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41 추천 수 3 댓글 7
36. 근대로 이행되면서 한국에서 소설이 발전하게 된 원인에 해당되는 것은? 

   ① 기록된 역사에 대한 불신 팽배

   ② 전문적인 이야기꾼과 세책가의 등장

   ③ 소설의 반체제성에 대한 독자들의 공감

   ④ 한자의 보급과 필사본의 쇠퇴  

 

37. 「향객담화」나 「소경과 안즘방이 문답」은 근대 계몽기의 서사양식 중 어디에 해당되는가?

   ① 논설적 서사                 ② 서사적 논설  

   ③ 우의소설                              ④ 번안소설

 

38. 하이퍼픽션(hyper-fiction)에서 두드러지는 특성은?

   ① 우연성                             ② 폐쇄성      

   ③ 상징성                             ④ 논리성

 

39. 다음과 같은 주장을 펼친 작가는?

    
․이인직의 「귀의성」은 학대받는 한 가련한 여성의 일대기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한국 근대소설의 원조’이다.

․소설의 시점은 일원묘사체 A형식과 B형식, 다원묘사체, 순객관적 묘사체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① 김동인                        ② 염상섭      

   ③ 이광수                       ④ 이해조

 

40. 다음에서 설명하는 소설의 갈래는? 

    
『데카메론』같은 frame story에서 발전하여 18, 19세기에 이르러 장르적 관습을 확립했다고 알려져 있다. 에드거 앨런 포는 세부사항을 통괄하는 ‘어떤 특이하거나 단일한 효과’에만 국한되어 있는 서술이라고 정의함으로써 특별한 장르로 정립시켰다.

 
   ① 액자소설                    ② 콩트    

   ③ 단편소설                   ④ 장편소설

 

41. 웨인 부스(Wayne C. Booth)에 의해 제기된 용어로서, 텍스트 안에서 지각되고 텍스트에 따라 규정되는 작가적 존재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화자                              ② 내포작가

   ③ 서사적 자아                  ④ 텍스트적 자아

 

42. 독자의 반응을 능률적으로 통어할 수 있고 장황한 사건을 요약하여 서술의 속도도 조절할 수 있는 인물제시방식은?

   ① 거리 두기                 ② 지연하기  

   ③ 보여주기                   ④ 말하기

 

※ 다음은 김동인의 「감자」 중 일부이다. 잘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43∼46)

    
 복녀는 쓰러졌다. 그러나 곧 다시 일어섰다. 그가 다시 일어설 때는 그의 손에는 얼른얼른하는 낫이 한 자루 들리어 있었다.

 “이 되놈, 죽에라, 죽에라, 이놈, 나 때랬디! 이놈아, 아이구 사람 죽이누나.”

  그는 목을 놓고 처울면서 낫을 휘둘렀다. 칠성문 밖 외따른 밭 가운데 홀로 서 있는 왕서방의 집에서는 일장의 활극이 일어났다.

 
 

43. 이 부분은 플롯의 단계 중 어느 부분에 해당되는가?

   ① 발단                     ② 전개      

   ③ 절정                        ④ 대단원

 

 
문학의이해, 현대소설론  4-1

 
2015학년도  2 학기                                                                              2 학년  2 교시

 

 

 

 

54. 문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언어사회학적 연구와 가장 관련 깊은 것은?

   ① 개성                      ② 장르      

   ③ 시대                        ④ 주제

 

55. 다음은 어떤 작가의 작품에 나타나는 문체적 특징인가?

    
평균문장의 길이는 작품마다 20여 자에서 70여 자까지 차이가 있다. 또 종지법의 유형도 다른 작가에 비해 4배까지 차이가 난다. 이를 이 작가의 성격적 불균형의 결과, 또는 의식적으로 문장의 리듬에 변화를 시도한 결과, 비약어법을 빈번히 사용한 결과 등으로 분석하기도 한다.

 
   ① 염상섭                     ② 김동인      

   ③ 이상                      ④ 박태원

 

56. 이태준이 「문장강화」에서 제시한 것으로 학술서, 기사문, 규칙서 등에서 쓰이는 이해 본위, 실용 본위의 문체로 적절한 문체는?

   ① 우유체                     ② 만연체      

   ③ 강건체                        ④ 건조체

 

57. 다음의 특성을 설명하기에 적절한 문학용어는?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 주인공 구보는 친구와 서울거리를 걷고 설렁탕집에서 음식을 먹으면서 동시에 사랑하는 여자와 있었던 일본 동경의 내면 공간을 체험한다. 이상의 「실화」의 주인공은 동경 친구 집에서 친구의 아내와 이야기를 나누면서 동시에 아내 연이와 이야기를 주고 받던 서울공간을 경험한다.

 
   ① 버추얼 리얼리티   ② 보여주기

   ③ 공간성                                ④ 자기반영성

 

58. 시간지속모순에서 오는 서술방식 가운데 스토리의 지속시간이 서술의 지속시간보다 긴 것은 무엇인가?

   ① 요약                               ② 멈춤

   ③ 확장                                ④ 장면

 

59. 다음 중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하여 현실과 인간의 문제를 형상화하는 역사소설작품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이광수 「원효대사」 ② 김동인 「대수양」  

   ③ 현진건 「무영탑」   ④ 채만식  「탁류」

 

60. 주인공 ‘한놈’이 꿈속에서 역사상의 여러 인물과 만나 대화하면서 민족의 자주독립 의지를 각성해가는 내용을 담은 신채호의 소설은?

   ① 「지옥순례」           ② 「용과 용의 대격전」  

   ③ 「개척자」             ④ 「꿈하늘」

 

61. 이광수의 소설 가운데 과학, 지식, 교육 등에 대한 존중과 현실에 대한 순응 경향이 나타나는 작품으로 묶인 것은?

   ① 「무정」, 「개척자」  

   ② 「사랑」, 「무명」  

   ③ 「소년의 비애」, 「흙」

   ④ 「단종애사」, 「원효대사」

 

62. 1920년대 소설의 양상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전대 문학의 계몽적 교훈주의를 계승․발전하는 것을 문학의 기치로 내걸었다.

   ② 김동인은 순수 문예를 옹호하는 문학관을 보여 주며 단편소설의 길을 개척하였다.

   ③ 신경향파 소설과 프롤레타리아 소설이 많이 창작되었다.

   ④ 각종 문예지의 등장과 함께 개화기 이래 신문 연재소설이 지양되었다.

 

 

※ 다음은 일제말기의 우리 소설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유형화한 것이다. 잘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63∼66)

    
(가) 현실을 비켜선 서정

(나) 신변세태에 대한 풍자

(다) 현실에 대한 자학적 부정과 냉소

(라) 농촌현실의 증언

(마) 식민지 체제에 대한 협력

 
 

63. 이상의 「날개」는 위의 어느 유형에 해당되는가?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64. 다음에 인용된 작품은 위의 어느 유형에 해당되는가? 

    
 이지러는 졌으나 보름을 갓 지난 달은 부드러운 빛을 흐뭇이 흘리고 있다. ..... 달은 지금 긴 산허리에 걸려 있다. 밤중을 지난 무렵인지 죽은 듯이 고요한 속에서 짐승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콩포기와 옥수수 잎새가 한층 푸르게 젖었다.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65. 인간의 악에 초점을 두고 인간의 사회적 가면, 속악성, 속물성, 위선과 허세 등을 희화화하여 표현하는 기법과 관련된 유형은?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66. 다음 중 (마) 유형에 해당되는 작품은?

   ① 김사량 「빛 속으로」    ② 장혁주 「순례」

   ③ 이효석 「황제」               ④ 김동인 「시골 황서방」

 

67. 다음과 같은 내용을 지닌 1930년대 계몽형 농민소설은?

    
농촌계몽운동으로 만나 동지가

 

 

 

현대소설론 기말시험(2015)(2학년).hwp 현대소설론 기말시험(2015)(4학년).hwp ​​​​​​​현대소설론 기말시험(2017)(2학년).hwp ​​​​​​​현대소설론 기말시험(2017)(4학년).hwp ​​​​​​​현대소설론 기말시험(2018)(2학년).hwp ​​​​​​​현대소설론 기말시험(2018)(4학년).hwp ​​​​​​​현대소설론 기말시험(2019)(4학년).pdf ​​​​​​​현대소설론 하계계절시험(2016).hwp ​​​​​​​현대소설론 기말시험(2016)(2학년).hwp ​​​​​​​현대소설론 기말시험(2016)(4학년).hwp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공지 (필독) 공지 모음 / 코인(포인트) 얻는 방법 및 입문서 417 게시판관리 6703
공지 커뮤니티를 홍보하고 포인트를 적립해보세요 73 게시판관리 3011
공지 글쓰기 에디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34 file 게시판관리 2367
공지 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우/회원들만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게시판입니다. 게시판관리 73946
168 1학년 고맙 습니다. 보리맘 14
167 일반 교육대학원 가려면... 들어야 하는 과목이 어떤게 있을까요? 윤윤윤윤 32
166 1학년 컴퓨터의 이해 강의및 질문정리입니다. 2 file 열매맘 41
165 1학년 컴퓨터의 이해 강의및 질문정리입니다. file 열매맘 24
164 일반 반갑습니다 1 coolthings 19
163 일반 안녕하세요~ 2 haileykim 14
162 1학년 국문과 1학년 입학생 인사드립니다. 2 주국이 35
161 일반 죄송하지만 도움이 필요합니다. 1 베이브 105
160 공통 2025학년도 1학기 멘토·멘티 모집해요 피지오리 59
159 과공지 [행사] 2025학년도 1학기 국어국문학과 오리엔테이션 안내 여우곰 154
158 과공지 [기타] [유아교육과] 교내 근로장학생 모집 공고(~2/14) 여우곰 50
157 1학년 안녕하세요~ 1학년입니다 :) 2 뚝배기 67
156 일반 [등록] 2025학년도 1학기 등록금 납입 안내 - 재적생 납부는 1월 31일 부터 입니다. 1 여우곰 68
155 3학년 이번 3학년 편입생입니다. 1 국문여니 104
154 과공지 [기타] [생활과학부]교내 근로장학생 모집(~2/6) 여우곰 23
153 과공지 [기타] [문화교양학과] 교내 근로장학생 모집 공고 (~1/30) 여우곰 22
152 질문 안녕하세요 타과 학생인데 맞춤법과 표준어 교양과목으로 수강중인데요! 2 솔라시도 149
151 1학년 국어학개론 워크북(2007) 참고용 5 file 피지오리 658
150 정보 제33회 《문명 그 화려한 역설》 69개의 표지비밀 풀기 프로젝트 공모 file JCOB 685
149 정보 2024 제1회 홍재 청년 문학상 공모전 file JCOB 6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