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의 개화가사에서 찾아볼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대죠선국건양원년 ᄌᆞ쥬독닙깃버ᄒᆞ셰
님군ᄭᅴ츙성하고 졍부를보호ᄒᆞ셰
(중략)
우리나라보젼ᄒᆞ기 자낫ᄭᆡ나ᄉᆡᆼ각ᄒᆞ세
국태평가안락은 ᄉᆞ롱공샹힘을쓰세
- 최돈성, 『독립신문』에 실린 글 중에서
① 국민의 일심단결과 협동을 강조
② 근대적인 직분론에 대한 인식
③ 새로운 국민국가의 출현을 희망
④ 전근대적 전제군주제 지향
2. 다음 중 개화기의 창가에 대한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① 주로 찬송가의 가사나 신극에서 불렸던 창가의 가사를 의미한다.
② 새로운 형식을 통해 근대적 변화를 노래한 「경부철도가」와 「세계일주가」가 대표적이다.
③ 개화가사보다 길이가 짧아짐으로써 가창에 적합한 단형 장르가 되었다.
④ 3․4조 4음보격으로 나타나며, 점차 합가와 후렴이 제외되었다.
3. 다음에서 설명하는 시인과 그의 작품은 무엇인가?
․개화기 시가와 달리 정형형에서 탈피하고 있다.
․시의 화자는 거센 물결로 설정되어 있으며 당당하고 늠름한 남성화자로 당대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의 각성을 촉구하고 있다.
① 최남선 「해에게서 소년에게」
② 신채호 「한나라 생각」
③ 이광수 「우리영웅」
④ 신태식 「창의가」
4. 다음 중 『해파리의 노래』에 대한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① 이 시집을 출간한 시인은 『장미촌』 창간을 주도하였다.
② 한국 최초의 근대 번역시집으로 상징주의 문학의 이입에 영향을 미쳤다.
③ 프로문학과 민족문학 사이에서 절충주의적 문학론을 대표하는 시집이다.
④ 참신한 언어 표현과 시 형태를 통해 1920년대 초 시단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근현대문학사 4-1
5. 다음 중 주요한의 「불놀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영탄적인 수사법과 어구의 반복으로 내적 운율을 형성하고 있다.
② 민요적 율격의 규칙성을 기반으로 창작된 최초의 자유시이다.
③ 4월 초파일의 축제를 배경으로 하여 ‘사랑 잃은 청년’의 혼란스러운 내면과 정서적 통합을 보여준다.
④ 1919년 『창조』의 창간호에 실린 작품이다.
6. 다음 중 김억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타고르의 시집을 번역하였다.
② 1920년대 『폐허』 동인으로 활동했다.
③ 집단적 정서를 표출하는 산문시를 주로 창작했다.
④ 상징주의 시와 시론을 소개하였다.
7. 1920년대 동인지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장미촌』(1921): 카프에 대항한 민족주의의 문예지
② 『폐허』(1920): 퇴폐주의적 성향의 동인지
③ 『개벽』(1920): 천도교 기관지
④ 『창조』(1919): 최초의 순문예 동인지
8. 전형적인 7․5조의 3음보 율격을 기본으로 하여 이별의 정한을 노래하였으며, 고대시가인 「황조가」와 민요 「아리랑」 등의 시적 정조와 동일한 김소월의 시는?
① 「산유화」 ② 「금잔디」
③ 「먼 후일」 ④ 「접동새」
9. 다음 중 『백조』 동인이 아닌 시인은?
① 변영로 ② 박영희
③ 이상화 ④ 박종화
10. 다음 중 근대적 독자가 탄생한 배경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타인과의 동화와 공감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적 독서로의 전환
② 근대적 도서관의 등장
③ 대중의 교육 수준 향상
④ 시각적인 글 읽기 방식의 변화
11. 다음 중 임화의 「우리 오빠와 화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어린 누이로 설정된 시적 화자가 서간체를 통해 그 내면을 드러낸다.
② ‘브나로드’만 외치고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인텔리의 모순과 비애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③ 대중화 논의의 대표자인 김기진이 ‘단편서사시’로 명명한 바 있다.
④ 카프의 방침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시적인 완성도를 보여준다.
근현대문학사 4-2
12. 1930년 창간하여 그해 12월 3호 발간을 끝으로 폐간된 『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이후의 자연주의 문학의 성립과 활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② 객관적 현실에 종속되지 않는 문학의 자율성을 지향하였다.
③ 『시문학』 폐간 이후 『문예월간』, 『문학』 등으로 활동이 이어졌다.
④ 완결된 시적 언어를 통해 순수한 내면세계에 도달하려 하였다.
13. 다음의 모더니즘 유파의 시인과 그에 대한 설명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이상 : 복잡한 수식이나 기호를 시 양식에 도입하는 등 난해한 수법으로 식민지 근대를 넘어서려는 지식인의 몸부림을 보여준다.
② 김기림 : 「기상도」와 같은 장시를 통해 세계적인 불안 사조의 유행과 근대적인 문명의 허실에 대한 비판적 자각을 드러냈다.
③ 김광균 : 사물의 변신술에 집중하여 대상과의 일대일 대면을 통해 그 본질에 다가서려는 이미지즘의 전형을 보여준다.
④ 정지용 : 언어에 대한 절제를 통한 세련미를 추구하고 사물에 대한 느낌을 감각적이고 선명한 언어를 통해 객관화시켰다.
14. 다음 중 시인 백석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① 대표시로는 「가즈랑집」, 「여우난골족」, 「여승」 등이 있다.
② 『삼사문학(三四文學)』의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③ 시인과 자연이 하나라는 신화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④ 독특한 토착적인 공간 형식을 작품의 구조로 삼았다.
15. 1936년 창간된 『시인부락』에 대한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① 카프 계열의 시인과 그 맥이 닿아 있다.
② 김영랑, 박용철 등 순수 서정시와 그 성격을 같이 한다.
③ 백석, 이용악, 이하윤 등의 시인이 참여하였다.
④ 인간 고뇌를 육성 그대로 표출 및 약동하는 생명의 상태를 탐구하였다.
1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잡지는?
- 식민주의와 파시즘의 옹호 문학
- 일제 말엽 황민화․전시정책의 일환으로 강행된 문학
① 『문장』
② 『삼사문학』
③ 『국민문학』
④ 『시건설』
17. 다음 중 청록파 시인끼리 바르게 묶인 것은?
①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
② 박인환, 김수영, 양병식
③ 임화, 김기진, 박영희
④ 김광균, 김광섭, 이양하
대죠선국건양원년 ᄌᆞ쥬독닙깃버ᄒᆞ셰
님군ᄭᅴ츙성하고 졍부를보호ᄒᆞ셰
(중략)
우리나라보젼ᄒᆞ기 자낫ᄭᆡ나ᄉᆡᆼ각ᄒᆞ세
국태평가안락은 ᄉᆞ롱공샹힘을쓰세
- 최돈성, 『독립신문』에 실린 글 중에서
① 국민의 일심단결과 협동을 강조
② 근대적인 직분론에 대한 인식
③ 새로운 국민국가의 출현을 희망
④ 전근대적 전제군주제 지향
2. 다음 중 개화기의 창가에 대한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① 주로 찬송가의 가사나 신극에서 불렸던 창가의 가사를 의미한다.
② 새로운 형식을 통해 근대적 변화를 노래한 「경부철도가」와 「세계일주가」가 대표적이다.
③ 개화가사보다 길이가 짧아짐으로써 가창에 적합한 단형 장르가 되었다.
④ 3․4조 4음보격으로 나타나며, 점차 합가와 후렴이 제외되었다.
3. 다음에서 설명하는 시인과 그의 작품은 무엇인가?
․개화기 시가와 달리 정형형에서 탈피하고 있다.
․시의 화자는 거센 물결로 설정되어 있으며 당당하고 늠름한 남성화자로 당대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의 각성을 촉구하고 있다.
① 최남선 「해에게서 소년에게」
② 신채호 「한나라 생각」
③ 이광수 「우리영웅」
④ 신태식 「창의가」
4. 다음 중 『해파리의 노래』에 대한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① 이 시집을 출간한 시인은 『장미촌』 창간을 주도하였다.
② 한국 최초의 근대 번역시집으로 상징주의 문학의 이입에 영향을 미쳤다.
③ 프로문학과 민족문학 사이에서 절충주의적 문학론을 대표하는 시집이다.
④ 참신한 언어 표현과 시 형태를 통해 1920년대 초 시단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근현대문학사 4-1
5. 다음 중 주요한의 「불놀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영탄적인 수사법과 어구의 반복으로 내적 운율을 형성하고 있다.
② 민요적 율격의 규칙성을 기반으로 창작된 최초의 자유시이다.
③ 4월 초파일의 축제를 배경으로 하여 ‘사랑 잃은 청년’의 혼란스러운 내면과 정서적 통합을 보여준다.
④ 1919년 『창조』의 창간호에 실린 작품이다.
6. 다음 중 김억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타고르의 시집을 번역하였다.
② 1920년대 『폐허』 동인으로 활동했다.
③ 집단적 정서를 표출하는 산문시를 주로 창작했다.
④ 상징주의 시와 시론을 소개하였다.
7. 1920년대 동인지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장미촌』(1921): 카프에 대항한 민족주의의 문예지
② 『폐허』(1920): 퇴폐주의적 성향의 동인지
③ 『개벽』(1920): 천도교 기관지
④ 『창조』(1919): 최초의 순문예 동인지
8. 전형적인 7․5조의 3음보 율격을 기본으로 하여 이별의 정한을 노래하였으며, 고대시가인 「황조가」와 민요 「아리랑」 등의 시적 정조와 동일한 김소월의 시는?
① 「산유화」 ② 「금잔디」
③ 「먼 후일」 ④ 「접동새」
9. 다음 중 『백조』 동인이 아닌 시인은?
① 변영로 ② 박영희
③ 이상화 ④ 박종화
10. 다음 중 근대적 독자가 탄생한 배경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타인과의 동화와 공감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적 독서로의 전환
② 근대적 도서관의 등장
③ 대중의 교육 수준 향상
④ 시각적인 글 읽기 방식의 변화
11. 다음 중 임화의 「우리 오빠와 화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어린 누이로 설정된 시적 화자가 서간체를 통해 그 내면을 드러낸다.
② ‘브나로드’만 외치고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인텔리의 모순과 비애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③ 대중화 논의의 대표자인 김기진이 ‘단편서사시’로 명명한 바 있다.
④ 카프의 방침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시적인 완성도를 보여준다.
근현대문학사 4-2
12. 1930년 창간하여 그해 12월 3호 발간을 끝으로 폐간된 『시문학』의 문학사적 의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이후의 자연주의 문학의 성립과 활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② 객관적 현실에 종속되지 않는 문학의 자율성을 지향하였다.
③ 『시문학』 폐간 이후 『문예월간』, 『문학』 등으로 활동이 이어졌다.
④ 완결된 시적 언어를 통해 순수한 내면세계에 도달하려 하였다.
13. 다음의 모더니즘 유파의 시인과 그에 대한 설명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이상 : 복잡한 수식이나 기호를 시 양식에 도입하는 등 난해한 수법으로 식민지 근대를 넘어서려는 지식인의 몸부림을 보여준다.
② 김기림 : 「기상도」와 같은 장시를 통해 세계적인 불안 사조의 유행과 근대적인 문명의 허실에 대한 비판적 자각을 드러냈다.
③ 김광균 : 사물의 변신술에 집중하여 대상과의 일대일 대면을 통해 그 본질에 다가서려는 이미지즘의 전형을 보여준다.
④ 정지용 : 언어에 대한 절제를 통한 세련미를 추구하고 사물에 대한 느낌을 감각적이고 선명한 언어를 통해 객관화시켰다.
14. 다음 중 시인 백석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① 대표시로는 「가즈랑집」, 「여우난골족」, 「여승」 등이 있다.
② 『삼사문학(三四文學)』의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③ 시인과 자연이 하나라는 신화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④ 독특한 토착적인 공간 형식을 작품의 구조로 삼았다.
15. 1936년 창간된 『시인부락』에 대한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① 카프 계열의 시인과 그 맥이 닿아 있다.
② 김영랑, 박용철 등 순수 서정시와 그 성격을 같이 한다.
③ 백석, 이용악, 이하윤 등의 시인이 참여하였다.
④ 인간 고뇌를 육성 그대로 표출 및 약동하는 생명의 상태를 탐구하였다.
1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잡지는?
- 식민주의와 파시즘의 옹호 문학
- 일제 말엽 황민화․전시정책의 일환으로 강행된 문학
① 『문장』
② 『삼사문학』
③ 『국민문학』
④ 『시건설』
17. 다음 중 청록파 시인끼리 바르게 묶인 것은?
①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
② 박인환, 김수영, 양병식
③ 임화, 김기진, 박영희
④ 김광균, 김광섭, 이양하
근현대문학사 기말시험(2017).hwp 근현대문학사 기말시험(2018).hwp 근현대문학사 기말시험(2019).pdf 근현대문학사 대체시험(2015).hwp 근현대문학사 대체시험(2016).hwp 근현대문학사 대체시험(2017).hwp 근현대문학사 대체시험(2018).hwp 근현대문학사 대체시험(2019).pdf 근현대문학사 하계계절시험(2015).hwp 근현대문학사 하계계절시험(2019).hwp 근현대문학사 기말시험(2015).hwp 근현대문학사 기말시험(2016).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