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31 추천 수 3 댓글 6

56. 다음 중 민요의 분류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창자에 따라 남요, 부요, 동요로 나눌 수 있다.

   ② 기능에 따라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 등으로 나눌 수 있다.

   ③ 가창 방식에 따라 분련체 민요와 연속체 민요로 나눌 수 있다.

   ④ 장르에 따라 교술민요, 서정민요, 서사민요, 희곡민요로 나눌 수 있다.

 

57. 다음 중 노동요 사설의 세 가지 기본적 역할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지시하며 격려하는 실무역

   ② 기억하고 추모하는 회고역

   ③ 담아내고 털어내는 표출역

   ④ 즐거움과 재미를 주는 놀이역

 

58. 다음 중 서사민요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설에서 전환된 작품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② 일정한 인물과 사건을 갖춘 이야기로 되어 있다.

   ③ 다른 서사장르에 비해 단순하면서도 현실적이다.

   ④ 기능요인 서사민요는 주로 길쌈노동요로 불려진다.

 

59. 다음 중 판소리의 서사요적 성격을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연 현장에서 형성되는 명창과 관중 사이의 관계는 판짜기에 영향을 미치기가 불가능하다.

   ② 사설의 의미에 부합하는 악조와 장단을 적절하게 안배하는 것이 판소리의 일차적 판짜기라고 할 수 있다.

   ③ 판소리 사설은 인간사를 입체적으로 기술하는 서사이기에 복잡하고 다양하여 악조, 장단의 배합이 간단하지 않다.

   ④ 사설의 내용을 잘 전달하기 위한 너름새와 명창의 구연의욕을 북돋우고 분위기를 흥겹게 만드는 추임새가 잘 조화되어야 한다.

 

60. 다음 중 판소리의 가창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광대는 손에 부채나 손수건 같은 것들을 들고 작중인물의 모든 시늉을 몸짓으로 나타낸다.

   ② 아니리 대목은 성음을 분명하게 해야 하므로 가장 느린 곡조의 창(唱)으로 목소리를 짠다.

   ③ 가창을 시작하면서 맨 먼저 ‘목 푸는 소리’ 또는 「허두가(虛頭歌)」라는 것을 먼저 부른다.

   ④ 광대는 창을 하고 고수는 북으로 장단을 치며 ‘추임새’라고 하는 탄성을 발해 흥을 돋운다.

 

61. 다음 중 판소리 사설의 미학적 특징을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눈물을 흘리면서도 터지는 웃음을 어쩌지 못하도록 한다.

   ② 작품의 주제뿐만 아니라 장면화된 부분적 사설의 의미도 중요하다.

   ③ 사설의 개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의 유기적 구조가 유지될 수 있었다.

   ④ 사대부들의 정신세계를 패러디하면서 골계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꾸며져 있다.

 

62. 다음 중 판소리의 특징을 설명한 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① 조선 후기의 경제적인 변화에는 민감하게 대처하지 못한 장르이다.

   ② 신분 질서에 대해서는 중세의 봉건적 질서를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③ 인간의 운명은 초자연적 질서에 의해 결정된다는 관념론을 완전히 극복했다.  

   ④ 이면적 주제로 나타난 판소리의 사회의식은 현실적 합리주의라고 할 수 있다.

 

소리와발음, 구비문학의세계  5-4

 

4 학년   3 교시

63. 다음 중 민속극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민요나 설화보다 더욱 철저히 민중적이다.

   ② 아전과 상인에 대해서는 반드시 적대적인 태도를 나타낸다.

   ③ 반드시 연극이 아니라도 민간 전승인 것은 민속극에 포함된다.

   ④ 무당굿놀이나 판소리 역시 민속극의 요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

 

64. 다음 중 가면극의 공연방식을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년에 한 번, 이른 봄부터 여름 사이에 있는 가장 큰 명절에 공연하는 경우가 많다.

   ② 가면의 표정은 고정되어 있으나 작중 상황 및 쓰는 각도에 따라 가면의 이미지와 역할이 달라진다.

   ③ 관중이 모일 수 있는 공터 중, 극 진행에 도움이 되는 무대 장치를 잘 갖출 수 있는 곳이 공연장소가 된다.

   ④ 마을 사람들 중에서 특히 익숙한 사람이 하거나, 오랜 수련을 거쳐서 어느 정도 전문화된 연희자가 하기도 한다.  

 

65. 다음은 어떤 가면극에 대한 설명인가?

   

- 처첩의 갈등을 다루고 있으며 남성의 횡포를 고발하고 있다.

- 영감과 할미, 할미와 덜머리집이라는 인물 설정의 근거와 할미의 죽음까지 초래한 이들 사이의 불화에서는 탈춤의 기원이 논해질 수 있다.

- 웃음과 눈물의 공존은 이 작품의 연극적 성격을 심각한 문제로 제기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 남성의 횡포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① 봉산탈춤 <노장과장>     

   ② 봉산탈춤 <미얄과장>

   ③ 양주별산대 <침놀이>     

   ④ 양주별산대 <포도부장놀이>

 

66. 다음 중 꼭두각시놀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박첨지는 백발노인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가장 빈번하게 등장한다.

   ② 꼭두각시는 박첨지의 첩실로서 화려한 복색에 미인의 형상을 하고 있다.

   ③ 기존 사회의 권위와 관념을 파괴하는 충격을 일으키면서 관심을 모은다.

   ④ 각 장면은 박첨지의 해설에 의해 서로 연관성을 갖게 되지만 기본적으로 서로 독립되어 있다.

 

67. 다음 중 재담의 특징과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언어를 통한 재미, 즉 말하고 들어서 그 의미를 알고 느끼는 재미를 추구한다.

   ② 그 자체로도 문학의 한 갈래로서 중요한 가치가 있으며 소설이나 희곡 및 노래 사설에 수용되기도 한다.

   ③ 어희담(語戱譚)은 말 시합의 형태로 전개되는 재담으로, 어희 자체보다는 깊은 의미를 지향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④ 문자담은 지식인들 사이에서 행해지던 재담으로, 문자를 본래 의미하는 바와 다른 의미로 사용하여 경합을 벌이는 이야기이다.

 

68. 다음 중 속담의 유형과 사례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교훈형 – 저녁 굶은 시어미상

   ② 풍자형 –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

   ③ 풍자형 – 달도 차면 기운다.

   ④ 표현형 -  게 눈 감추듯

  • ?
    산과들 2022.03.19 21:38

    자료 보게해 주세요

  • ?
    무지개 2022.06.09 01:28

    감사합니다

  • ?
    무지개 2022.06.09 01:29

    감사합니다

  • ?
    케잌 2023.06.10 17:27

    감사합니다!

  • ?
    헬레나 2024.06.05 22:32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profile
    피지오리 2024.07.02 08:14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공지 (필독) 공지 모음 / 코인(포인트) 얻는 방법 및 입문서 417 게시판관리 6427
공지 커뮤니티를 홍보하고 포인트를 적립해보세요 73 게시판관리 2907
공지 글쓰기 에디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34 file 게시판관리 2324
공지 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우/회원들만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게시판입니다. 게시판관리 73938
164 일반 반갑습니다 new coolthings 3
163 일반 안녕하세요~ 1 update haileykim 6
162 1학년 국문과 1학년 입학생 인사드립니다. 1 주국이 29
161 일반 죄송하지만 도움이 필요합니다. 1 베이브 85
160 공통 2025학년도 1학기 멘토·멘티 모집해요 피지오리 53
159 과공지 [행사] 2025학년도 1학기 국어국문학과 오리엔테이션 안내 여우곰 146
158 과공지 [기타] [유아교육과] 교내 근로장학생 모집 공고(~2/14) 여우곰 39
157 1학년 안녕하세요~ 1학년입니다 :) 1 뚝배기 59
156 일반 [등록] 2025학년도 1학기 등록금 납입 안내 - 재적생 납부는 1월 31일 부터 입니다. 1 여우곰 60
155 3학년 이번 3학년 편입생입니다. 1 국문여니 97
154 과공지 [기타] [생활과학부]교내 근로장학생 모집(~2/6) 여우곰 20
153 과공지 [기타] [문화교양학과] 교내 근로장학생 모집 공고 (~1/30) 여우곰 19
152 질문 안녕하세요 타과 학생인데 맞춤법과 표준어 교양과목으로 수강중인데요! 2 솔라시도 137
151 1학년 국어학개론 워크북(2007) 참고용 5 file 피지오리 642
150 정보 제33회 《문명 그 화려한 역설》 69개의 표지비밀 풀기 프로젝트 공모 file JCOB 676
149 정보 2024 제1회 홍재 청년 문학상 공모전 file JCOB 604
148 3학년 생활법률 특강 및 자료_모음 2019~2022 3 file 피지오리 602
147 2학년 문학의 이해 강의록 통합_컬러 2 file 피지오리 617
146 1학년 글쓰기 강의록 통합_컬러 6 file 피지오리 531
145 1학년 안녕하세요 국어국문학과 1학년입니다 4 노용숙 4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