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과 문화] 기말/계절 출제경향 분석
구 분 |
장 |
2015 |
2016 |
2017 |
예상 |
계절16 |
계절17 |
1부. 의생활과 패션문화 권유진 |
1. 옷과 스타일 |
3 |
3 |
2 |
2 |
4 |
3 |
2. 패션의 이해 |
3 |
3 |
3 |
2 |
3 |
3 |
|
3. 패션이론 |
3 |
3 |
3 |
3 |
4 |
3 |
|
4. 패션과 대중문화 |
1 |
1 |
2 |
2 |
2 |
2 |
|
5. 패션과 소비자 문화 |
X |
X |
X |
3 |
4 |
5 |
|
소 계 |
10 |
10 |
10 |
12 |
17 |
16 |
|
2부. 패션소재와 관리 박소현 |
6. 패션소재의 생산 |
5 |
4 |
3 |
3 |
5 |
3 |
7. 패션소재의 염색 |
1 |
3 |
1 |
1 |
5 |
3 |
|
8. 의복소비와 세탁문화 |
4 |
3 |
5 |
3 |
3 |
3 |
|
9. 환경과 패션문화 |
3 |
3 |
4 |
2 |
3 |
4 |
|
10. 의생활과 친환경 소비 |
X |
X |
X |
3 |
X |
4 |
|
소 계 |
13 |
13 |
13 |
12 |
16 |
17 |
|
3부. 패션 비즈니스의 세계 손미영 |
11. 패션정보와 트렌드 |
3 |
3 |
3 |
3 |
5 |
4 |
12. 패션상품의 기획 생산 |
3 |
4 |
3 |
3 |
4 |
5 |
|
13 패션제품의 판매 소매 |
3 |
3 |
3 |
3 |
4 |
4 |
|
14. 패션산업과 관련산업 |
3 |
2 |
3 |
2 |
4 |
4 |
|
15. 패션산업의 종사자 |
X |
X |
X |
X |
X |
X |
|
소 계 |
12 |
12 |
12 |
11 |
17 |
17 |
[출제교수별 특징]
1부. 권유진교수님 : 기출비율이 낮고, 전문분야 문제를 1~2개 출제함
2부. 박소현교수님 : 전임 조성교교수님은 기출비율이 높았으나, 2017년부터 바뀌면서
암기보다는 비교적 상식적인 문제와 원론적인 것(이해)을 출제함.
3부. 손미영교수님 : 문제 유형은 비슷하지만 상세내용은 다르게 구석구석에서 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