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건강간호학, 간호과정론, 간호연구 기출문제모음입니다.
파일이 워낙 많아 1개의 기출만 텍스트로 올려요
간호과정론 기말시험(2015).hwp 일부내용
2015학년도 1 학기3 학년 3 교시
※ 정답 하나만을 골라 반드시 컴퓨터용 사인펜으로 OMR 답안지에 표기할 것.
1과목
간 호 과 정 론
(1~35)
10. 다음 중 복부를 사분원으로 나누었을 때 해당되는 장기의 명칭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우하복부 - S자상 결장
② 우상복부 - 비장
③ 좌상복부 - 위
④ 좌하복부 - 맹장
11. 다음 중 신체계측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삼두박근 피부두께는 비우세상박의 하위지점을 측정함
② 상완근육둘레(mid arm muscle circumference)는 골격근육상태를 반영하며 MAC-(3.14×TSF)로 측정함
③ 이두박근 피부두께(biceps skin fold)는 상박 1/4 지점의 근육두께를 캘리퍼로 측정함
④ 중상완둘레(mid arm circumference)는 신체 순환 혈액 용적을 반영함
12. 다음 중 타진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치골부위를 타진했을 때 둔탁음이 들리면 방광팽만을 추정할 수 있음
② 간은 둔탁음이며 우측 중앙쇄골선에서 5~7번째에서 11~12번째 늑골 사이에서 들림
③ 상복부 팽만이나 위확장증이 있으면 높은 고장음이 들림
④ 대상자를 앙와위로 눕히고 타진하면 배꼽 주위에서 둔탁음이 들리고 배꼽 아래에서는 고장음이 들리나 옆으로 누우면 배꼽 부위가 고장음으로 바뀜
13. 다음 중 촉진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비장촉진은 간 촉진과 유사하나 잘 촉진되지 않음
② 간 촉진은 간비대를 알아내는 것으로 간호사의 오른손을 대상자의 우측 8~9번째 늑골부위의 등 밑에 대고 왼손을 30°로 밀어 넣어 사정함
③ 신장은 좌측이 우측보다 촉진이 잘 됨
④ 대상자를 쇄석위로 눕히고, 숨을 깊게 내쉬면 신장상부가 하강하여 촉진됨
14. 다음은 근긴장도, 강도 및 근관절범위 검사에 대한 설명이다. 이중 올바른 것은?
① 정상 근긴장도는 움직일 때 경미한 저항감이 있음
② 중력이 없는 상태에서 관절움직임이 가능할 때 근육강도를 4(75%, good)로 평가함
③ 관절범위 움직임의 제한이 있을 때에는 악력기로 측정해 봄
④ 상위운동신경원 장애에서는 이완성 마비가 나타나며, 하위운동신경원 장애가 있으면 경직성 마비가 있음
15. 다음 중 횡격막의 높이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대상자에게 숨을 내쉬도록 한 다음 타진하여 소리가 공명음에서 둔탁음으로 변하는 지점을 표시함
② 비정상적으로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흉막삼출, 무기폐 등을 의심할 수 있음
③ 횡경막의 높이의 변화는 정중선(midsternal line)을 따라 타진함
④ 정상적으로 차이는 여자 3~5cm, 남자 5~6cm이며 무기폐 등에서는 양쪽이 대칭적으로 변화하지 않음
16. 다음 중 호흡음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
① 산양음(egophony)은 폐포 내에 수분 통과 시 우지직하는 거품 끓는 소리
② 늑막마찰음(pleural effusion)은 심낭염이 있을 때 거칠어진 심낭막이 마찰하여 나는 소리
③ 수포음(rhonchi)은 대상자가 하나, 둘, 셋을 속삭일 때, 정상보다 공기가 적은 폐조직이 있으면 청진기로 더 잘 들리는 것
④ 폐포음(vesicular sound)은 모든 폐부위에서 들리는 부드러운 바람소리와 같은 정상 호흡음임
출제위원:방송대 이선옥, 최윤경
출제범위:교재와 강의 전 범위
1. 간호과정의 목적에 관한 설명 중 바른 내용은?
① 간호사의 역할을 확대한다.
② 간호수가 결정의 근거가 된다.
③ 간호수행의 시간단축을 도모한다.
④ 간호활동의 직관적 요소를 설명한다.
2. 간호과정의 특성에 관한 바른 설명은?
① 환자의 반응에 따라 수정 보완되어야 한다.
② 간호과정은 건강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만 적용된다.
③ 간호과정을 적용하면 항상 같은 방법으로 문제해결이 가능하다.
④ 간호과정은 환자의 간호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하는 방법이 된다.
3. 간호사가 간호현상과 관련된 자료의 정상치나 비정상 범위를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하는 이유는?
① 간호사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하다.
② 간호진단의 추론과정에 필요하다.
③ 간호수행의 행동지침이 된다.
④ 간호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4. 전자간호기록에 관한 설명 중 바른 내용은?
① 간호평가과정을 반영하는 것이 어렵다.
② 간호과정을 반영하여 구성되므로 간호과정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③ 의료팀 간 기록이 분리되므로 업무효율성이 낮아진다.
④ 전산개발의 발전으로 국내 소규모병원에서도 전체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5. NANDA 간호진단의 구성요소 중 아닌 것은?
① 정의 ② 특성
③ 범주 ④ 관련요인
6. 문제분류체계, 중재체계, 결과에 대한 문제등급척도로 구성된 분류체계로서 지역사회 간호행위나 활동의 중재 범주와 대상에 대한 분류체계는 무엇인가?
① 간호중재 분류체계(NIC)
② 간호결과 분류체계(NOC)
③ 가정간호 분류체계(CCC)
④ 오마하 분류체계(OS)
7. 간호진단과 관련된 미국 간호계의 쟁점 중 아닌 것은?
① 북미 간호진단 협의회의 활동이 미비하다.
② 다른 의료전문가들이 간호진단을 이해하지 못한다.
③ 간호진단이 문화적으로 민감하지 못하다.
④ 현장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용어가 사용되지 않는다.
8. 직접간호, 간접간호, 간호사가 주도하는 처치, 의사가 주도하는 처치로 분류되는 분류체계는?
① 간호결과 분류체계(NOC)
② 간호중재 분류체계(NIC)
③ 가정간호 분류체계(CCC)
④ 오마하 중재 분류체계(OIS)
9. 다음 중 정상 타진음과 특성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고장음 - 북소리 - 높이가 높음 - 공기가 찬 위
② 둔탁음 - 가장 탁한 소리 - 높이가 낮음 - 대퇴, 흉골
③ 공명음 - 크게 울리는 소리 - 높이가 높음 - 폐기종
④ 편평음 - 쿵하는 둔한 소리 - 높이가 낮음 - 간
간호과정론, 가족건강간호학 4-1
2015학년도 1 학기 3 학년 3 교시
17. 다음 중 심음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제1심음(S1)은 승모판과 삼첨판이 닫히는 수축기의 시작과 함께 발생함
② 제2심음(S2)은 대동맥판과 승모판이 열리는 이완기의 말과 동시에 발생함
③ 제3심음(S3)은 이완기 초기에 심실에 혈액이 빨리 채워질 때 생기는 소리
④ 제4심음(S4)은 제1심음 직전 이완기 말에 심실로 혈액을 내보내기 위해 심방수축을 발생
18. 다음 중 글래스고우 혼수 척도(Glasgow Coma Scale, GCS)로 사정한 결과가 올바른 것은?
개안반응(eye opening): 통증에 눈뜸
운동반응(motor response): 위축반응으로 통증 자극을 피하려 함
언어반응(verbal response): 이해할 수 없는 소리로 신음하거나 소리를 지름
① E3, M3, V2 ② E3, M2, V3
③ E2, M4, V2 ④ E2, M3, V3
19. 다음은 뇌신경 검사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안면신경(facial nerve)은 각막, 얼굴과 비점막의 감각, 저작기능에 관여함
② 시신경(optic nerve)과 동안신경(oculomotor nerve)은 동공반사에 관여함
③ 외전신경(abducens nerve)은 동안, 활차신경(trochlear nerve)과 함께 외안근의 움직임에 관여함
④ 부신경(accessory nerve)은 운동신경으로 승모근과 흉쇄유돌근의 기능에 관여함
20. 다음 중 병리적 반사에 해당하는 것은?
① 거고근 반사 ② 아킬레스건 반사
③ 이두근건 반사 ④ 케르니그(Kernig) 징후
21. 다음 중 말초혈관계 사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경정맥압은 정맥귀환을 측정하는 것임
② 심부정맥혈전증에서 발목을 굴절시켰을 때 종아리에서 통증을 느끼는지 검사하는 것을 알렌검사라고 함
③ 경동맥, 상완동맥, 요골동맥 등에서 맥박수, 규칙성, 강도 및 대칭성을 사정함
④ 맥압은 수축기와 이완기압의 차이로 정상은 30~40mmHg임
22. 다음 중 청신경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웨버검사에서 전도성 장애가 있으면 병변이 있는 귀에서 더 잘 들림
② 정상적으로 골전도가 공기전도보다 길게 들림
③ 린네검사는 음차를 진동시킨 후 외이도에 대고 소리가 들리지 않으면 유양돌기에 댐
④ 청력검사는 중이, 내이 및 제7번 뇌신경의 기능 검사임
23. 다음 중 유방사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유방사정은 시진과 촉진을 이용함
② 유방자가검진은 20세 이상 여성은 필수적으로 실시하며, 자가 검진을 통해 90%정도 조기발견할 수 있음
③ 피부가 젖으면 미끄러우므로 건조한 상태에서 월경직전 1주일 이내 실시함
④ 특히 유방의 상외방에 주의하면서 시진과 촉진을 실시함
24. 다음 중 반사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구토(구개)반사(gag reflex)는 설하신경(hypoglossal nerve)에 지배를 받음
② 심부건 반사는 건을 쳐서 반사를 일으키는 것으로 뻗침반사 혹은 건반사라고도 함
③ 바빈스키 반사(Babinski reflex)는 표재성 반사에 속함
④ 심부건 반사가 3+라는 것은 정상상태를 의미함
25. 다음 중 정상인에서 심첨맥박을 관찰할 수 있는 위치로 올바른 것은?
① 좌측 전액와선 6번째 늑간
② 좌측 전액와선 5번째 늑간
③ 좌측 중앙쇄골선상 6번째 늑간
④ 좌측 중앙쇄골선상 5번째 늑간
26. 다음 중 영양-대사 양상과 관련된 검진결과와 원인의 연결이 올바른 것은?
① 목, 림프절의 작고 유동적이며 둘레가 불분명한 결절 촉진 - 결핵성 임파선염
② 곤봉형 손톱 - 갑상선기능항진증
③ 전반적인 복부팽만과 배꼽 돌출 - 복수
④ 우상복부 통증 - 비장비대
27. 다음 중 건강지각-건강관리 양상과 관련된 간호진단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② 지식부족
③ 불이행
④ 자가간호결핍
28. 다음 중 간호사정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초기사정 시 긴박한 건강문제로 인하여 완전한 사정이 어려우면 입원 후 추후에 완성할 수 있음
② 초기사정은 포괄적인 기본자료를 제공함
③ 재사정은 이미 규명된 건강문제를 사정하는 것
④ 초점사정은 대표적으로 입원 시 입원사정표를 평가하는 것이 해당됨
29. 다음 중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간호진단 중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올바른 것은?
① 활동 지속성 장애 ② 심박출량 감소
③ 수면양상 장애 ④ 영양불균형
30. 다음 중 노인환자의 병리적 변화로 올바른 것은?
① 남성의 경우 약간의 전립선의 비대가 있음
② 건조하고 가늘어진 은색의 머리카락
③ 흉곽전후직경의 뚜렷한 증가
④ 고음을 잘 듣지 못함
31. 다음 중 노인의 인지기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는?
①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② Barthel index
③ SOA (Social Resource Scale)
④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32. 다음 중 분만 후 산모의 사정결과로 올바른 것은?
① 분만 후 처음에는 무배란성 월경이 흔함
② 자궁의 복구는 분만 후 느리게 진행되며 12시간이 지난 후에는 제와부 20cm 위에 위치함
③ 분만 후 오로(lochia)가 분비되며 처음에는 붉은 갈색에서 짙은 적색, 밝은 적색으로 변화됨
④ 분만 후 첫 2주 동안은 복벽이 긴장되어 있음
33. 아동은 성인과 차이가 있다. 아동의 일반적 특성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가. 입원아동의 연령에 따라서 고려할 점이 있다.
나. 성인과 아동은 심리적으로도 차이가 있다.
다. 성인과 아동은 해부학적으로, 생리적으로 차이가 있다.
① 가, 나 ② 나, 다
③ 가, 나, 다 ④ 다
34. 다음 중 자궁경부암의 조기 검진기법으로 주로 활용되는 검사법은?
① Pap smear
② Leopold maneuver
③ Pelvic endoscopy
④ Non Stress Test
35. 다음 중 간호기록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SOAP 기록은 문제중심기록(POMR)에서 비롯된 것임
② 관찰자의 주관적인 판단도 의미가 크므로 중요하게 기록해야 함
③ PIE 기록에서 E는 평가(evaluation)를 의미함
④ 전자간호기록은 용어와 서식의 표준화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여전히 남아있음
간호과정론 기말시험(2017).hwp
간호과정론 대체시험(2015).hwp
간호과정론 대체시험(2017).hwp
가족건강간호학 기말시험(2015).hwp
가족건강간호학 기말시험(2016).hwp
가족건강간호학 기말시험(2016) (1).hwp
가족건강간호학 기말시험(2017).hwp
가족건강간호학 대체시험(2016).hwp
간호과정론 대체시험(2018).hwp
가족건강간호학 기말시험(2018).hwp
간호과정론 기말시험(2019).hwp
간호과정론 대체시험(2019).hwp
간호과정론 대체시험(2019) (1).hwp
간호연구 기말시험(2015).hwp
간호연구 기말시험(2017).hwp
간호연구 기말시험(2018).hwp
간호연구 기말시험(2019).hwp
간호연구 대체시험(2015).hwp
간호연구 대체시험(2016).hwp
간호연구 대체시험(2018).hwp
간호연구 동계계절시험(2015).hwp
간호연구 동계계절시험(2016).hwp
간호연구 동계계절시험(2017).hwp
간호연구 동계계절시험(2019).hwp
좋은 정보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