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부를 하다가 보니 외워야 할 내용이 너무 많아서 마지막 정리용으로 핵심 만 모았습니다.
시험 전날 종합정리용으로 사용하면 적당할 것 같습니다.
2. 남은 과목별 대비법
1) 고급영양학 : 곽호경교수님 출제 스타일은 기출비율은 높지 않지만 그 틀을 벗어나지 않으므로
종합문제자료 위주로 학습하면 가능할 것 같습니다.
탄수화물>지질>단백질> 다량무기질 순으로 중요도가 높으므로(열량에너지에서 20~25문항)
시간이 부족할 경우에서 선택적으로 집중 학습바랍니다.
2) 식품학 : 저존심 강하고 실력있는 분이라 기출 비율은 그다지 높지 않으며
출제 유형은 곽호경교수님 스타일과 비슷합니다.
이번 학기에 유념할 것은 2019년도에 강의록을 다시 쓰고, 강의도 새로 녹화한 만큼
강의연습문제는 확실하게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단원도 종류가 많고 이해보다는 암기과목 성격이 강하므로 반복학습 외에는 특별한 길이 없는 것 같습니다.
단원별 중요도 : 7장-식품의 색소>14장-육류>1장-식품구성성분, 8장-맛 성분, 5장-단백질 > 기타는 1~2문제
3) 생애주기영양학 : 올해 개편되었지만 출제는 강의를 하지 않은 곽호경교수님이 하므로
먼저 강의연습문제>워크북연습문제>기출문제 순으로 중점을 두고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개편 첫 해는 어렵게 출제되지 않으니 너무 부담스럽게 생각마시고 준비하세요~
단원별 중요도 : 3~5장-임신부~영아기>9~10장-청소년~성인기 > 기타는 1~2문제
4) 영양교육 및 상담, 생화학 : 김동우교수님 출제 스타일은 기출문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주로 강의와 워크북 연습문제에서 '인것-아닌 것' 이나 의미를 조금씩 바꾸어 출제하므로
기출문제 > 강의 & 워크북 연습문제 순으로 중점을 두고 학습하면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습니다.
*영양교육 및 상담 : 2장~4장, 6~7장 즉, 교육과 상담이론의 비중이 높음
**생화학 : 12장-아미노산/질소, 11장-지질 > 2, 4, 5, 13장 > 기타는 1~2문제
5) 생활과 건강 : 기출 위주로 학습하면 대부분 A 받습니다.
* 박영숙 교수 15문항 + 정성희 교수 20문항 출제
* 박영숙 교수님 : 2~4강 비중이 높음(특히 2강 중점 학습 필요)
* 정성희 교수님 : 5~8강 비중이 높은 편이고,
13~14강은 불규칙적으로 출제되어 예측이 불가능하므로 대비가 필요함.
☆이상은 주관적인 의견이므로 다른 생각이 있으신 학우님은 의견을 제시 바랍니다.
모두 좋은 성적 거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