ 무생물, 생명 ④ 인격체, 세포융합물
45. 체세포 복제 배아 줄기세포라는 맞춤형 줄기세포 개발이 성공해서 이러한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가 널리 시행될 경우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① 장기와 난자의 탈취 ② 장기 매매 ③ 난자 매매 ④ 인신 매매
46. 동물의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하면 무슨 반응이 일어나는가? ① 만성 거부반응 ② 면역력 저하반응 ③ 초급성 거부반응 ④ 초급성 세포분열반응
47. 황우석 박사는 외국의 이종간 장기이식 연구자들을 따라 장기이식용 동물장기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했다고 한다. 이들 이종간 장기이식 연구자들이 주로 적절한 대상으로 생각하고 연구하는 동물은? ① 양 ② 침팬지 ③ 개 ④ 돼지
48. 다음 중 맞는 말은? ① 2008년 미국에서 항우울제 소비가 줄어들었다. ② 2000년대 중엽 템즈강에서는 항우울제가 검출되지 않았다. ③ 자본주의 발달은 생명공학의 발달을 저지할 것이다. ④ 생명공학이 크게 발달하더라도 모든 사람이 아이를 계속 낳으면서 거의 영원히 사는 것은 불가능하다. |
|
|
출제위원:방송대 이필렬, 백영경 |
|
|||||
출제범위:교재 전 범위 및 멀티미디어강의 전체 |
|||||||
|
|
|
|||||
※ 36번∼45번까지 4점. 46번∼60번까지 2점.
36. 다음 중 맞는 말은? ① 유전자 조작 식품은 아직은 거의 소비되지 않고 있다. ② 유전자 치료의 장점은 부작용이 적고 유전적인 병을 거의 완전하게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③ 자연상태에서는 동물과 식물의 유전자가 섞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유전자 이식은 어느 한 종의 유전자를 기계적으로 뜯어내어 다른 종의 유전자와 섞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종 사이에서도 가능하다. ④ 인간 태아에 대한 유전자 검사와 유전자 치료는 이미 시행되고 있다.
37. 줄기세포란 어떤 것인가? ① 어떤 종류의 세포, 예를 들어 심장세포, 신경세포, 뇌세포, 근육세포 등 어떤 세포로도 분화될 수 있는 세포. ② 세포 중에서 가장 저항력이 강한 세포. ③ 태아 상태일 때 이 태아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 ④ 식물에서만 발견되며, 성장한 식물 속에도 항상 존재한다.
38. 배아란 무엇인가? ① 정자와 난자가 만난 직후에 만들어진 세포 한 개로 이루어진 수정란 ② 핵이 제거된 난자 ③ 수정란이 분열되어 세포가 여러 개 또는 수십 개가 된, 성장해서 태아로 되기 전의 상태 ④ 수정란이 자라서 심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직후의 상태
39. 전세계 모든 사람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복제양 돌리는 어떤 과정에서 나온 것이었는가? ① 인간에게 거부반응이 적은 동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② 동물과 식물의 유전자를 섞는 연구 과정에서 ③ 애완동물을 복제하는 연구 과정에서 ④ 의약품 생산용 유전자 변형 동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40. 2004년 황우석 박사가 인간체세포 복제 배아줄기세포를 만들었다고 발표했을 때 많은 사람이 열광한 이유를 모아놓은 것은? ① 광우병 치료, 멸종위기 동물 보호, 난치병 치료, 커다란 경제적 효과 ② 엄청난 경제적 효과, 세계 최초, 난치병 치료 ③ 노벨상 수상가능성, 이식용 장기의 자유로운 생산 ④ 커다란 경제적 효과, 난치병 치료, 동물치료용 장기 생산
41. 다음 중 여성의 몸을 상품화하는 것에 속하는 것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난자 매매 ② 성전환 수술 ③ 성매매 ④ 미인대회 |
|
동양철학산책, 생명공학과인간의미래 4-1
2015학년도 2 학기 3 학년 2 교시
|
|
|
|
||
49. 인간의 행동 양식에 대한 상반된 논쟁의 핵심은? ① 경험이냐 선험이냐 ② 진화냐 창조냐 ③ 유전자냐 유전체냐 ④ 본성이냐 양육이냐
50. 효율향상이 자원소비의 감소를 가져오지 않는 이유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개념은? ① 쓰레기 효과 ② 리바운드 효과 ③ 재사용 효과 ④ 탈물질화 효과
51.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가 알려주는 것은? ① 인간의 유전자수는 다른 생물체의 유전자수보다 크게 많지 않다. ② 인간의 유전자수는 다른 생물체의 유전자수보다 훨씬 많다. ③ 인간의 행동은 유전자의 지배를 받는다. ④ 인간의 행동은 유전자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
52. 다음 중 ‘의료화’의 의미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단순하게는 의학이 삶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 ② 사회적 경험과 현상을 생물학적이고 병리학적인 문제로 환원하는 일 ③ 사회에 꼭 필요한 의료 혜택을 시민들이 고루 누리게 하는 일 ④ 인간의 생물학적 생명이 중요한 정치적 의제가 되는 현상
53. 다음 중 ‘생의료화’가 일상에 가져온 변화가 아닌 것은? ① 과학연구에서의 사기업 비중 증가 ② 위험 개념의 중요성 증가 ③ 맞춤의학 개념의 등장 ④ 몸에 대한 통합적 접근의 증가
54. 다음 중 유전자 검사가 일반화되면서 일어난 변화가 아닌 것은? ①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 유전자를 중심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커짐 ② 범죄 현장에서 조금의 오차나 불확실성 없이 범인을 특정할 수 있게 됨 ③ 개인의 질병 가능성을 알아내어 상업적으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끊이지 않음 ④ 유전 정보를 이용한 신분증이 만들어지기도 함
55. 다음 중 ‘스닙(SNP)’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유전자와 염색체의 합성어 ② 단일염기다형성 ③ 구별되는 유전자 서열의 차이 ④ 개인화된 맞춤의학의 핵심
56. 다음 중 지구적 차원에서 본 유전자 치료의 현황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질환의 원인은 복잡하기 때문에 치료제를 개발하기란 쉽지 않다. ② 치료제보다는 진단방법이 더 많이 개발되고 있다. ③ 유전자 치료의 발전은 건강 격차를 없애 줄 것이다. ④ 유전체학은 상품화될 수 있는 정보를 다량 생산해 왔다. |
|
|
57. 다음 설명이 지칭하는 개념은?
① 실질적 동등성 ② 생물학적 안정성 ③ 성분상의 확실성 ④ 조작적 동등성
58. 한국에서 장기기증과 이식을 관리하는 국가기관은? ① 국립의료원 ②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③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④ 국가장기안전원
59. 다음 중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는?
① 성적 시민권 ② 과학기술 민주주의 ③ 생의료적 정의 ④ 생물학적 시민권
60. 생명정치와 관련된 내용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와 관련이 깊다. ② 17세기 이래 생명은 정부가 유지하고 관리하는 대상이 되었다. ③ 생명의 변하지 않는 가치를 지켜줄 수 있는 정치이다. ④ 인구 관리가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
동양철학산책, 생명공학과인간의미래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