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중 구석기시대에 사용한 도구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긁개 ② 주먹도끼 ③ 반달돌칼 ④ 슴베찌르개 2. 다음 중 고조선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가. 8조의 금법(禁法)을 만들어 사회질서를 유지하였다. 나. 지배자가 죽으면 산 사람을 함께 묻는 순장 풍습이 있었다. 다. 50여 소국으로 구성되었다. 라. 일찍부터 낙랑군과 고구려의 간섭을 받았다.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라, 가 3. 아래 빈 칸에 해당하는 것은? 삼국 초기에 5부나 6부 집단이 국가의 통치와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에 당시의 정치체제와 지배체제를 포괄하여 ( )라고 부르기도 한다. ① 연등회(燃燈會) ② 팔관회(八關會) ③ 부체제(部體制) ④ 외왕내제(外王內帝) 4. ‘골품제(骨品制)’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신라의 대표적인 신분제도이다. ② 관등, 관직의 승진은 골품에 따른 제한이 전혀 없었다. ③ 골품에는 성골, 진골, 6두품, 5두품, 4두품 등이 있었다. ④ 지방민은 골품제의 편제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5. 나당전쟁 과정에서 신라가 20만 명의 당군을 크게 물리치고 전쟁의 주도권을 장악한 곳은? ① 안시성 ② 황산벌 ③ 비열흘 ④ 매소성 6. 신라 말기에 유행한 ‘선종’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누구나 수행만 하면 부처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② 호족의 후원을 받으면서 성장했다. ③ ‘천군(天君)’이 천신(天神)에 대한 제사를 주관하였다. ④ 선종 사찰은 지방 사회의 정신적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7. 고려 태조 왕건이 시행한 정책이 아닌 것은? ①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를 실시해 관리를 채용했다. ② 통일 과정의 공로를 따져 토지[役分田]를 지급했다. ③ 각 지방 군현의 이름을 새로 정했다. ④ 지방 호족에게 성씨를 내려주었다. 8. 고려의 귀족문화를 볼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은? ① 호우총 ② 금동대향로 ③ 금입택 ④ 상감청자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