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서양문화]
[과년도기출문제분석]
구분 |
주제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평균 |
1장 |
현대, 서양, 문화 |
3 |
4 |
3 |
4 |
3 |
3 |
4 |
3.43 |
2장 |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
3 |
3 |
4 |
3 |
4 |
4 |
4 |
3.57 |
3장 |
서양근대와 현대 과학기술 |
2 |
3 |
2 |
5 |
2 |
2 |
2 |
2.57 |
4장 |
서구와 이슬람사회 |
2 |
3 |
3 |
5 |
3 |
3 |
1 |
2.86 |
5장 |
서구와 비서구 세계 |
2 |
4 |
5 |
2 |
3 |
2 |
2 |
2.86 |
6장 |
에스파냐어 문화권 |
2 |
|
|
|
|
3 |
1 |
2.00 |
7장 |
도시계획과 도시문화 |
2 |
|
|
|
|
2 |
1 |
1.67 |
8장 |
관광인류학 |
2 |
|
|
|
|
1 |
0 |
1.00 |
9장 |
현대스포츠 |
2 |
|
|
|
|
1 |
0 |
1.00 |
10장 |
전환점에 선 가족 개념 |
3 |
3 |
3 |
2 |
3 |
1 |
2 |
2.43 |
11장 |
뉴미디어 문화현상 |
2 |
3 |
3 |
3 |
4 |
3 |
4 |
3.14 |
12장 |
서양의료 |
2 |
3 |
2 |
2 |
3 |
1 |
1 |
2.00 |
13장 |
현대의 공공미술 |
4 |
3 |
4 |
3 |
2 |
3 |
0 |
2.71 |
14장 |
예술의 대중화 |
2 |
3 |
3 |
3 |
4 |
3 |
1 |
2.71 |
15장 |
영화 |
2 |
3 |
3 |
3 |
4 |
3 |
2 |
2.86 |
계 |
|
35 |
35 |
35 |
35 |
35 |
35 |
25 |
28.53 |
제1장 현대, 서양, 문화
1.1. 들어가며
- 서양의 지리적 개념 : 유럽과 북미지역, 유럽이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 시대에서 유래.
- 서양의 문화적 개념
○ 발전된 자본주의 경제와 자유주의에 입각한 민주주의 제도
○ 기독교 전통과 합리적이고 세속화된 문화 등을 상징하며 진보나 문명, 근대성과 동일시 되어옴.
○ 보편적이고 진보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문화적인 권력으로서 힘을 발휘하여 왔으며, 지역 간의 위계를 만드는 데 기여하여 왔음.
- 서양이라는 지역 내에서도 서양이라는 문화적 관념에 부합하지 않는 역사적 경험과 이질적인 요소가 존재함.
- 서양을 단일한 ‘서양’으로 접근하는 것은 이제까지 서양이라는 개념이 하나의 규범이자 발전의 본보기로서 행사해 온 문화적 권력에 눈감는 일이며, 실제로 서양이라는 지역에서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의 경험을 소외시키는 것.
1.2. 서양과 근대
- 서양이라는 개념에 진보와 보편성, 문명이나 발전과 같은 의미가 덧씌워지는 이유는 서양만이 스스로의 힘으로 근대화를 이루었다는 사고에 근거를 둠.
- 근대성 : 근대를 특징짓는 상태, 특히 합리성으로 대표되는 사고방식을 의미한다고 간주됨.
- 근대 : 프랑스 혁명 이후 제국주의 시대에 이르는 기간이며, 근대화라는 역사적 과정이 진행되어 온 시기.
- 미국, 영국 : 르네상스에서 제국주의가 본격화되는 1870년대까지의 시기.
- 프랑스 : 중세가 끝나는 르네상스 이래 프랑스 혁명에까지 이르는 시기를 근대로 설정
- 근대화: 근대의 특징이라고 생각되는 근대 국가 체제, 자본주의 경제, 합리화나 세속화 같은 사회문화적인 변화와 같은 특징들이 발현되는 과정을 의미함.
- 근대성을 파악하는 데 정치적 측면을 우선할 것인가, 아니면 경제적 측면이나 사회문화적 측면을 위주로 파악할 것이냐에 따라서 언제부터를 근대로 볼 것인가 하는 시각도 달라질 수 있음.
1.3. 근대화와 ‘서양문화’
- 유럽이 비유럽 지역을 식민화하고 자본주의적인 팽창 및 제국주의적인 침투를 이루어 갈 수 있었던 것은 비유럽 지역에서 동원해 낸 인적·물적·문화적 자원 덕분에 가능했던 것.
현대의 서양문화
- 서구 지역은 비서구 지역의 인적 경제적 자원을 이용했을 뿐 아니라 문화적 성과도 전유하는 과정에서 서구와 비서구 문화는 상호 긴밀한 영향을 주고받았음.
- 서구 사회와 비서구 사회는 모두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서로 주고받은 영향에 대해서 인정하지 않으려는 태도를 발전시켜 감.
- 오리엔탈리즘 : 서구가 비서구 사회의 문화적 유산을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전유하는 경향으로 비서구를 미개한 것, 신비하고 초월적인 것으로 보곤 함.
- 옥시덴탈리즘 : 비서구가 서구에 대해서 정형화된 상을 가지고 때로는 악마화하고 때로는 선망하며 서구를 단일한 실체인 것처럼 취급하는 경향
- 새뮤얼 헌팅턴 :
○ 서구와 비서구 사이의 관계를 문화적 차이로 말미암아 문명권 사이의 긴장과 충돌을 야기한다고 봄(문명충돌론).
○ 냉전 종식 이후 동서 이데올로기의 대립 및 남북의 빈부대립이라는 비교적 단순했던 세계구도가 8개의 문명권으로 이루어진 다극·다문명 세계라는 복잡한 구도로 바뀌고 있다고 지적.
○ 헌팅턴은 8개의 문명권 중에서도 특히 이슬람과 중국을 가장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함.
- 문화는 어느 경우에도 단일할 수 없으며 끝없이 변화하는 것.
- 헌팅턴의 문명 충돌론은 미국과 서구의 입장에 입각한 전망이지만 서구와 비서구 사회의 갈등을 단순히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되는 충돌로만 인식하는 것은 곤란함.
- 이슬람의 경우, 이슬람과의 전쟁뿐만 아니라 평화적인 교류 역시 유럽사의 중요한 일부이며, 유럽과 북미에 거주하는 사람들 중 상당수가 이슬람을 믿는 사람들임.
- 에드워드 사이드의 주장
○ 근대화는 19세기 이래의 역사를 서구가 주도해 온 제국주의 역사로 파악하면서, 서구인들이 자신들의 행적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만들어 낸 문화적 담론을 추적하여 제3세계뿐 아니라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새롭게 생산적인 길을 모색코자 함.
○ 사이드는 ‘교류’를 통하여 문화를 바라볼 것을 주장하면서 다문화주의 혹은 문화적 상대주의에 입각하여 각각의 기반과 개성이 다른 문화들의 역사와 전통을 존중하자고 함.
1.4. 서양 근대라는 시공간을 이해하는 방식들
- 근대화론: 서구의 근대화를 이해하는 방식 중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해 온 입장이며, 사회는 원시상태로부터 점점 높은 문명의 단계로 꾸준히 진보하며, 근대화의 진전으로 인류는 그 이전에 비해 훨씬 부유하고 높은 수준의 생활을 누리게 되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