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SHRD의 등장배경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신기술의 등장
② 인적자원 공급 부족
③ 경쟁의 격화
④ 관료제 조직의 등장
37. SHRD의 특성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최고경영층의 지원
② 미션 및 비전과 HRD의 통합
③ HRM과 전략적 파트너십
④ 일선관리자와의 독립적 관계
38. 기업의 성과도출을 위해 경영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가장 기초적인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제품이나 서비스의 질
② 직원들의 사고와 행동
③ 역량
④ 조직의 구조
39. 임직원들이 보유해야 할 역량의 3가지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핵심역량
② 직무역량
③ 리더십역량
④ 환경역량
40. 비전과 전략을 실천하는 데 있어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원동력이 되는 역량을 가장 잘 지칭하는 것은?
① 핵심역량
② 직무역량
③ 리더십역량
④ 환경역량
41. 우리나라에서 능력중심의 채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SHRD
② NCS
③ CDP
④ BSC
42. 학습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유기적 조직
② 기계적 조직
③ 가상조직
④ 아메바조직
43. 지식의 창출, 저장, 공유, 활용에 익숙한 조직을 가장 잘 지칭하는 것은?
① 가상조직
② 관료조직
③ 학습조직
④ 유기조직
와우. 이렇게 한번에 모아주시다니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