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시험볼때 정리해둔 자료인데
혹시 필요하신 분이 있을것 같아 미리 올려봅니다^^
-강의 속 및 교재 연습문제-
■1강
1. 관찰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 유아의 발달수준을 평가하고 이해할 수 있다.
② 언어적 제한성과 집중력이 부족한 유아는 평가할 수 없다.
③ 유아의 흥미와 행동의 동기 같은 내적인 측면도 파악할 수 있다.
④ 유아의 필요에 따른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다.
* 정답 : ②
언어적 제한성과 집중력이 부족한 유아의 특성상 관찰을 통해 평가가 이루어진다.
2. 다음 중 관찰의 접근방법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자연적 관찰은 관찰장면을 조작하거나 자극을 주는 방법이다.
② 통제적 관찰은 관찰장면에 있어도 관찰환경을 조작하지는 않는다.
③ 비참여관찰에서의 자료는 우발적이며 단편적인 경우가 많다.
④ 참여관찰 시 관찰자는 관찰현장에 함께하며 자연스런 행동을 관찰한다.
* 정답 : ④
자연적 관찰은 관찰환경의 조작없이 자연스러운 관찰장면을 관찰하는 것이고,
통제적 관찰은 관찰환경을 조작하거나 실험처치가 이루어진다.
비참여 관찰에서는 관찰자가 현장에 참여하지 않으므로 보다 객관적인 관찰이 가능하다.
(우발적이며 단편적인 경우는 자연적 관찰)
3. 다음 중 유아 관찰 시 오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가 아닌 것은?
① 관찰환경의 주변적 요소로 인한 후광효과와 관찰자의 주관적 해석 가능성
② 유아 관련 지식의 여부에 따른 관찰과 해석의 격차
③ 관찰 유아의 소극적 행동과 발화의 내용
④ 관찰자 개인의 사전적 경험을 통한 기대감과 과도한 일반화
*정답: ③
◆ 주요 용어
관찰 |
특정 사물이나 현상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과정을 말하며 유아교육에서의 관찰은 유아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유아의 행동과 그 이면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진단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
자연적 관찰 |
관찰장면에 대해 인위적인 조작이 가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관찰하 는 방법 |
통제적 관찰 |
관찰장면에 일종의 통제나 조작을 가하는 방법으로, 관찰의 시간, 장면, 그 행동을 발생시킨 상황이나 조건을 인위적으로 조작해서 같은 행동을 보다 정확하고 엄밀한 조건하에 시행하는 관찰 |
참여관찰 |
관찰자가 관찰대상이나 그들의 행동에 대해 아무런 통제를 가하지 않고, 관찰대상과 현장에서 함께 생활하면서 자연스런 행동을 관찰 하는 방법 |
비참여관찰 |
관찰자가 관찰장면에 임하지만 관찰대상의 활동에는 참여하지 않고 관찰하는 방법 |
1. 관찰은 유아의 행동 및 발달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유아를 자세히 탐색하고 기록한 모든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절차로, 유아행동과 관련하여 초기의 연구부터 최근의 연구 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는 유아행동연구 및 평가방법 중 하나이다.
2. 관찰은 관찰하고자 하는 목적과 연구문제에 따라 그 접근방법을 다르게 한다. 크게는 관 찰하고자 하는 행동장면을 인위적으로 통제할 것인지 통제하지 않을 것인지에 따라 자연적 관찰과 통제적 관찰로 나눌 수 있다. 또 관찰자가 관찰장면에 직접 참여하는지의 여부에 따 라 참여관찰과 비참여관찰로 나눌 수 있다.
■2강
1. 다음 중 유아관찰 시 오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가 아닌 것은?
① 관찰환경의 주변적 요소로 인한 후광효과와 관찰자의 주관적 해석 가능성
② 유아 관련 지식의 여부에 따른 관찰과 해석의 격차
③ 관찰 유아의 소극적 행동과 발화의 내용
④ 관찰자 개인의 사전적 경험을 통한 기대감과 과도한 일반화
* 정답 : ③
유아 관찰시 오류는 주로 관찰대상보다는 관찰자와 관련된 오류가 많고 피관찰 자와 관련된 오류로는 관찰당하고 있다는 사실로 인한 피관찰자의 부자연스러운 행동등이 포함된다.
2. 다음 중 관찰의 신뢰도에 대해 바르게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