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와 논술 제 1강 (세상읽기와 논술 개론)
1. 논술에 대한 여러 정의 중 가장 부적절한 것은 ? *************************( 4 )
① 일정한 주제를 논하여 의견을 서술하는 것
② 논리적, 비판적 사고에 기초한 논증적 글쓰기
③ 비판적 읽기와 창의적 문제 해결하기를 기초로 하는 논리적 글쓰기
④ 제시된 주제에 상관없이 필자의 의견이나 생각을 자유롭게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것
⑤ 주어진 지문 등에 대한 이해력, 분석력, 비판적 사고력, 사고 내용에 대한 논리적 서술력 등 종합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것
2. 논술 교육이 배양하는 능력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3 )
① 분석적 이해능력 ② 비판적 평가능력 ③ 배려적 공감능 ④ 창의적 적용능력 ⑤ 논리적 표현능력
3. 논증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 5 )
① 학문 활동의 기초이다. ② 논리적 정당화 작업이다. ③ 근거를 들어서 결론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④ 토론을 통해서도 논증능력을 기를 수 있다. ⑤ 어떤 근거이든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1. 논술 교육의 목표는 사고력(분석적 이해, 비판적 평가, 창의적 적용)을 배양하는 것이다. 사고를 표현할 수 있는 논리적 표현력을 훈련하는 것도 또한 포함된다.
2. 논술 능력은 인재가 갖추어야 할 기본 조건이며 학문 활동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3. 논술은 비판적 사고에 기초한 논증적 글쓰기이다.
4. 논증은 근거를 들어 결론을 정당화하는 것이다.
5. 논증능력을 갖추는 것이 기본이고 나아가 창의력까지 갖추면 우수한 글이 된다.
|
워크북 연습문제 ( 1장 )
1. 논술(= 논설문 쓰기)에 대해 바르게 말한 것은? *******************( 3 )
① 유일한 형태의 논리적 글쓰기다. ② 논술은 어릴 때부터 할수록 좋다.
③ 논술은 사회생활에서 기초적이고 필수적이다. ④ 논술은 다양한 글쓰기 가운데 가장 차원 높은 글쓰기다.
2. 논술의 필요성과 관련 없는 것은?*************************( 2 )
① 타인의 주장에 대한 비판적 평가 ② 정서와 감정의 자유로운 표출
③ 자기 견해의 논증적 제시 ④ 사회 갈등의 합리적 해결
3. 논술에 필요한 대표적인 3 능력 가운데 논리적 서술 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이외에 다른 하나는?****( 1 )
① 비판적 읽기 능력 ② 체계적 논증 능력 ③ 심층적 반론 능력 ④ 다각적 대안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