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과목
한국희곡론
(36~70)
출제범위:교재 및 멀티미디어강의 전 범위
[출석수업 범위 6장, 7장(167-208) 제외]
36. 최초의 창작 창극인 <최병두 타령>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08년 원각사에서 공연되었다.
② 강용환을 비롯한 여려 명창들과 신소설 작가 이인직이 합작하여 창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③ 강원감사로부터 개화파 부농이 재산을 다 빼앗기고 목숨까지 잃게 된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④ <최병두 타령>과 비슷한 소재의 실화를 다룬 창극은 더 이상 발표되지 않았다.
37. 토월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20년대의 대표적인 연극 단체로, 박승희가 이끌었다.
② 순수 학생들이 창립해서 초기에는 학생 계몽운동의 일환으로 공연하였다.
③ 홍사용, 김동환 등 문인들의 헌신적인 참여가 있었다.
④ 56회 공연을 마치고 잠정 해산한 뒤 박승희는 토월회를 탈퇴했다.
38. 김우진의 평론 「창작을 권합네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생명․죽음․신․이상 등 인생의 근원적인 문제를 강조한다.
② 전통적인 윤리의식의 구곡(舊穀)을 깨는 정신사회개혁을 강조한다.
③ 작품의 보편적인 예술성보다는 개별 작품의 개성을 강조한다.
④ 근대의식과 표현주의, 자연주의를 염두에 두고 있다.
39. 다음은 김우진의 희곡 중 일부로서 전통적 유교 모럴을 대표하는 아버지와 서양 근대 모럴을 대변하는 아들 사이의 충돌과 상극이 묘사되고 있다. 이 작품의 제목은 무엇인가?
시인 : 나는 건망증을 영광으로 생각하오. 그러나 매는 잊었어도 눈물은 잊을 수가 없어요. 날 때려 달라는 말은 당신의 그 ‘양반 가정’, ‘신라 성족의 후예’라는 자만을 내게서 뺏어 달라는 말예요.
부 : (달려들어 한번 내갈기며) 불효자! 모든 것이 효에서 시작하는 것을 모르니? 효! 서양놈 일본놈은 모르되 우리 조선사람은 충신도 효에서 치천하(治天下)도 효에서 나오는 것이다.
① <두데기 시인의 환멸> ② <이영녀>
③ <난파> ④ <정오>
40. 김우진 및 그의 작품세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김우진은 버나드 쇼(G. Bernard Shaw)에게서 깊은 영향을 받은 쇼주의자였다.
② 김우진은 최초로 서구 근대극을 제대로 연구하고 영향을 받은 작가이다.
③ 사회적 개혁사상이 작품 전체에 일관되게 흐르고 있다.
④ 그의 작품 중 <이영녀>는 표현주의 극작가 스트린드베리(A. Strindberg)의 상징수법을 쓴 것이 특징이다.
41. 송영의 생애와 작품세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염군사 계열의 프롤레타리아 작가로서 일본에서의 노동자 체험을 바탕으로 한 노동소설을 선도적으로 이끌었다.
② 1920년대 후반부터 카프의 대표적인 소설가이며 극작가로 활발한 작품활동을 펼쳤다.
③ 카프 활동으로 인해 두 차례 검거․투옥된 이후 절필하였다가 광복이 되자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결성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활동을 재개했다.
④ <정의와 칸바스>, <일체 면회를 거절하라> 등의 작품을 발표하면서 신경향파적 성향을 극복했다.
42. 송영의 희곡 중, 일제에 기생하며 강력한 자본의 힘을 빌려 농민들의 생활을 위협하는 삼림회사의 부조리를 드러내고 풍자한 작품은 무엇인가?
① <신임이사장> (1934) ② <호신술> (1931)
③ <황금산> (1936) ④ <윤씨일가> (1939)
언어와의미, 한국희곡론 4-1
4 학년 1 교시
43. 유치진이 이끈 극예술연구회(‘극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38년 일제의 명령에 따라 직업극단 극연좌로 바뀌었다가 1년 만에 강제 해산되었다.
② 유치진은 극연의 연출을 전담하게 되면서 전문극단으로 탈바꿈을 꾀하게 된다.
③ 8회 공연예정이었던 <소>는 검열을 통과하지 못했지만 ‘극연’은 공연을 강행했다.
④ <춘향전> 등의 대작과 미국의 상업적 작품들을 대극장에서 공연하면서 흥행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44. 유치진의 작품을 그 성격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토막>, <소> 등 사실주의극
② <제사>, <자매> 등 가정문제극
③ <흑룡강>, <북진대> 등 친일연극(국민연극)
④ <당나귀>, <개골산> 등 역사극
45. 다음은 유치진의 <제사>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극작가는 누구인가?
<제사>는 극연 8회 공연작으로서 1935년 11월 부민관에서 공연되었다. 이 작품은 ( )의 <아버지 돌아오다>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지만, 소재나 결말의 내용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번안이나 모방이 아닌 새로운 창작으로 보아야 한다.
① 존 밀링턴 싱(J. M. Synge)
② 기쿠치 칸(菊池寬)
③ 숀 오케이시(Sean O'Casey)
④ 버나드 쇼(G. Bernard Shaw)
46. 함세덕의 작품 중 일제말기의 농민수탈정책을 정면으로 고발하여 ‘식량궁상의 폭로, 공출반대 조장, 암취인의 구체적 방법 시사’ 등을 이유로 검열에서 전문 삭제되기도 했던 작품은 무엇인가?
① <서글픈 재능> ② <동승>
③ <감자와 쪽제비와 여교원> ④ <산허구리>
47. 오영진의 <맹진사댁 경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래 민담인 ‘뱀서방’에서 소재를 선택했다.
② 전통적인 민담의 구조를 변용하고 전복시켰다.
③ 구습 결혼제도의 모순과 양반들의 권력지향성, 허욕, 우매성 등을 캐리커처했다.
④ 한국인의 여러 가지 생활양상을 미학적 관점에서 현현하여 무비판적 일본화, 서구화를 거부하고 위선을 배격했다.
48. 연극의 3요소 중 하나인 관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현대 관객은 연극에 직접 참여하려는 경향이 있다.
② 관객은 연극을 충분히 이해하고 해독하려는 노력을 할 필요가 없다.
③ 연출가는 자신의 참신하고 고유한 개성을 드러내기 위해, 관객을 배려할 필요가 없다.
④ 연극을 지켜보는 행위는 예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행위에 해당한다.
49. 연극의 발달과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아이스킬로스가 제2의 인물을 창조하여 무대장치와 의상과 같은 연극적 요소들을 제대로 갖추게 했다.
② 예수의 탄생부터 부활과 승천에 이르는 신약의 사건을 짤막한 에피소드 40여 편 정도로 묶어 ‘기적극’이라 불렀다.
③ 세속적인 도덕극의 인기에 힘입어 15,6세기 유럽 여러 지역에 전문 직업극단이 탄생하고 실내극장이 건립되었다.
④ 엘리자베스 여왕이 통치하던 영국에서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문화를 기준으로 한 바로크 양식의 신고전주의 예술을 확립해 나갔다.
50. 희곡에 대한 일반적인 속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무대 공연을 염두에 둘 필요가 없다.
② 말과 행동 등의 매체를 사용한다.
③ 희곡은 지시어에 크게 의존한다는 측면 때문에 직시성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④ 특정한 연극적 관습을 따라 창작된다.
한국희곡론
(36~70)
출제범위:교재 및 멀티미디어강의 전 범위
[출석수업 범위 6장, 7장(167-208) 제외]
36. 최초의 창작 창극인 <최병두 타령>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08년 원각사에서 공연되었다.
② 강용환을 비롯한 여려 명창들과 신소설 작가 이인직이 합작하여 창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③ 강원감사로부터 개화파 부농이 재산을 다 빼앗기고 목숨까지 잃게 된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④ <최병두 타령>과 비슷한 소재의 실화를 다룬 창극은 더 이상 발표되지 않았다.
37. 토월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20년대의 대표적인 연극 단체로, 박승희가 이끌었다.
② 순수 학생들이 창립해서 초기에는 학생 계몽운동의 일환으로 공연하였다.
③ 홍사용, 김동환 등 문인들의 헌신적인 참여가 있었다.
④ 56회 공연을 마치고 잠정 해산한 뒤 박승희는 토월회를 탈퇴했다.
38. 김우진의 평론 「창작을 권합네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생명․죽음․신․이상 등 인생의 근원적인 문제를 강조한다.
② 전통적인 윤리의식의 구곡(舊穀)을 깨는 정신사회개혁을 강조한다.
③ 작품의 보편적인 예술성보다는 개별 작품의 개성을 강조한다.
④ 근대의식과 표현주의, 자연주의를 염두에 두고 있다.
39. 다음은 김우진의 희곡 중 일부로서 전통적 유교 모럴을 대표하는 아버지와 서양 근대 모럴을 대변하는 아들 사이의 충돌과 상극이 묘사되고 있다. 이 작품의 제목은 무엇인가?
시인 : 나는 건망증을 영광으로 생각하오. 그러나 매는 잊었어도 눈물은 잊을 수가 없어요. 날 때려 달라는 말은 당신의 그 ‘양반 가정’, ‘신라 성족의 후예’라는 자만을 내게서 뺏어 달라는 말예요.
부 : (달려들어 한번 내갈기며) 불효자! 모든 것이 효에서 시작하는 것을 모르니? 효! 서양놈 일본놈은 모르되 우리 조선사람은 충신도 효에서 치천하(治天下)도 효에서 나오는 것이다.
① <두데기 시인의 환멸> ② <이영녀>
③ <난파> ④ <정오>
40. 김우진 및 그의 작품세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김우진은 버나드 쇼(G. Bernard Shaw)에게서 깊은 영향을 받은 쇼주의자였다.
② 김우진은 최초로 서구 근대극을 제대로 연구하고 영향을 받은 작가이다.
③ 사회적 개혁사상이 작품 전체에 일관되게 흐르고 있다.
④ 그의 작품 중 <이영녀>는 표현주의 극작가 스트린드베리(A. Strindberg)의 상징수법을 쓴 것이 특징이다.
41. 송영의 생애와 작품세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염군사 계열의 프롤레타리아 작가로서 일본에서의 노동자 체험을 바탕으로 한 노동소설을 선도적으로 이끌었다.
② 1920년대 후반부터 카프의 대표적인 소설가이며 극작가로 활발한 작품활동을 펼쳤다.
③ 카프 활동으로 인해 두 차례 검거․투옥된 이후 절필하였다가 광복이 되자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결성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활동을 재개했다.
④ <정의와 칸바스>, <일체 면회를 거절하라> 등의 작품을 발표하면서 신경향파적 성향을 극복했다.
42. 송영의 희곡 중, 일제에 기생하며 강력한 자본의 힘을 빌려 농민들의 생활을 위협하는 삼림회사의 부조리를 드러내고 풍자한 작품은 무엇인가?
① <신임이사장> (1934) ② <호신술> (1931)
③ <황금산> (1936) ④ <윤씨일가> (1939)
언어와의미, 한국희곡론 4-1
4 학년 1 교시
43. 유치진이 이끈 극예술연구회(‘극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38년 일제의 명령에 따라 직업극단 극연좌로 바뀌었다가 1년 만에 강제 해산되었다.
② 유치진은 극연의 연출을 전담하게 되면서 전문극단으로 탈바꿈을 꾀하게 된다.
③ 8회 공연예정이었던 <소>는 검열을 통과하지 못했지만 ‘극연’은 공연을 강행했다.
④ <춘향전> 등의 대작과 미국의 상업적 작품들을 대극장에서 공연하면서 흥행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44. 유치진의 작품을 그 성격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토막>, <소> 등 사실주의극
② <제사>, <자매> 등 가정문제극
③ <흑룡강>, <북진대> 등 친일연극(국민연극)
④ <당나귀>, <개골산> 등 역사극
45. 다음은 유치진의 <제사>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극작가는 누구인가?
<제사>는 극연 8회 공연작으로서 1935년 11월 부민관에서 공연되었다. 이 작품은 ( )의 <아버지 돌아오다>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지만, 소재나 결말의 내용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번안이나 모방이 아닌 새로운 창작으로 보아야 한다.
① 존 밀링턴 싱(J. M. Synge)
② 기쿠치 칸(菊池寬)
③ 숀 오케이시(Sean O'Casey)
④ 버나드 쇼(G. Bernard Shaw)
46. 함세덕의 작품 중 일제말기의 농민수탈정책을 정면으로 고발하여 ‘식량궁상의 폭로, 공출반대 조장, 암취인의 구체적 방법 시사’ 등을 이유로 검열에서 전문 삭제되기도 했던 작품은 무엇인가?
① <서글픈 재능> ② <동승>
③ <감자와 쪽제비와 여교원> ④ <산허구리>
47. 오영진의 <맹진사댁 경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래 민담인 ‘뱀서방’에서 소재를 선택했다.
② 전통적인 민담의 구조를 변용하고 전복시켰다.
③ 구습 결혼제도의 모순과 양반들의 권력지향성, 허욕, 우매성 등을 캐리커처했다.
④ 한국인의 여러 가지 생활양상을 미학적 관점에서 현현하여 무비판적 일본화, 서구화를 거부하고 위선을 배격했다.
48. 연극의 3요소 중 하나인 관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현대 관객은 연극에 직접 참여하려는 경향이 있다.
② 관객은 연극을 충분히 이해하고 해독하려는 노력을 할 필요가 없다.
③ 연출가는 자신의 참신하고 고유한 개성을 드러내기 위해, 관객을 배려할 필요가 없다.
④ 연극을 지켜보는 행위는 예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행위에 해당한다.
49. 연극의 발달과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아이스킬로스가 제2의 인물을 창조하여 무대장치와 의상과 같은 연극적 요소들을 제대로 갖추게 했다.
② 예수의 탄생부터 부활과 승천에 이르는 신약의 사건을 짤막한 에피소드 40여 편 정도로 묶어 ‘기적극’이라 불렀다.
③ 세속적인 도덕극의 인기에 힘입어 15,6세기 유럽 여러 지역에 전문 직업극단이 탄생하고 실내극장이 건립되었다.
④ 엘리자베스 여왕이 통치하던 영국에서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문화를 기준으로 한 바로크 양식의 신고전주의 예술을 확립해 나갔다.
50. 희곡에 대한 일반적인 속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무대 공연을 염두에 둘 필요가 없다.
② 말과 행동 등의 매체를 사용한다.
③ 희곡은 지시어에 크게 의존한다는 측면 때문에 직시성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④ 특정한 연극적 관습을 따라 창작된다.
한국희곡론 기말시험(2018).hwp 한국희곡론 대체시험(2016).hwp 한국희곡론 대체시험(2017).hwp 한국희곡론 대체시험(2018).hwp 한국희곡론 대체시험(2019).hwp 한국희곡론 기말시험(2015).hwp 한국희곡론 기말시험(2016).hwp 한국희곡론 기말시험(2017).hwp 한국희곡론 대체시험(2015).hwp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