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학년도 2 학기 3 학년
1. 다음 중 M[X] ← TOS 의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명령어는?
(여기서 M은 Memory, TOS은 Top of Stack을 의미한다.)
① PUSH X ② POP X
③ STORE X ④ LOAD X
※ (2~4) 다음 프로그램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LOAD , R1 ; (a)
ADD , R1 ; ( ) (b)
MUL , R1 ; ( ) (c)
STORE R1, ; (d)
2. 위의 프로그램은 다음 중 어느 수식을 계산하는 것인가?
① ②
③ ④
3. 위에서 (b)의 괄호 안에 들어갈 식으로 알맞은 것은?
① ②
③ ④
4. 위의 프로그램에서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 명령어의 형식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0-주소 명령어 ② 1-주소 명령어
③ 2-주소 명령어 ④ 3-주소 명령어
※ (5~6) 아래 그림은 어느 순간의 기억장치와 PC, 레지스터를 나타내고 있다. PC의 현재 내용이 300이므로 이제 곧 300번지에 있는 컴퓨터 명령어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컴퓨터 명령어의 연산코드 내용이 해당 피연산자를 AC에 적재하라는 것이고 주소 필드의 값은 500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라. 단, 주소지정방식이 레지스터를 사용할 경우는 레지스터 R1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기억장치
300
연산코드
주소방식
301
ADRS, NBR=500
PC = 300
302
다음 명령
R1 = 400
400
700
AC
500
692
연산코드: AC에 적재하라.
692
960
802
616
900
748
5. 즉치 주소지정방식과 직접 주소지정방식을 이용한다면 각각 어떤 값이 AC에 적재될 것인가?
① 500, 400 ② 500, 692
③ 692, 400 ④ 692, 960
6. 간접 주소지정방식과 상대 주소지정방식을 이용한다면 각각의 유효주소는?
① 500, 900 ② 700, 748
③ 692, 802 ④ 692, 960
7. 다음 마이크로 연산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Y=0, T1=0 일 때, R0와 R1을 더하여 결과를 R0에 적재한다.
② Y=1, T1=0 일 때, R0와 R1을 더하여 결과를 R0에 적재한다.
③ Y=0, T1=1 일 때, R1의 2의 보수를 계산 후 R0에 적재한다.
④ Y=0, T1=1 일 때, R0에서 R1을 빼어 결과를 R0에 적재한다.
8. 산술논리연산장치에서 두 수를 가산할 때 결과를 저장할 수 있는 레지스터의 자릿수가 모자라는 경우에 발생되는 에러가 세트(set)되는 상태 레지스터의 플래그(flag)는?
① overflow bit ② zero bit
③ carry bit ④ sign bit
1. 다음 중 M[X] ← TOS 의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명령어는?
(여기서 M은 Memory, TOS은 Top of Stack을 의미한다.)
① PUSH X ② POP X
③ STORE X ④ LOAD X
※ (2~4) 다음 프로그램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LOAD , R1 ; (a)
ADD , R1 ; ( ) (b)
MUL , R1 ; ( ) (c)
STORE R1, ; (d)
2. 위의 프로그램은 다음 중 어느 수식을 계산하는 것인가?
① ②
③ ④
3. 위에서 (b)의 괄호 안에 들어갈 식으로 알맞은 것은?
① ②
③ ④
4. 위의 프로그램에서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 명령어의 형식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0-주소 명령어 ② 1-주소 명령어
③ 2-주소 명령어 ④ 3-주소 명령어
※ (5~6) 아래 그림은 어느 순간의 기억장치와 PC, 레지스터를 나타내고 있다. PC의 현재 내용이 300이므로 이제 곧 300번지에 있는 컴퓨터 명령어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컴퓨터 명령어의 연산코드 내용이 해당 피연산자를 AC에 적재하라는 것이고 주소 필드의 값은 500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라. 단, 주소지정방식이 레지스터를 사용할 경우는 레지스터 R1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기억장치
300
연산코드
주소방식
301
ADRS, NBR=500
PC = 300
302
다음 명령
R1 = 400
400
700
AC
500
692
연산코드: AC에 적재하라.
692
960
802
616
900
748
5. 즉치 주소지정방식과 직접 주소지정방식을 이용한다면 각각 어떤 값이 AC에 적재될 것인가?
① 500, 400 ② 500, 692
③ 692, 400 ④ 692, 960
6. 간접 주소지정방식과 상대 주소지정방식을 이용한다면 각각의 유효주소는?
① 500, 900 ② 700, 748
③ 692, 802 ④ 692, 960
7. 다음 마이크로 연산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Y=0, T1=0 일 때, R0와 R1을 더하여 결과를 R0에 적재한다.
② Y=1, T1=0 일 때, R0와 R1을 더하여 결과를 R0에 적재한다.
③ Y=0, T1=1 일 때, R1의 2의 보수를 계산 후 R0에 적재한다.
④ Y=0, T1=1 일 때, R0에서 R1을 빼어 결과를 R0에 적재한다.
8. 산술논리연산장치에서 두 수를 가산할 때 결과를 저장할 수 있는 레지스터의 자릿수가 모자라는 경우에 발생되는 에러가 세트(set)되는 상태 레지스터의 플래그(flag)는?
① overflow bit ② zero bit
③ carry bit ④ sign bit
컴퓨터구조 대체시험(2015).hwp 컴퓨터구조 대체시험(2016).pdf 컴퓨터구조 대체시험(2017).pdf 컴퓨터구조 하계계절시험(2017).pdf 컴퓨터구조 기말시험(2019).hwp 컴퓨터구조 대체시험(2019).hwp 컴퓨터구조 기말시험(2018).hwp 컴퓨터구조 대체시험(2018).hwp 컴퓨터구조 기말시험(2015).hwp 컴퓨터구조 기말시험(2016).hwp 컴퓨터구조 기말시험(2017).hwp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