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시험 기말기험 포함 20장올립니다
2과목
성 인 간 호 학
(36~70)
43. 기관지경 검사 후 환자의 간호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3시간 동안 절대 침상 안정한다.
② 금식은 필요하지 않다.
③ 출혈, 발열, 객혈 등의 합병증 여부를 관찰한다.
④ 쉰 목소리나 인후불편감이 심할 때에는 생리식염수로 가글한다.
44. 다음 <보기> 중 심박출량 감소에 따른 증상을 모두 고른다면?
<보 기>
가. 호흡곤란 나. 흉통
다. 부종 라. 피로
① 가, 다, 라 ② 가, 나, 다
③ 나, 다, 라 ④ 가, 나, 다, 라
45. 허혈성 심장질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심근경색증으로 인한 통증은 니트로글리세린을 투여하거나 휴식을 취하면 신속히 사라진다.
② 심근경색증 환자에게는 저혈압, 발한, 호흡곤란, 기좌호흡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③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치료목표는 심근경색의 크기를 제한하고 심근의 관류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④ 나이가 많은 노인의 경우에는 협심증으로 인한 통증이 심하지 않으면서 호흡곤란, 기절, 심한 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46. 심혈관 촬영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박정맥, 대퇴정맥 등을 이용한다.
② 말초 정맥이나 동맥을 이용한다.
③ 심장 내로 카테터를 삽입하고 조영제를 주입한다.
④ 관상동맥조영술을 병행하기도 한다.
47. 상처치유의 형태 중 피부 가장자리가 멀어서 결손부분을 채우는 결체조직이 필요한 상태는?
① 1차 유합 ② 2차 유합
③ 3차 유합 ④ 4차 유합
48. 상처의 삼출물 속에서 백혈구가 활동하기 좋은 습윤환경을 만들어서 괴사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① 보존법 ② 외과적 제거법
③ 효소 제거법 ④ 자가 분해법
49. 폐쇄성 폐질환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으로만 조립된 것은?
<보 기>
가. COPD, 기관지 천식, 기관지 확장증 등이 대표적인 질환이다.
나. 기도 분비물의 축적, 기도 내 점막부종, 기관지 수축과 폐조직 손상은 기도폐색의 원인이 된다.
다. 노력 호기량과 FEV1/FVC가 특징적으로 감소한다.
라. 폐 또는 흉부 순응도 감소로 정적 폐용적과 총폐용적이 줄어든다.
① 가, 다, 라 ② 가, 나, 다
③ 나, 다, 라 ④ 가, 나, 다, 라
※ 만성 기관지염과 폐기종에 관한 내용을 잘 읽고, 맞으면 ①, 틀리면 ②에 표기하시오. (50~52)
50. 폐기종은 폐포벽의 탄력성 저하와 좁아진 세기관지로 인해 호기 후 폐포 내 잔기량이 증가한다.
51. 폐기종의 특징적 증상에는 운동성 호흡곤란, 급성 호흡장애 등이 있다.
52. 만성 기관지염 환자의 총폐용량은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출제위원:방송대 정성희, 최윤경
출제범위:교재와 강의 전 범위
36. 중심정맥 TPN에 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으로만 조립된 것은?
<보 기>
가. 무균술은 필요하지 않다.
나. 고혈당증이나 저혈당증이 생기지 않도록 주입펌프로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
다. 관이 막힌 경우에는 생리식염수로 세척한다.
라. TPN 목적으로 삽입된 카테터에는 지방유제 이외의 다른 것을 사용하지 않는다.
① 가, 다, 라 ② 가, 나, 다
③ 나, 다, 라 ④ 가, 나, 다, 라
37. 다음 <보기>에서 중심정맥관의 합병증을 모두 고른 것은?
<보 기>
가. 기흉이나 혈흉 나. 공기색전증
다. 전신 감염증 라. 정맥관 파열 혹은 폐색
① 가, 다, 라 ② 가, 나, 다
③ 나, 다, 라 ④ 가, 나, 다, 라
38. 장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S상 결장루는 하행결장루와 유사한 형태로 대체로 묽은 변이 배설된다.
② 장루는 수술형태에 따라 단일장루, 환형장루, 이중장루 등으로 구분된다.
③ 회장루는 우측하복부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묽은 변이 배설된다.
④ 직장암, 대장암, 궤양성 대장염 등에서 대변배설을 위한 장루술을 시행할 수 있다.
39. 장루의 부분폐색이 발생한 경우의 증상 및 관리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복통, 복부팽만, 장루 부종 등이 나타난다.
② 주머니를 교환하고 장루주위 마사지를 실시한다.
③ 구토가 없으면 수분을 섭취해도 된다.
④ 무조건 금식을 해야 한다.
40. 피부 전층손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피부표면이 동일한 세포들로 재생되기 때문에 반흔이 형성되지 않는다.
② 강하고 지속적인 압력, 혹은 현저한 압력경사도가 오랜 기간 동안 완화되지 않을 때 발생한다.
③ 염증기는 전층손상 상처치유의 1단계로서, 이 단계에서는 혈류 정지와 염증이 발생한다.
④ 뼈 돌출부위에 위치하며 대부분 깊은 손상이다.
41. 상처치유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다면?
<보 기>
가. 조직관류와 산소 나. 영양상태
다. 나이 라. 성별
① 가, 다, 라 ② 가, 나, 다
③ 나, 다, 라 ④ 가, 나, 다, 라
42. 다음 중 상처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소독제는 염증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② 적절한 영양공급, 혈당조절 등을 통해 전신상태를 향상시킨다.
③ 괴사조직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강한 소독제를 사용해야 한다.
④ povidone iodine은 광범위 소독제이나 육아조직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전략적간호관리, 성인간호학 4-1
2015학년도 1 학기 4 학년 3 교시
53. COPD 환자의 간호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호흡근육 강화를 위해 호흡근의 근력 훈련과 지구력 훈련이 필요하다.
② 체위배액을 포함한 흉부물리요법을 실시한다.
③ 음식섭취는 소량씩 자주하는 것이 좋으며, 수분섭취는 가능한 한 제한하는 것이 좋다.
④ 흡연이나 호흡기감염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는 등 감염예방에 주의해야 한다.
54. 개심술받고 중환자실에 온 환자의 자발호흡이 완전히 없는 상태에서 걸어주는 인공호흡기 모드는 무엇인가?
① Weaning ② IMV
③ AMV ④ CMV
※ 아래의 <보기>는 인공호흡기의 세팅과 관련된 용어들이다. 다음 문제를 잘 읽고 괄호 안에 적합한 보기를 고르시오. (55~56)
<보 기>
① 압력한계(pressure limit)
② 흡입산소농도(FiO2)
③ 1회 호흡용적
④ 최고유출(peak flow)
55. ( )(은)는 매 호흡시 들어가는 공기량을 뜻한다.
56. ( )(은)는 기계가 주입할 가스의 산소농도를 뜻한다.
57. 의식변화에 따른 호흡양상 중, 뇌간 장애 시 발생하는 것으로 지속적으로 빠르고 깊은 과도 호흡을 보이며, 호흡성 알칼리증을 초래하는 것은?
① 체인스토크 호흡
② 중추신경성 과도 호흡
③ 운동실조성 호흡
④ 빈호흡
58. 글래스고(Glasgow) 혼수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외상성 환자의 평가뿐 아니라 비외상성 혼수, 뇌혈관질환, 심정지 환자, 독성물질섭취로 의식이 변화된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도 사용된다.
② 이 척도의 최고점수는 15점, 최저점수는 3점이다.
③ 언어반응, 운동반응, 통증반응에 대한 환자의 반응정도를 점수화한다.
④ 15항목을 기억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59. 신세뇨관에 퇴행성 비염증성 변화를 일으키는 신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혈뇨 ② 부종
③ 고콜레스테롤혈증 ④ 심한 단백뇨
60. 복막투석환자가 투석을 중단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① 과도한 체액감소 ② 과도한 체중감소
③ 복막염 ④ 뇌출혈
61. 다음 중 관문통제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중추신경과 SG세포 사이에 존재하는 델타시냅스가 통각자극을 조절함
② 인체에 분포된 다양한 말초신경조직이 동통수용기 역할을 하여 동통충돌을 일으킴
③ 통각은 뇌간의 세 가지 신경인 전삭세포, 말초전달세포와 후양질세포를 통해 전달됨
④ 유해자극수용기는 굵은 신경섬유인 C델타섬유와 유수신경섬유인 B섬유로 된 자유신경말단임
62. 진행성 암환자가 호소하는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① 근골격계 통증
② 두통
③ 암세포가 뼈, 신경, 기타 장기를 누르는 등 전이로 인한 통증
④ 심혈관계 통증
63. PRN으로 진통제 처방이 있을 때,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한 경우는?
① 간호사가 약물 투여간격을 정하고 간격을 준수하여 투여함
② 통증의 강도가 높다고 간호사가 판단할 때에 투여함
③ 환자가 통증의 강도가 매우 심하다고 호소할 때 투여함
④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통증이 심해지기 전에 투여함
64. 암환자의 통증관리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통증전달을 억제하기 위해서 경정맥 전극을 통해 중추신경에 전기자극을 투입함
② 급성 통증 시에는 골절, 다리의 안정화를 위해 운동을 제한함
③ 마사지, 압박, 진동은 이완을 통해 환자에게 도움을 줌
④ 아급성이나 만성 통증 치료 시에는 운동요법이 유용함
65. 당뇨병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아드레날린 호르몬이 높은 경우도 당뇨병 발생위험이 높음
②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대개 40세 이후에 발생함
③ 당내성 장애는 혈당수치가 정상과 당뇨 사이임
④ 기왕당내성 장애가 있는 사람은 당뇨병 발생 가능성이 높음
66. 당화혈색소(HbA1C)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12시간 금식 후 공복 시 혈당을 재고, 당을 경구나 정맥으로 주고 혈당치를 측정함
② 식후 2시간 혈당이 상승되어 있는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함
③ 검사 이전 4~6주 간의 평균 혈당조절 정도를 추측할 수 있음
④ 1일 당질섭취량의 5% 이상이 소변으로 배출되면 문제가 있다고 판정함
67. 다음 중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① 저혈당은 인슐린을 흡수가 잘 되지 않는 부위에 주사한 경우에 흔함
② 당뇨성 산독증 시에는 피하로 지속형 인슐린을 투여함
③ 의식이 없는 저혈당 환자는 신속하게 경구로 혈당을 높이는 음식을 제공하도록 함
④ 고혈당고삼투성비케톤성 혼수에서는 지방분해가 없기 때문에 케톤생성이 없음
68. 다음 중 방사선 치료 환자의 교육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① 방사선 치료 1시간 전 치료받는 부위 피부에 연고제를 발라 보호함
② 치료받는 부위를 표시한 잉크는 지우지 말도록 함
③ 치료받는 부위를 비누로 씻고, 파우더를 바름
④ 치료받는 부위는 하루에 한 번씩 햇빛에 노출시켜 건조시킴
69. 다약제내성균의 출현으로 인한 영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 종류가 많아져서 치료 방법 유형이 증가함
② 입원기간과 입원비용이 증가함
③ 병원성이 높아서 사망률과 유병률이 증가함
④ 내성 전이가 증가함
70.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의 가장 주된 전파경로는?
① 공기 전파(airborne transmission)
② 비말 전파(droplet transmission)
③ 접촉 전파(contact transmission)
④ 생물매개 전파(vector-borne transmission)
성 인 간 호 학
(36~70)
43. 기관지경 검사 후 환자의 간호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3시간 동안 절대 침상 안정한다.
② 금식은 필요하지 않다.
③ 출혈, 발열, 객혈 등의 합병증 여부를 관찰한다.
④ 쉰 목소리나 인후불편감이 심할 때에는 생리식염수로 가글한다.
44. 다음 <보기> 중 심박출량 감소에 따른 증상을 모두 고른다면?
<보 기>
가. 호흡곤란 나. 흉통
다. 부종 라. 피로
① 가, 다, 라 ② 가, 나, 다
③ 나, 다, 라 ④ 가, 나, 다, 라
45. 허혈성 심장질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심근경색증으로 인한 통증은 니트로글리세린을 투여하거나 휴식을 취하면 신속히 사라진다.
② 심근경색증 환자에게는 저혈압, 발한, 호흡곤란, 기좌호흡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③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치료목표는 심근경색의 크기를 제한하고 심근의 관류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④ 나이가 많은 노인의 경우에는 협심증으로 인한 통증이 심하지 않으면서 호흡곤란, 기절, 심한 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46. 심혈관 촬영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박정맥, 대퇴정맥 등을 이용한다.
② 말초 정맥이나 동맥을 이용한다.
③ 심장 내로 카테터를 삽입하고 조영제를 주입한다.
④ 관상동맥조영술을 병행하기도 한다.
47. 상처치유의 형태 중 피부 가장자리가 멀어서 결손부분을 채우는 결체조직이 필요한 상태는?
① 1차 유합 ② 2차 유합
③ 3차 유합 ④ 4차 유합
48. 상처의 삼출물 속에서 백혈구가 활동하기 좋은 습윤환경을 만들어서 괴사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① 보존법 ② 외과적 제거법
③ 효소 제거법 ④ 자가 분해법
49. 폐쇄성 폐질환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으로만 조립된 것은?
<보 기>
가. COPD, 기관지 천식, 기관지 확장증 등이 대표적인 질환이다.
나. 기도 분비물의 축적, 기도 내 점막부종, 기관지 수축과 폐조직 손상은 기도폐색의 원인이 된다.
다. 노력 호기량과 FEV1/FVC가 특징적으로 감소한다.
라. 폐 또는 흉부 순응도 감소로 정적 폐용적과 총폐용적이 줄어든다.
① 가, 다, 라 ② 가, 나, 다
③ 나, 다, 라 ④ 가, 나, 다, 라
※ 만성 기관지염과 폐기종에 관한 내용을 잘 읽고, 맞으면 ①, 틀리면 ②에 표기하시오. (50~52)
50. 폐기종은 폐포벽의 탄력성 저하와 좁아진 세기관지로 인해 호기 후 폐포 내 잔기량이 증가한다.
51. 폐기종의 특징적 증상에는 운동성 호흡곤란, 급성 호흡장애 등이 있다.
52. 만성 기관지염 환자의 총폐용량은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출제위원:방송대 정성희, 최윤경
출제범위:교재와 강의 전 범위
36. 중심정맥 TPN에 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으로만 조립된 것은?
<보 기>
가. 무균술은 필요하지 않다.
나. 고혈당증이나 저혈당증이 생기지 않도록 주입펌프로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
다. 관이 막힌 경우에는 생리식염수로 세척한다.
라. TPN 목적으로 삽입된 카테터에는 지방유제 이외의 다른 것을 사용하지 않는다.
① 가, 다, 라 ② 가, 나, 다
③ 나, 다, 라 ④ 가, 나, 다, 라
37. 다음 <보기>에서 중심정맥관의 합병증을 모두 고른 것은?
<보 기>
가. 기흉이나 혈흉 나. 공기색전증
다. 전신 감염증 라. 정맥관 파열 혹은 폐색
① 가, 다, 라 ② 가, 나, 다
③ 나, 다, 라 ④ 가, 나, 다, 라
38. 장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S상 결장루는 하행결장루와 유사한 형태로 대체로 묽은 변이 배설된다.
② 장루는 수술형태에 따라 단일장루, 환형장루, 이중장루 등으로 구분된다.
③ 회장루는 우측하복부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묽은 변이 배설된다.
④ 직장암, 대장암, 궤양성 대장염 등에서 대변배설을 위한 장루술을 시행할 수 있다.
39. 장루의 부분폐색이 발생한 경우의 증상 및 관리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복통, 복부팽만, 장루 부종 등이 나타난다.
② 주머니를 교환하고 장루주위 마사지를 실시한다.
③ 구토가 없으면 수분을 섭취해도 된다.
④ 무조건 금식을 해야 한다.
40. 피부 전층손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피부표면이 동일한 세포들로 재생되기 때문에 반흔이 형성되지 않는다.
② 강하고 지속적인 압력, 혹은 현저한 압력경사도가 오랜 기간 동안 완화되지 않을 때 발생한다.
③ 염증기는 전층손상 상처치유의 1단계로서, 이 단계에서는 혈류 정지와 염증이 발생한다.
④ 뼈 돌출부위에 위치하며 대부분 깊은 손상이다.
41. 상처치유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다면?
<보 기>
가. 조직관류와 산소 나. 영양상태
다. 나이 라. 성별
① 가, 다, 라 ② 가, 나, 다
③ 나, 다, 라 ④ 가, 나, 다, 라
42. 다음 중 상처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소독제는 염증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② 적절한 영양공급, 혈당조절 등을 통해 전신상태를 향상시킨다.
③ 괴사조직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강한 소독제를 사용해야 한다.
④ povidone iodine은 광범위 소독제이나 육아조직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전략적간호관리, 성인간호학 4-1
2015학년도 1 학기 4 학년 3 교시
53. COPD 환자의 간호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호흡근육 강화를 위해 호흡근의 근력 훈련과 지구력 훈련이 필요하다.
② 체위배액을 포함한 흉부물리요법을 실시한다.
③ 음식섭취는 소량씩 자주하는 것이 좋으며, 수분섭취는 가능한 한 제한하는 것이 좋다.
④ 흡연이나 호흡기감염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는 등 감염예방에 주의해야 한다.
54. 개심술받고 중환자실에 온 환자의 자발호흡이 완전히 없는 상태에서 걸어주는 인공호흡기 모드는 무엇인가?
① Weaning ② IMV
③ AMV ④ CMV
※ 아래의 <보기>는 인공호흡기의 세팅과 관련된 용어들이다. 다음 문제를 잘 읽고 괄호 안에 적합한 보기를 고르시오. (55~56)
<보 기>
① 압력한계(pressure limit)
② 흡입산소농도(FiO2)
③ 1회 호흡용적
④ 최고유출(peak flow)
55. ( )(은)는 매 호흡시 들어가는 공기량을 뜻한다.
56. ( )(은)는 기계가 주입할 가스의 산소농도를 뜻한다.
57. 의식변화에 따른 호흡양상 중, 뇌간 장애 시 발생하는 것으로 지속적으로 빠르고 깊은 과도 호흡을 보이며, 호흡성 알칼리증을 초래하는 것은?
① 체인스토크 호흡
② 중추신경성 과도 호흡
③ 운동실조성 호흡
④ 빈호흡
58. 글래스고(Glasgow) 혼수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외상성 환자의 평가뿐 아니라 비외상성 혼수, 뇌혈관질환, 심정지 환자, 독성물질섭취로 의식이 변화된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도 사용된다.
② 이 척도의 최고점수는 15점, 최저점수는 3점이다.
③ 언어반응, 운동반응, 통증반응에 대한 환자의 반응정도를 점수화한다.
④ 15항목을 기억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59. 신세뇨관에 퇴행성 비염증성 변화를 일으키는 신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혈뇨 ② 부종
③ 고콜레스테롤혈증 ④ 심한 단백뇨
60. 복막투석환자가 투석을 중단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① 과도한 체액감소 ② 과도한 체중감소
③ 복막염 ④ 뇌출혈
61. 다음 중 관문통제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중추신경과 SG세포 사이에 존재하는 델타시냅스가 통각자극을 조절함
② 인체에 분포된 다양한 말초신경조직이 동통수용기 역할을 하여 동통충돌을 일으킴
③ 통각은 뇌간의 세 가지 신경인 전삭세포, 말초전달세포와 후양질세포를 통해 전달됨
④ 유해자극수용기는 굵은 신경섬유인 C델타섬유와 유수신경섬유인 B섬유로 된 자유신경말단임
62. 진행성 암환자가 호소하는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① 근골격계 통증
② 두통
③ 암세포가 뼈, 신경, 기타 장기를 누르는 등 전이로 인한 통증
④ 심혈관계 통증
63. PRN으로 진통제 처방이 있을 때,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한 경우는?
① 간호사가 약물 투여간격을 정하고 간격을 준수하여 투여함
② 통증의 강도가 높다고 간호사가 판단할 때에 투여함
③ 환자가 통증의 강도가 매우 심하다고 호소할 때 투여함
④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통증이 심해지기 전에 투여함
64. 암환자의 통증관리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통증전달을 억제하기 위해서 경정맥 전극을 통해 중추신경에 전기자극을 투입함
② 급성 통증 시에는 골절, 다리의 안정화를 위해 운동을 제한함
③ 마사지, 압박, 진동은 이완을 통해 환자에게 도움을 줌
④ 아급성이나 만성 통증 치료 시에는 운동요법이 유용함
65. 당뇨병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아드레날린 호르몬이 높은 경우도 당뇨병 발생위험이 높음
②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대개 40세 이후에 발생함
③ 당내성 장애는 혈당수치가 정상과 당뇨 사이임
④ 기왕당내성 장애가 있는 사람은 당뇨병 발생 가능성이 높음
66. 당화혈색소(HbA1C)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12시간 금식 후 공복 시 혈당을 재고, 당을 경구나 정맥으로 주고 혈당치를 측정함
② 식후 2시간 혈당이 상승되어 있는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함
③ 검사 이전 4~6주 간의 평균 혈당조절 정도를 추측할 수 있음
④ 1일 당질섭취량의 5% 이상이 소변으로 배출되면 문제가 있다고 판정함
67. 다음 중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① 저혈당은 인슐린을 흡수가 잘 되지 않는 부위에 주사한 경우에 흔함
② 당뇨성 산독증 시에는 피하로 지속형 인슐린을 투여함
③ 의식이 없는 저혈당 환자는 신속하게 경구로 혈당을 높이는 음식을 제공하도록 함
④ 고혈당고삼투성비케톤성 혼수에서는 지방분해가 없기 때문에 케톤생성이 없음
68. 다음 중 방사선 치료 환자의 교육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① 방사선 치료 1시간 전 치료받는 부위 피부에 연고제를 발라 보호함
② 치료받는 부위를 표시한 잉크는 지우지 말도록 함
③ 치료받는 부위를 비누로 씻고, 파우더를 바름
④ 치료받는 부위는 하루에 한 번씩 햇빛에 노출시켜 건조시킴
69. 다약제내성균의 출현으로 인한 영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 종류가 많아져서 치료 방법 유형이 증가함
② 입원기간과 입원비용이 증가함
③ 병원성이 높아서 사망률과 유병률이 증가함
④ 내성 전이가 증가함
70.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의 가장 주된 전파경로는?
① 공기 전파(airborne transmission)
② 비말 전파(droplet transmission)
③ 접촉 전파(contact transmission)
④ 생물매개 전파(vector-borne transmission)
성인간호학 기말시험(2019) (2).hwp 성인간호학 기말시험(2015).hwp 성인간호학 기말시험(2016).hwp 성인간호학 기말시험(2017).hwp 재활간호학 기말시험(2015).hwp 재활간호학 기말시험(2016).hwp 재활간호학 기말시험(2017).hwp 재활간호학 대체시험(2015).hwp 재활간호학 대체시험(2016).hwp 재활간호학 대체시험(2016) (1).hwp 재활간호학 대체시험(2017).hwp 보건교육 기말시험(2015).hwp 보건교육 기말시험(2016).hwp 보건교육 기말시험(2017).hwp 보건교육 기말시험(2018).hwp 성인간호학 기말시험(2018).hwp 재활간호학 기말시험(2018).hwp 재활간호학 대체시험(2018).hwp 보건교육 기말시험(2019).hwp 성인간호학 기말시험(2019).hwp 성인간호학 기말시험(2019) (1).hwp
답안을 알수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