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언어 교육 제 1강 인간, 언어, 사고 - 1 ( 교재 1장 14p까지 )
주용 용어
언어 - 여러 가지 상징들을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사용하여 사회 구성원들 간에 서로 의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의사소통 체제
음운론(phonology) - 말소리를 선택하고, 말소리의 패턴과 체계적인 음성변화를 다스리는 문법의 요소
형태론(morphology) - 단어의 어형변화와 그 구성을 다루는 문법적 연구
구문론(syntax) -단어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구, 절, 문장의 구조나 기능을 연구하는 문법으로 통사론이라고도 함
의미론(semantics) - 단어나 문장의 의미나 내용에 관한 언어학의 분야
화용론(pragmatics) - 언어의 실생활에서의 사용 면을 연구하는 분야로서 의사소통적 맥락 내에서 언어를 사용
할 때 적용되는 사회언어학적 규칙과 관련됨
1. 인간과 언어의 관계를 생물학적인 바탕에서 바르게 설명한 것은? *********************( 1 )
① 대뇌피질은 언어와 사고를 관장한다.
② 언어는 인간과 관계하는 세계에 대한 자기 해석이다.
③ 우반구는 시·공간을 담당하기에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④ 베르니케(Wernicke) 영역이 손상되면 표현적 실어증에 걸리게 된다.
해설: 생물학적인 언어로서 언어는 대뇌가 담당하고, 좌반구는 언어적, 논리적 분석적 사고를 담당하며, 우반구는 시·공간적 사고의 중추로서 감각적, 정서적 표현을 담당한다. 뇌의 좌반구에는 브로카 영역과 베르니케 영역이 있다. 브로카 영역에 손상을 입으면 언어 이해는 가능하지만 말을 유창하게 못하는 표현적 실어증에 걸리고, 베르니케 영역에 손상을 입으면 언어 표현은 정상적이지만 무의미하고 이해할 수 없는 말을 하면서 타인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는 수용적 실어증에 걸리게 된다. 언어 처리에 있어서 좌반구가 절대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만 우반구도 언어와 무관한 것은 아니다.
2. 코는 잠을 주었다." 이 문장은 언어 구조에서 무엇이 적용되지 않는 것인가?*****************( 3 )
① 음성학적 규칙 ② 형태소 규칙 ③ 의미 규칙 ④ 구문 규칙
해설: - 음운: 말소리의 조합과 관련한 것, 자음+모음 => ㅋ, ㅗ, ㄴ, ㅡ ...
- 형태소: 단어의 내적 구조에 관한 것 => 코, 는, 잠, 을 ...
- 구문: 문장의 형태나 구조가 따라야 하는 규칙 => S(코는) + O(잠을) + V(주었다)
3. 언어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게 기술한 것은?**********************( 3 )
① 음운론적 요소: 최소의 의미 단위이다.
② 구문론적 요소: 사회 언어학적 규칙과 관련된다.
③ 형태론적 요소: 단어의 어형변화와 구성을 다루는 문법적 연구이다.
④ 화용론적 요소: 문화적, 사회적 현상을 상상할 수 있는 개념체계이다.
해설: 음운론은 말소리와 패턴과 관련된 문법요소이고, 구문론적 요소는 단어 결합 시 구, 절, 문장의 구조나 기능을 연구하는 문법이며, 화용론적 요소는 언어의 실생활의 사용 면과 관련된다.
4. 다음은 언어의 특성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설명인가?**********************( 1 )
- 유아가 사용하는 몸짓, 손짓, 표정, 말 들은 점차 사회적으로 약속된 언어로 전환된다.
- 사물, 사실, 사건들의 의미를 대신 나타내 주는 추상적인 기호이다. 상징성
① 상징성 ② 임의성 ③ 규칙성 ④ 사회적 도구
해설: 언어는 상징적, 임의적 특성, 규칙적 체계성, 사회적 도구, 교육·정신적 도구로서의 특성과 구어와 문어의 본질적 차이, 다양한 기능, 사회문화적 변화에 따른 생성 및 변화의 특성을 갖는다.
5. 할리데이(Halliday)가 분류한 언어의 기능과 그에 대한 언어 사용의 예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2 )
① 개인적 기능 - "공주처럼 해보자." ② 통제적 기능 - "아직 먹으면 안 돼!"
③ 발견적 기능 - "네게 할 말이 있어." ④ 상상적 기능 - "소는 어떤 동물이지?"
해설: 할리데이는 유아가 사용하는 언어기능의 유형을 도구적, 통제적, 상호작용적, 개인적, 발견적, 상상적, 정보적 기능으로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주용 용어
언어 - 여러 가지 상징들을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사용하여 사회 구성원들 간에 서로 의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의사소통 체제
음운론(phonology) - 말소리를 선택하고, 말소리의 패턴과 체계적인 음성변화를 다스리는 문법의 요소
형태론(morphology) - 단어의 어형변화와 그 구성을 다루는 문법적 연구
구문론(syntax) -단어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구, 절, 문장의 구조나 기능을 연구하는 문법으로 통사론이라고도 함
의미론(semantics) - 단어나 문장의 의미나 내용에 관한 언어학의 분야
화용론(pragmatics) - 언어의 실생활에서의 사용 면을 연구하는 분야로서 의사소통적 맥락 내에서 언어를 사용
할 때 적용되는 사회언어학적 규칙과 관련됨
1. 인간과 언어의 관계를 생물학적인 바탕에서 바르게 설명한 것은? *********************( 1 )
① 대뇌피질은 언어와 사고를 관장한다.
② 언어는 인간과 관계하는 세계에 대한 자기 해석이다.
③ 우반구는 시·공간을 담당하기에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④ 베르니케(Wernicke) 영역이 손상되면 표현적 실어증에 걸리게 된다.
해설: 생물학적인 언어로서 언어는 대뇌가 담당하고, 좌반구는 언어적, 논리적 분석적 사고를 담당하며, 우반구는 시·공간적 사고의 중추로서 감각적, 정서적 표현을 담당한다. 뇌의 좌반구에는 브로카 영역과 베르니케 영역이 있다. 브로카 영역에 손상을 입으면 언어 이해는 가능하지만 말을 유창하게 못하는 표현적 실어증에 걸리고, 베르니케 영역에 손상을 입으면 언어 표현은 정상적이지만 무의미하고 이해할 수 없는 말을 하면서 타인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는 수용적 실어증에 걸리게 된다. 언어 처리에 있어서 좌반구가 절대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만 우반구도 언어와 무관한 것은 아니다.
2. 코는 잠을 주었다." 이 문장은 언어 구조에서 무엇이 적용되지 않는 것인가?*****************( 3 )
① 음성학적 규칙 ② 형태소 규칙 ③ 의미 규칙 ④ 구문 규칙
해설: - 음운: 말소리의 조합과 관련한 것, 자음+모음 => ㅋ, ㅗ, ㄴ, ㅡ ...
- 형태소: 단어의 내적 구조에 관한 것 => 코, 는, 잠, 을 ...
- 구문: 문장의 형태나 구조가 따라야 하는 규칙 => S(코는) + O(잠을) + V(주었다)
3. 언어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게 기술한 것은?**********************( 3 )
① 음운론적 요소: 최소의 의미 단위이다.
② 구문론적 요소: 사회 언어학적 규칙과 관련된다.
③ 형태론적 요소: 단어의 어형변화와 구성을 다루는 문법적 연구이다.
④ 화용론적 요소: 문화적, 사회적 현상을 상상할 수 있는 개념체계이다.
해설: 음운론은 말소리와 패턴과 관련된 문법요소이고, 구문론적 요소는 단어 결합 시 구, 절, 문장의 구조나 기능을 연구하는 문법이며, 화용론적 요소는 언어의 실생활의 사용 면과 관련된다.
4. 다음은 언어의 특성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설명인가?**********************( 1 )
- 유아가 사용하는 몸짓, 손짓, 표정, 말 들은 점차 사회적으로 약속된 언어로 전환된다.
- 사물, 사실, 사건들의 의미를 대신 나타내 주는 추상적인 기호이다. 상징성
① 상징성 ② 임의성 ③ 규칙성 ④ 사회적 도구
해설: 언어는 상징적, 임의적 특성, 규칙적 체계성, 사회적 도구, 교육·정신적 도구로서의 특성과 구어와 문어의 본질적 차이, 다양한 기능, 사회문화적 변화에 따른 생성 및 변화의 특성을 갖는다.
5. 할리데이(Halliday)가 분류한 언어의 기능과 그에 대한 언어 사용의 예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2 )
① 개인적 기능 - "공주처럼 해보자." ② 통제적 기능 - "아직 먹으면 안 돼!"
③ 발견적 기능 - "네게 할 말이 있어." ④ 상상적 기능 - "소는 어떤 동물이지?"
해설: 할리데이는 유아가 사용하는 언어기능의 유형을 도구적, 통제적, 상호작용적, 개인적, 발견적, 상상적, 정보적 기능으로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