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북 문제와 강의를 보면서 요약된 짧은 글을 정리했습니다.
학우님들의 공부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다산의 글> 요약
*탕론 (湯論)
-중국의 역성혁명을 빌려 민권사상을 입증.
-천자는 하늘에서 내려오거나 땅에서 솟아나는 존재가 신성한 존재가 아니라 민의 의해 임면되는 존재.
-탕왕이 걸을 추방한 것은 옳다.
-처나 노릇을 못하면 자리에서 내려오는 것은 당연하다.
-옛날에는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추대했다고 보는 점에서 <원목>과 상통한다.
-다산은 <탕론> 에서 탕이 걸을 추방한 것은 옛날에는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추대하였으니 순(順)이라고 보았다
*두 아들에게 일러 주는 가계
-다산이 유배지에서 두 아들에게 보낸 편지
-아들들에게 본받아야 할 사례로 든 이야기
①소광의 황금 ②범중엄이 배에 실은 보리
*고적의 (考績議)
-관리의 근무 성적 평가에 대한 글
-고적 항목을 어사가 서계하는 형식으로함
-上之上(상지상)은 승진 발탁시킨다.
-下之下(하지하)는 벌로 내쫓는다.
*전론(田論)
-토지제도 개혁론으로 여전제(30가구를 1여로 하여 공동경작, 노동량에 따른 분배)를 중심.
-토지에 대한 균분의식이 들어 있다.
-형제들 간에 토지가 한쪽에 치우치는 사례를 들고 있다.
-토지를 균분하는 것은 왕과 관리의 의무라고 하였다.
*응지논농정소(應旨論農政疏)
*탕론 (湯論)
-중국의 역성혁명을 빌려 민권사상을 입증.
-천자는 하늘에서 내려오거나 땅에서 솟아나는 존재가 신성한 존재가 아니라 민의 의해 임면되는 존재.
-탕왕이 걸을 추방한 것은 옳다.
-처나 노릇을 못하면 자리에서 내려오는 것은 당연하다.
-옛날에는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추대했다고 보는 점에서 <원목>과 상통한다.
-다산은 <탕론> 에서 탕이 걸을 추방한 것은 옛날에는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추대하였으니 순(順)이라고 보았다
*두 아들에게 일러 주는 가계
-다산이 유배지에서 두 아들에게 보낸 편지
-아들들에게 본받아야 할 사례로 든 이야기
①소광의 황금 ②범중엄이 배에 실은 보리
*고적의 (考績議)
-관리의 근무 성적 평가에 대한 글
-고적 항목을 어사가 서계하는 형식으로함
-上之上(상지상)은 승진 발탁시킨다.
-下之下(하지하)는 벌로 내쫓는다.
*전론(田論)
-토지제도 개혁론으로 여전제(30가구를 1여로 하여 공동경작, 노동량에 따른 분배)를 중심.
-토지에 대한 균분의식이 들어 있다.
-형제들 간에 토지가 한쪽에 치우치는 사례를 들고 있다.
-토지를 균분하는 것은 왕과 관리의 의무라고 하였다.
*응지논농정소(應旨論農政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