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프라임칼리지는 평생학습시대를 맞아 국민의 생애주기 및 학습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는 국정사업 시행 교육기관이다. 인문과학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교육과학대학 등 기존의 단과대학보다 조금 더 개방적이고 유연한 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2012년 4월 동숭대학을 설립하였으며, 이후 명칭을 프라임칼리지(Prime College)로 변경하였다. 교육과정에는 선취업·후진학과정(학위과정), 평생교육과정(비학위과정), 평생교육허브과정(허브대학), OER 서비스(교육자료 개방) 등이 있다. 타 대학의 '평생교육원' 정도의 위치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2. 연혁
-
1997년 05월 20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설립
-
2012년 04월 01일: 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교육조직 동숭대학으로 변경
-
2012년 08월 29일: 동숭대학을 프라임칼리지로 명칭변경
-
2013년 10월 25일: 프라임칼리지 2개학과 신설(금융·서비스학부, 첨단공학부)
-
2014년 03월 03일: 선취업·후진학 학위과정(금융·서비스학부, 첨단공학부) 신입생 입학
-
2019년 10월 01일: 프라임칼리지 첨단공학부 데이터융합전공 신설
3. 교육과정
프라임칼리지의 교육과정에는 학위과정인 선취업·후진학 학위과정, 비학위과정인 평생교육과정, 허브대학인 평생교육허브과정, OER서비스 등이 있다.3. 교육과정
3.1. 선취업·후진학과정
방송대의 또 다른 대학, 프라임칼리지
학과 |
전공 |
학위 |
금융·서비스학부 |
회계금융 전공 |
경영학사 |
첨단공학부 |
산업공학 전공 |
공학사 |
선취업·후진학과정은 교육부 국정사업인 ‘국가스마트후진학체제’ 사업의 일환으로, 고등학교 졸업 후 바로 취업에 나선 고졸취업자들에게 고등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재직자친화형 체제를 마련하기 위해 신설되었다. 2018년 2월에 첫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3.2. 평생교육과정
블렌디드 러닝 교육환경, 제2인생설계과정
평생교육과정은 성인학습자의 특성 및 교육요구에 부합하는 성인학습자 친화형 블렌디드 러닝 교육환경을 구축하고 제2인생 설계·준비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중장년층의 자립역량 강화, 사회공헌 확대, 전 생애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2인생설계과정에서 평생교육과정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일부 과목은 방통대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3.3. 평생교육허브과정
교육부 지정 스마트캠퍼스, 허브대학
평생교육허브과정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전국의 교육기관 및 교육청, 기업, 지자체, 직업교육기관, 평생교육기관 등과 교육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다양한 학습자들의 요구와 필요에 맞는 교육과정을 공동 연구·개발하고 콘텐츠를 공유하는 가상캠퍼스 대학을 의미하며, 허브대학이라고도 한다. 재직자기초과정, 사내대학과정, 협력대학과정, 위탁교육과정, 다문화/북한이탈주민지원과정 등이 있다.
-
재직자기초과정: 재직자와 예비취업자, 선취업 후진학자의 평생직업능력 개발과 계속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과 ‘직업역량향상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
사내대학과정: 사내대학으로부터 온라인 교양과정 운영을 위탁받아, 방송대가 보유한 교양교과목을 활용하여 사내대학 학생들을 교육한다.
-
협력대학과정: 재직자와 관련된 선취업 후진학 및 재직자특별전형 전공이 있는 대학과 협력하여, 해당 대학들을 지원하는 맞춤형 교육과정이다.
-
위탁교육과정: 협력기관이 특정한 온라인콘텐츠들을 프라임칼리지에 위탁하여 운영하는 교육과정이다. 사내대학이 위탁과정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
다문화/북한이탈주민지원과정: 고등교육, 직업교육, 부모교육, 평생교육 분야의 맞춤형 콘텐츠를 통하여 다문화가족과 북한이탈주민 학습자의 고등교육 수학역량 및 직업자립역량 향상을 지원한다.
3.4. OER 서비스
전국민과 함께 공유하는 교육콘텐츠, OER 서비스
OER은 다채롭고 우수한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공개교육(OER: Open Educational Resources) 서비스로, 4050세대를 시작으로 전 세대가 경험과 지식을 나누고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여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