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다음 중 구비문학의 특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구비문학은 전승과 변이의 문학이다.
② 구비문학은 화자와 청자가 소통을 통해 형성해 나가는 쌍방향의 문학이다.
③ 구비문학은 공동작(共同作)의 문학이다.
④ 구비문학은 하층 민중의 문학이기 때문에 상층의 식자층과는 단절된 문학이다.
37. 이야기 단위담에 있어서 주체의 움직임의 의도를 유형화하는 기본 범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생계 ② 이성(異性)
③ 안전 ④ 육체
38. 다음 중 구비설화의 일반적인 변이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화자의 개성과 취향 ② 다른 전승집단의 생업
③ 청자의 성별이나 연령 ④ 전승집단의 윤리와 관습
39. 다음 중 ‘죽령竹嶺 산신山神 다자구 할머니’ 전승을 포괄할 수 있는 신화 유형은?
① 창세신화 ② 마을신화
③ 가문신화 ④ 무속신화
40. 다음 중 한국 신화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단군신화와 주몽신화는 삼대기(三代記)의 구성을 갖는다.
② 신라나 가야의 신화에서는 촌장이나 추장의 합의로 추대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③ 환웅과 해모수는 초월적 시간에서 역사적 시간으로 들어오는 존재이다.
④ 지상의 것보다 천상의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한다.
41. 제주도 <삼을나 전승>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부여, 고구려계 집단과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② 성씨시조신화에서 건국신화로 확대 재편되는 과정을 거쳤다.
③ 창세신화의 서두에 이어 곧바로 성씨 시조가 등장하는 급격한 단층을 보이고 있다.
④ 종지용출(從地湧出)의 내용을 담고 있다.
42. 다음 중 한국 전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양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주인공의 행동을 가로막는 존재에 대하여 중요하게 인식한다.
② 전설의 인물이 갖는 특수성은 증거물에서 유래한다고 할 수 있다.
③ 인간의 한계로 인하여 생기는 불행을 민감하게 그려낸다.
④ 주인공은 우연한 행운에 의해 시련을 극복하는 일반적 특징을 갖는다.
43. 다음 중 민담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민담의 전승 이유는 이야기 자체의 사실성과 진실성에 있다.
② 주인공이 행복에 도달하는 근본적인 요인은 오직 주인공 스스로의 능력이다.
③ 민담은 어떠한 고난이나 적대적인 자와 싸워도 이길 수 없다는 비장미를 드러낸다.
④ 소화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주인을 골탕 먹이는 하인에 관한 여러 유형의 이야기이다.
44. 다음 중 중국의 <곤⋅우⋅계 신화>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알지 ② 금와
③ 단군 ④ 부루
① 구비문학은 전승과 변이의 문학이다.
② 구비문학은 화자와 청자가 소통을 통해 형성해 나가는 쌍방향의 문학이다.
③ 구비문학은 공동작(共同作)의 문학이다.
④ 구비문학은 하층 민중의 문학이기 때문에 상층의 식자층과는 단절된 문학이다.
37. 이야기 단위담에 있어서 주체의 움직임의 의도를 유형화하는 기본 범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생계 ② 이성(異性)
③ 안전 ④ 육체
38. 다음 중 구비설화의 일반적인 변이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화자의 개성과 취향 ② 다른 전승집단의 생업
③ 청자의 성별이나 연령 ④ 전승집단의 윤리와 관습
39. 다음 중 ‘죽령竹嶺 산신山神 다자구 할머니’ 전승을 포괄할 수 있는 신화 유형은?
① 창세신화 ② 마을신화
③ 가문신화 ④ 무속신화
40. 다음 중 한국 신화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단군신화와 주몽신화는 삼대기(三代記)의 구성을 갖는다.
② 신라나 가야의 신화에서는 촌장이나 추장의 합의로 추대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③ 환웅과 해모수는 초월적 시간에서 역사적 시간으로 들어오는 존재이다.
④ 지상의 것보다 천상의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한다.
41. 제주도 <삼을나 전승>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부여, 고구려계 집단과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② 성씨시조신화에서 건국신화로 확대 재편되는 과정을 거쳤다.
③ 창세신화의 서두에 이어 곧바로 성씨 시조가 등장하는 급격한 단층을 보이고 있다.
④ 종지용출(從地湧出)의 내용을 담고 있다.
42. 다음 중 한국 전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양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주인공의 행동을 가로막는 존재에 대하여 중요하게 인식한다.
② 전설의 인물이 갖는 특수성은 증거물에서 유래한다고 할 수 있다.
③ 인간의 한계로 인하여 생기는 불행을 민감하게 그려낸다.
④ 주인공은 우연한 행운에 의해 시련을 극복하는 일반적 특징을 갖는다.
43. 다음 중 민담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민담의 전승 이유는 이야기 자체의 사실성과 진실성에 있다.
② 주인공이 행복에 도달하는 근본적인 요인은 오직 주인공 스스로의 능력이다.
③ 민담은 어떠한 고난이나 적대적인 자와 싸워도 이길 수 없다는 비장미를 드러낸다.
④ 소화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주인을 골탕 먹이는 하인에 관한 여러 유형의 이야기이다.
44. 다음 중 중국의 <곤⋅우⋅계 신화>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알지 ② 금와
③ 단군 ④ 부루
34)상법기초 2019-2015 기말 출석대체.hwp 2
2016-1 구비문학의세계 기말시험 기출문제.hwp
2017-1 구비문학의세계 기말시험 기출문제.hwp
2019-1 구비문학의세계 기말시험 기출문제.hwp
제2장 설화의 세계.hwp
제3장 신화의 세계.hwp
제5장 민담의 세계.hwp
제7장 민요의 세계.hwp
제9장 민속극의 세계.hwp
제10장 재담의 세계.hwp
제11장 속담의 세계.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