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목표
- 폰 노이만형 컴퓨터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 컴퓨터의 세 가지 구성 요소를 나여하고 그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 주요 내용
- 폰 노이만 구조 제시
- 구성 요소의 기능 설명
- 교재의 구성
- 폰 노이만 구조
- 프로그램 내장형 구조 (Sotred Program Architecture)
-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억장치 안에 저장해 두고, 명령어를 하나씩 중앙처리장치로 가져와서 실행하는 방식
- 프로그램 내장형 구조 (Sotred Program Architecture)
-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
- 구성 요소의 기능
- 중앙처리장치 : 제어 및 연산 #기억장치에서 가져옴
- 제어 장치 : 명령어를 해석하고 구성 요소들을 제어
- 처리장치 : 제어장치의 지시에 따라 명령어 실행
- 레지스터 : 중앙처리장치 내부에 있는 기억장치, 데이터 임시 저장
- 연산장치 : 데이터를 계산 (산술연산, 논리연산)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가 연산장치로 옮겨짐
- 기억장치 :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
- 입출력장치 : 컴퓨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데이터 공급)
- 시스템 버스 (System Bus) : 컴퓨터의 구성 요소간 데이터 전달 경로 (data path) # 위 3가지를 서로 연결
- 중앙처리장치 : 제어 및 연산 #기억장치에서 가져옴
학습주제 (1)
- 컴퓨터 구조
- 수의 체계
- 목적 : 정보를 2진수로 표현하는 방법 이해
- 내용 : 2진수, 진법 변환, 정수 표현, 코드
- 조합 논리회로
- 목적 : 조합 논리회로의 동작 표현 방법과 기능 이해
- 내용 :부울 대수, 논리게이트, 가산기, 인코더, 디코더, 멀티플렉서, 디멀티플렉서
- 순차 논리회로
- 목적 : 순차 논리회로와 디지털 시스템의 동작 이해
- 내용 : 플립플롭, 레지스터, 카운터, 레지스터 전송, 마이크로오퍼레이션
- 컴퓨터 구조 개요
- 목적 : 컴퓨터의 세 가지 구성 요소의 기능 이해
- 내용 :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시스템 버스 (더 자세하게 배움)
- 중앙처리장치
- 목적 : 중앙처리장치 구성 요소의 역할 이해
- 내용 : 제어장치, 처리장치,(레지스터, 연산기), 인터럽트
- 컴퓨터 산술 (6장의 연산기 부분을 자세하게 다룸)
- 목적 : 정수와 실수 연사의 종류 이해
- 내용 : 논리 연산(and, or, not), 시프트연산(자리 이동), 산술 연산, 실수 표현
- 명령어 집합
- 목적 : 명령어의 구성 요소와 명령어 형식 이해
- 내용 : 명령어 특성, 주소지정방식, 오퍼랜드 표현, 명령어 종류
- 기억장치
- 목적 : 중앙처리장치가 기억장치를 활용하는 방법 이해
- 내용 : 기억장치 특성, 캐시 기억장치, 가상 기억장치
- 입출력장치
목적 : 컴퓨터와 입출력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이해
내용 : 프로그램에 의한ㄴ 입출력, 인터럽트 구동 입출력, 직접 기억장치 액세스(DMA)
- 고성능 컴퓨터
- 목적 : 컴퓨터 성능 개선 방법 및 병렬처리 컴퓨터 구조 이해
- 내용 : RISC, 명령어 파이프라인, 슈퍼스칼라, 병렬처리 컴퓨터
문제
[문제 1] 프로그램 내장 (Stored program) 구조에 대한 가장 올바른 설명은?
-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억장치 안에 저장한다.
-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레지스터 안에 저장한다.
-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보조기억장치 안에 저장한다.
-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 안에 저장한다.
[문제 2] 중앙처리장치를 제어장치와 처리장치로 구분할 때, 처리장치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선택하라.
- 레지스터
- 연산장치
- 주기억장치
- 시스템 버스
- 레지스터 : 데이터 임시 저장
- 연산장치 :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계산
요약
- 폰 노이만 구조
-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컴퓨터 내부인 기억장치에 저장해 두고, 중앙처리장치에서 실행
- 컴퓨터 구성 요소
- 중앙처리장치 : 컴퓨터 안에서 제어 및 연산을 담당
- 기억장치 :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
- 입출력장치 : 컴퓨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
- 구성 요소에 따른 강의 내용 소개
- 다음 강의
- 제 2장 수의 체계
- 수의 표현, 진법 변화느 정수의 표현, 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