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과

교육학과 학생 게시판

혹시 자역사회교육론 최신 기출자료 있으신분은 업로드좀 부탁드려요

최신자료 구하기 어렵네요. 교육과다니신다면 방송대 공홈 자료실에 있을거예요

 

1강 (제1장 지역 발전과 교육발전1)

1.1 지역발전의 개념

   1. 부문들의 총체적 발전

      가. 지역에서의 재생과 견제

                 -지역 자체는 생명체가 아니지만, 생명체처럼 탄생하기도 하고, 성장하기도하고, 소멸하기도 함

                 - 지역의 각 부분들은 각자 끊임없이 재생을 시도하고 서로 견제하면서 전체적으로 지역의 유지에 기여하고 있음

                 - 재생이 이어나지 않거나 견제로 인한 긴장관계가 깨지게 되면 지역은 와해되거나 해체될 수도 있음

      나. 전경으로 부각되는 부문

                 - 지역구성원들은 정체활동, 경제활동, 사회활동, 문화활동, 종교활동, 예술활동, 교육활동 중어느 하나의 활동에 좀 더

              초점을 맞추는 삶의 양태를 보일수 있음

                 - 지역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활도 중 어느 하나의 활동이 한 지역에서 지배적인 양태로 전개되기도 하고, 그 결과 다른

             활동들이 그 활동에 종속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함

      다. 지역의 과제로서의 균형적 발전

                 - 지역에서 생존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과제와 실존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과제는 다 수행되어야 함

                 - 이를 위해 지역의 각 부문들은 균형적으로 발전되어 있어야 하고, 균형적으로 발전되어야 함

                 - 만약 한 부문의 발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그 부문이 다fms 부분들에 연쇄적인 영향을 미쳐서 지역 전체의 발전

             이 지체되는 결과가 초래됨

 

   2.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

      가. 지역 : 주민들의 삶의 터전

                 - 주민들이 그 터전위에서 삶을 영위해 나감으로써 지역은 비로서 주민들과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체제가 됨

                 - 이 체제가 다양한 부문들에 의해 역여 있다고 하더라도 이 체제를 작동시키는 주체는 주민들임

                 - 주민들의 삶이 배제된 지역의 발전은 있을 수 없으며, 문제는 그 발전이 주민들의 삶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 하는 것임

      나. 지역에서 계층의 존재 - 지역에서 지배층이나 상류층의 존재 자체를 부정할 수는 없음

                 - 문제는 지배층이나 상류층이 다른 사람들에 대해 어떤 태도를 치하며, 이에 대해 체제가 어떻게 작동하는가 하는 것임

      다. 계층 간 관계의 이면

                 - 지배층이나 상류층 단독으로 지역에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은 아님

                 - 정확히 말하면, 지역의 다른 사람들의 도움이나 협력을 통해서 그들의 지역에서 삶을 영위할 수 있음

                 - 따라서 권력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의 삶에 봉사하고, 부를 가지고 다른 사람들의 삶의 여건을 좀 더 낫게 하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타당함

      라. 협력적 관계의 제도화

                 - 한 계층의 삶의 질적 수준이 높아지는 것처럼 다른 계층의 삶의 질적 수준도 점점 높아지고, 이것이 가능하도록 서로

             협력적 관계를 유지할 때 그 지역이 발전했다고 말할 수 있음

                - 더 나아가 이것이 개인의 노력에 맡겨지는 것이 아니라 체제 자체가 그렇게 작동되도록 제도화 될 때 그 지역이 발전했

            다고 말할 수 있음

 

   3. 타 지역의 선도

     가. 타 지역관의 관계   - 한 지역은 다른 지역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하고 있음

                                                - 사람들은 지역을 넘나들며 생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역들은 서로 맞물려 돌아가고 있음

                                                - 그러므로 지역발전의 개념에서 타 지역과의 관계 문제를 생략할 수 없음

     나. 지역 간의 차이  - 모든 지역의 여건이 동일한 것이 아니므로 지역들은 서로 다른 양태로 발전해 나감

       - 이러한 차이는 지역 간 영향력의 차이로 나타나게 되며, 좀 더 큰단위 내에서 한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지배적인

                 위치에 있게 됨

           - 국가가 균형적으로 발전하지 않을 경우 중심부와 주변부가 존재하게 되고, 중심부와 주변부의 격차는 심하게 벌어짐

     다. 지역발전의 허상   - 어느 한 분야도 예외 없이 한 지역이 다른 지역보다 앞서가는 경우는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음

                           - 그러나 만약 한 지역이 발전하면 할수록 다른 지역의 생활환경이 악화된다면 양자의 관계는 지배와

                             착취의 관계가 됨 (ex:식민지)

  • ?
    해바 2021.06.14 15:37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비몽이 2021.06.25 23:38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xodide 2021.07.24 09:52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winsome 2021.08.10 13:06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안경선배 2021.08.31 22:57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winsome 2021.10.08 12:08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쌤쌤 2022.06.06 14:17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가지가지 2023.06.17 12:24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깽스타 2024.05.01 12:22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부엉수리 2024.05.10 14:40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임영 2024.06.02 15:14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상큼선물 2025.06.06 08:17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교육학과

교육학과 학생 게시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공지 (필독) 공지 모음 / 방송대 커뮤니티 포인트 얻는 방법 및 입문서 417 게시판관리 8169 2022.12.24
공지 방송통신대학교 커뮤니티 홍보하고 포인트 적립하자! 73 게시판관리 3615 2023.09.20
공지 🎖 활동 메달 안내 및 기준 14 게시판관리 558 2025.07.30
공지 [공지] 글작성 상단 ChatGPT 에디터 기능 오픈 안내 7 nothregz 2519 2025.09.15
871 질문 혹시 춘천지역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모임이 있을까요. 1 spspi 118 2025.03.08
870 공통 혹시 직업진로설계 기말 보신 분요???? 4 미호 211 2025.06.07
869 일반 혹시 노인교육론, 상담심리학, 직업진로설계 셤 보신 분 계신가요? 8 미호 217 2025.06.12
868 일반 형성평가 진도율표시 9 이른봄날 2573 2025.09.12
867 일반 형성평가 시작인줄도 몰랐어요ㅠㅠ 3 오호호홋 2539 2025.08.20
866 질문 해비거스트의 발달단게론에서 발달단계의 부적응에 대해 공유 가능할까요? 1 베이브 5682 2022.08.08
865 정보 해비거스트의 발달 단계론 file chorom 4872 2022.12.11
864 일반 항상 도움이 되어서 감사합니다. 2 lotus01 5830 2022.11.19
863 질문 합산된 성적은 언제 알려주나요? 3 페코 194 2024.12.20
862 공통 한국진로직업교육개발원 무료교육지원센터 (회원가입후 무료수강이네요..) 3 file 호수 583 2023.08.02
861 4학년 학점관련 질문드립니다 5 나리리 177 2024.11.26
860 정보 학교, 지자체, 복지 등 6개 분야, 선배들 조언 '살아있네!' 5 file 호수 6766 2023.06.16
859 3학년 학교 사회복지는 어떻게 공부하나요? 상큼선물 136 2025.06.06
858 질문 프라임칼리지 저만 이런가요? 2 file 다이 2549 2025.09.15
857 질문 프라임칼리지 신청 관련 궁금증이 있네요~ 6 미호 2459 2025.09.14
856 그외 프라임칼리지 시니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방법론 21 file 버텍스엣지 3952 2025.06.25
855 일반 프라임칼리지 등록 기간입니다 1 file 자이언트판다 2400 2025.09.12
854 일반 표절을 안 했는데 점수가 0점으로 나왔습니다. 에 대한 답변 9 file 버텍스엣지 1168 2025.02.05
853 3학년 평생프로그램개발 출석수업과제 4 홍가 797 2024.09.09
852 질문 평생사 자격증으로 인하여 평생교육방법론, 평생교육론 이번 기말고사 준비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7 미호 406 2025.05.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4 Next
/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