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의 기초 요약】
제 1 장 적절한 어휘의 선택
1. 어휘 선택의 중요성
.글을 쓴다는 것은 말을 한다는 것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글을 쓸 때에는 특히 어려움을 느낀다. 이는 언어 외적요소(표정, 몸짓, 상황 등)의 도움을 받기 어렵고, 어휘 사이의 문법적 관계나 의미 요소 등을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단어(어휘)의 적절성이란 일상생활에서 문장의 뜻이 분명하면서도 정확히 전달 되는가 이다.
.어휘 선택의 중요성은 ‘퇴고(推敲)’라는 말의 유래를 통해 잘 나타나고 있다.
.퇴고 : ‘이미 쓴 글을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치고 다듬는 일‘의 의미로 쓰임. (가도↔한유)
* ‘이응의 유거(幽居)에 제(題)함’ (작자 : 당나라 詩僧 가도), [唐詩紀事 권40 ‘가도’에서]
[閑居隣竝少(한거린병소)] 이웃이 드물어 한가로이 지내고
[草徑入荒園(추경입황원)] 풀숲 오솔길은 황원으로 통하는 구나
[鳥宿池邊樹(조숙지변수)] 새는 연못가 나무에서 잠자고
[僧敲月下門(승고월하문)] 중은 달 아래 문을 두드린다. [推(퇴) : 민다]
★ ‘推‘와 ’敲‘ 중 한유는 가도에게 ’敲‘가 낫겠다고 제안을 했으며, 그 이후 가도는 한유와의 친분으로 환속하여 詩作 활동을 하였다고 전해집니다. 시각과 청각의 대구 개념에서도 ’퇴‘ 보다는 ’고‘가 더 어울리는 듯한데 학우님들의 생각은 어떠하신지?
2. 잘못된 어휘 사용 사례와 그 교정 - 잘못된 어휘 사용 사례
① 어휘를 잘못 골라 쓰는 경우
② 의미상의 중복 (단, 강조를 위한 반복 표현은 잘못이 아니다)
③ 한자어나 외래어, 외국어의 무분별한 사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