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개념화는 무엇인가?
① 규범적인 정의를 수량화할 수 있게 변화시키는 과정
② 관심대상을 다른 현상과 관련지음으로써 어떤 사회현상에 대한 설명이나 예측을 부여하는 과정
③ 사물이나 현상을 주의 깊게 조직적으로 파악하는 과정
④ 특별한 용어를 연구에 사용할 때 그 용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정확하게 구체화하는 과정
44. 연구문제를 구체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서 어떤 주제에 대해 관련된 사람들이 모여서 토론하고 의논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나?
① 브레인스토밍 ② 스탠드프리젠테이션
③ 토론식회의 ④ 심층인터뷰
45. 다음 중 현상학적 패러다임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상대주의적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② 타당성은 높으나 신뢰성은 낮은 편이다.
③ 양적 연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④ 상황이나 맥락을 강조하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렵다.
46. 다음의 변수 중 측정의 특성이 분명하게 다른 한 가지는?
① 피부색 ② 키
③ 연령 ④ 몸무게
47. 다음의 문헌 연구 기술방식 중 가장 바람직한 방식은?
① 주제순 ② 연구자순
③ 연대기순 ④ 개인의 선호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