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선택으로 수강하면서 프로그래밍언어론 정리
프로그래밍 언어론 1~4장까지 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론을 배워야 하는 이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언어를 더욱 잘 이해
사용 중인 프로그래밍 언어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능력 향상으로 언어의 특징과 장점을 명확히 이해
유용한 프로그래밍 구사 능력 증대
문제 해결을 위한 자료구조와 프로그램 구조 익숙하여 프로그래밍 구사력을 높임
프로그래밍 언어 선택 능력 증대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많은 지식을 기반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적절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선택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 쉽게 배움
능숙한 다른 언어를 기반으로 새로운 언어를 쉽게 이해하고 유용하게 사용하여 효율적인 프로그램 작성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 설계 쉬움
공통 기능에 익숙한 프로그래머는 특정 환경에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새롭게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춤
프로그램 언어의 전형
명령형 언어
(절차언어)
순차적인 명령의 수행을 기본 개념으로 하는 언어
예)FORTRAN, COBOL, BASIC, Pascal, C, Ada
함수형 언어
(적용형 언어)
알려진 값들을 함수들에 적용하는 것에 기반을 둔 언어
함수의 평가 및 호출 방법을 제공
변수나 변수에 대한 할당문이 없음
재귀적 함수로 반복문을 대신하는 언어
예)LISP
논리형 언어
(선언적 언어)
기호논리학에 근거를 둠
반복이나 선택문 없이 계산 내용만 선언하듯 기술
예)PROLOG
객체지향 언어
특정 값을 저장하는 기억장소와 그 기억 장소의 값을 변경할 수 있는 연산으로 이루어진 객체에 기반을 둠
객체는 클래스로 표현됨
예)JAVA, C++, Smalltalk
프로그램 언어의 정의
구문론- 언어의 형식적인 구조로
토큰이라는 어휘 구조에 대한 형식 규칙으로 대부분 문맥자유 문법을 사용
많은 부분이 형식화가 되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