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무보고의 중심적 형태로 기업의 외부에 회계정보를 전달하는 주요 수단은?
① 기본재무제표
② 보충적 정보
③ 경영자 서한
④ 경제통계
2. 기본재무제표 중 특정 시점에 작성되는 정태보고서는?
① 재무상태표
② 포괄손익계산서
③ 자본변동표
④ 현금흐름표
3. 다음 중 한 기간의 경영성과를 포괄적으로 표시하고 있는 동태 보고서는?
① 재무상태표
② 포괄손익계산서
③ 자본변동표
④ 현금흐름표
4. 다음 중 발생기준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재무제표를 보완하여 미래 현금흐름 예측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재무제표는?
① 재무상태표
② 포괄손익계산서
③ 자본변동표
④ 현금흐름표
5. 기본재무제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필수적 요소는?
① 재무상태표
② 포괄손익계산서
③ 주석
④ 현금흐름표
6.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상의 재무제표작성과 표시에 관한 일반 원칙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된 재무제표는 공정하게 표시된 재무제표로 본다.
② 경영진은 재무제표 작성 시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가능성을 평가해야 한다.
③ 유사한 항목은 중요성 분류에 따라 재무제표에 구분하여 표시한다.
④ 전체 재무제표는 적어도 분기마다 작성한다.
7. 유사한 항목을 재무제표에 구분하여 표시할 때 근거가 되는 개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목적적합성
② 중요성
③ 비교가능성
④ 이해가능성
8. 손익법의 원리에 따라 유도법을 기초로 해서 작성해야 하는 재무상태표는?
① 개업재무상태표
② 개시재무상태표
③ 청산재무상태표
④ 결산재무상태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