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데이터베이스 기말고사 기출문제 풀이>
1. 다음 중 파일 처리 방식의 데이터 관리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 2 )
① 데이터의 중복 ② 데이터의 독립성
③ 데이터의 무결성 훼손 ④ 동시 접근 이상
[풀이] p.5
2.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순서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 1 )
① 요구사항 분석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② 요구사항 분석 →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요구사항 분석
③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 요구사항 분석
④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요구사항 분석
[풀이]
3. 다음 중 레코드를 삭제하는 데 사용하는 SQL 명령어는 ( 4 )
① ALTER ② UPDATE ③ SHOW ④ DELETE
[풀이]
▪ ALTER : 테이블의 구조를 변경할 때 사용
▪ UPDATE :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의 특정 컬럼값을 수정
▪ SHOW : 구조를 확인할 때 사용
작성자: 신정화 튜터
※ (4~6) 다음의 ER 다이어그램을 참조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4. 위 그림의 해석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 4 )
① 부서에는 한 명 이상의 사원이 근무할 수 있다.
② 각 부서에는 근무하는 사원이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③ 한 명의 사원은 여러 특기를 가질 수 있다.
④ 사원은 한 개 이상의 부서에서 근무할 수 있다.
[풀이] p.86
1:다 관계를 나타내고, 관계에서 두 줄 선은 전체 참가를 의미, 모든 사원은 부서에서 근무하고, 부서는 사원을 가짐, 성별은 유도속성을 나타내고, 전화번호와 특기는 다중값 속성을 나타낸다.
5. 위 다이어그램의 ‘부서’ 개체 집합에서 ‘전화번호’ 속성은 어떤 유형의 속성인가? ( 2 )
① 유도 속성 ② 다중값 속성 ③ 복합 속성 ④ 저장 속성
[풀이] p. 53
6. 위 다이어그램의 ‘부서코드’와 ‘사원코드’ 속성의 공통된 역할은 무엇인가? ( 3 )
① 다른 속성값으로 부터 유추하여 알아낼 수 있는 값이다.
② 포함된 속성값이 여러 개로 나누어져도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③ 각 개체 집합에 포함된 개체를 구분하는 유일한 값으로 구성된다.
④ 한 개체에 대해서 두 개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p.60
※ (7~8) 다음 그림을 참조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데이터베이스(2015년기말시험풀이).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