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파일중에 2017년 알고리즘 기말고사 기출문제 풀이 (2017_데이터베이스_기말풀이-배부.hwp)
작성자: 신정화 튜터
<2017년 데이터베이스 기말고사 기출문제 풀이>
1. 다음 중 파일 처리 방식의 데이터 관리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 2 )
① 데이터의 중복 ② 데이터의 독립성
③ 데이터의 무결성 훼손 ④ 동시 접근 이상
[풀이] p.5
2.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순서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 1 )
① 요구사항 분석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② 요구사항 분석 →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요구사항 분석
③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 요구사항 분석
④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요구사항 분석
[풀이]
3. 다음 중 레코드를 삭제하는 데 사용하는 SQL 명령어는 ( 4 )
① ALTER ② UPDATE ③ SHOW ④ DELETE
[풀이]
▪ ALTER : 테이블의 구조를 변경할 때 사용
▪ UPDATE :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의 특정 컬럼값을 수정
▪ SHOW : 구조를 확인할 때 사용
작성자: 신정화 튜터
※ (4~6) 다음의 ER 다이어그램을 참조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4. 위 그림의 해석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 4 )
① 부서에는 한 명 이상의 사원이 근무할 수 있다.
② 각 부서에는 근무하는 사원이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③ 한 명의 사원은 여러 특기를 가질 수 있다.
④ 사원은 한 개 이상의 부서에서 근무할 수 있다.
[풀이] p.86
1:다 관계를 나타내고, 관계에서 두 줄 선은 전체 참가를 의미, 모든 사원은 부서에서 근무하고, 부서는 사원을 가짐, 성별은 유도속성을 나타내고, 전화번호와 특기는 다중값 속성을 나타낸다.
5. 위 다이어그램의 ‘부서’ 개체 집합에서 ‘전화번호’ 속성은 어떤 유형의 속성인가? ( 2 )
① 유도 속성 ② 다중값 속성 ③ 복합 속성 ④ 저장 속성
[풀이] p. 53
6. 위 다이어그램의 ‘부서코드’와 ‘사원코드’ 속성의 공통된 역할은 무엇인가? ( 3 )
① 다른 속성값으로 부터 유추하여 알아낼 수 있는 값이다.
② 포함된 속성값이 여러 개로 나누어져도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③ 각 개체 집합에 포함된 개체를 구분하는 유일한 값으로 구성된다.
④ 한 개체에 대해서 두 개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p.60
작성자: 신정화 튜터
※ (7~8) 다음 그림을 참조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7. 데이터는 값과 ( 가 )로 구성된다. (가)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 1 )
① 메타데이터 ② 지식 ③ 기호 ④ 창조
[풀이] p.11
8. DBMS는 ( 가 )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어떤 모듈에서 관리하는가? ( 3 )
① 스키마 ② 파서 ③ 시스템 카탈로그(데이터 사전) ④ 트랜잭션 관리자
[풀이] p.10
※ (9~10) 다음 그림을 참조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9. 위 그림과 같이 2차원 형태의 표에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모델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4 )
① 객체 관계형 모델 ② 그래프 모델 ③ ER 모델 ④ 관계형 모델
[풀이] p.76
작성자: 신정화 튜터
10. 위 그림에서 ( 가 )와 ( 나 )에 말로 올바르게 짝지어 진 것은? ( 2 )
① 데이터 - 표머리 ② 레코드 - 스키마
③ 투플 - 카디널리티 ④ 열 - 행
11. 관계형 모델은 어떤 모델링 단계를 위한 모델인가? ( 4 )
①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단계 ② 요구 사항 분석 단계
③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단계 ④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단계
[풀이]
12. 다음은 DBMS에서 어떤 기능에 대한 설명인가? (1)
하나 이상의 원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되어 일반 테이블처럼 조작할 수 있는 가상의 테이블이다. |
① 뷰(view) ② 스미카(schema)
③ 트랜잭션(transaction) ④ 릴레이션(relation)
[풀이] p.137
작성자: 신정화 튜터
13. 아래의 도크관리 릴레이션에 포함된 함수적 종속성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 1 )
|
① 출항시간 → 목적 ② {도크번호, 입항시간} → 출항시간 ③ {도크번호, 입항시간} → 목적 ④ 목적 → 담당도선사 |
|
p.147 ~ 149
예를 들어, 도크번호가 같을 때 목적이 같으면 함수적 종속성이 성립한다.
각 레코드가 특정 속성 X에 대해 유일한 속성값을 가지면 X는 릴레이션 내의 모든 속성을 함수적으로 결정 |
14. 다음 설명에 대해 올바른 것은? ( 4 )
① 카노니컬 커버는 주어진 함수적 종속성으로부터 유추된 모든 함수적 종속성 집합이다.
② 클로저는 간소화된 함수적 종속성 집합이다.
③ 클로저는 중복된 함수적 종속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④ 카노니컬 커버는 클로저에 포함된 모든 함수적 종속성을 커버할 수 있는 최소한의 함수적 종속성들로만 이루어진 집합이다.
작성자: 신정화 튜터
15.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레코드를 추가, 삭제,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SQL 언어 영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2 )
① 데이터 제어 언어 ② 데이터 조작 언어
③ 트랜잭션 제어 언어 ④ 데이터 정의 언어
16. 다음은 무엇에 대한 정의인가? ( 3 )
한 조직의 연관된 데이터의 집합을 다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통합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
① 데이터베이스 ② 파일 ③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④ 파일 처리 시스템
작성자: 신정화 튜터
※ (17~18) 다음의 그림을 참조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17. 릴레이션 내의 컬럼 간의 종속 관계를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쉽게 직사각형과 화살표로 도식화한 표현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벤 다이어그램 ② ER 다이어그램 ③ 함수적 종속성 다이어그램 ④ UML 다이어그램
18. 위 그림에 포함된 함수적 종속성이 아닌 것은? ( 2 )
① 학생번호 → 학과명 ② {학생번호, 과목번호} → 학기
③ {학생번호, 과목번호} → 학점 ④ 과목번호 → 학기
19. 다음 중 저규형의 제약 수준이 약한 순에서 강한 순으로 나열된 것은? ( 1 )
① 제1정규형 → 제2정규형 → 제3정규형 ② 제3정규형 → 제2정규형 → 제1정규형
③ BC정규형 → 제5정규형 → 제4정규형 ④ 제2정규형 → BC 정규형 → 제3정규형
[풀이] p.153
작성자: 신정화 튜터
※ (20~21) 다음은 어떤 테이블의 스키마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20. 위 테이블에서 레코드에 할당되는 바이트 수는 얼마인가? (단, INT는 4바이트) ( 3 )
① 149 ② 298 ③ 244 ④ 294
21. 위 테이블과 같이 모든 컬럼의 길이가 정해져 레코드의 길이가 항상 동일한 레코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4 )
① 변경 불가능 레코드 ② 가변 길이 레코드
③ 변경 가능 레코드 ④ 고정 길이 레코드
※ (22~23) 다음은 대한민국 국적만을 가진 사원에 대한 릴레이션의 관계형 스키마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단, 사번은 회사에서 각 사원에게 유일하게 부여되는 값에 대한 속성이다.)
22. 레코드를 고유하게 구분하는 유일성이 수퍼키의 특성임을 고려할 때, 위의 스키마에서 수퍼키가 아닌 것은? ( 1 )
① {이름, 주소, 부서} ② {사번, 부서}
③ {주민번호, 부서} ④ {이름, 주민번호}
작성자: 신정화 튜터
23. 유일성과 최소성이 후보키의 특성임을 고려할 때, 위의 스키마에서 후보키인 것은? ( 2 )
① {사번, 주민번호} ② {주민번호}
③ {사번, 이름} ④ {사번, 이름, 주민번호, 주소, 부서}
24. 다음 중 가변 길이 레코드 방식이 필요한 이유가 아닌 것은? ( 2 )
① 레코드가 멀티셋(multiset)을 이용하는 컬럼을 가질 때
② 레코드의 수정이 매우 자주 발생할 때
③ 길이가 고정되지 않은 컬럼이 한 개 이상일 때
④ 한 블록 내에 저장되는 레코드 유형이 둘 이상일 때
25. 다음 중 트랜잭션의 ACID 특성에 포함되는 특성이 아닌 것은?
① 일관성 ② 원자성 ③ 지속성 ④ 공존성
작성자: 신정화 튜터
※ (26~28) 아래 그림을 참조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26. 위 그림에서 검색키를 버킷 주소에 대응시키는 h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3 )
① 해시 인덱스 ② 사용자 정의 함수 ③ 해시 함수 ④ 대칭 함수
27. 서로 다른 두 레코드 R1과 R2의 검색키가 h에 의해 동일한 버킷으로 대응되었을 때, R1과 R2의 관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3 )
① 대등 ② 대칭자 ③ 동거자 ④ 오버플로
28. 데이터베이스의 크기에 따라 버킷의 개수 즉, B1, B2, ..., Bn의 개수가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형태의 해싱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4 )
① 능동 해싱 ② 정적 해싱 ③ 자동 해싱 ④ 동적 해싱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