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 칼리지 이미지 마케팅 연습문제 올립니다.
1강 이미지의 정의와 이해
1)이미지 : 지각 가능한 형태가 감각의 저장소에 각인되고 그 인상을 형성한 대상이 부재할 때 상상력에 의해 환기되는데 이 과장에 개입하는 것. 지각적, 주관적, 직관적 인상.
2) 재현적 이미지 : 구체적 사물을 나타내는 이미지
3)상징적 이미지 : 추상적 사물을 나타내는 이미지, 사회적 수용 기능성에 의해 실질적으로 정의됨.
4) 기호적 이미지 : 이미지가 어떤 내용의 성격을 시각적으로 그대로 반영하지 않고 내용을 나타낼 때 이미지 기호.
1. 이미지의 가치가 실재와 맺어지는 삼분법과 가장 관계가 없는 가치는 무엇인가?
① 재현적 가치 ② 상징적 가치 ③ 기호적 가치 ④ 실제적가치
이미지는 현실이나 실재와는 직접적 관계가 없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실제적 가치와는 가장 관계가 없다고 봐야 한다.
2. 문학에서의 이미지는 마음속에 언어로 그린 그림으로 이해된다. 다음의 이미지 가운데 문학적 이미지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① 정신적 이미지 ② 비유적 이미지 ③ 시각적 이미지 ④ 상징적 이미지
문학에서는 눈으로 보이는 것보다 정신적이고 상징적인 것을 더 추구한다.
3. 이미지는 “심상, 보는 것과 같은 경험을 제공해주는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 )이다” 라고 정의 내려질 수 있다.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로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정신 ② 표상 ③ 시각 ④ 착각
이미지를 가장 대체할 수 있는 용어는 표상이다. 시각이나 착각은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뇌의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고 정신이라 것은 너무 포괄적인 단어이다.
2강 이미지 역사와 커뮤니케이션
1) 다그마(DAGMA): Difining Advertising Goals Measured Advertising results (목표에의한 광고 관리)의 약자로 광고의 목표를 의사전달이라고 설정하여 광고가 얼마나 전달됐느냐의 정도, 즉 광고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2) 문화적 접근 연구 방식: 이미지 광고의 문화적 접근은 그 시각적 메시지를 의미작용이 되어야 할 텍스트로 보며, 이미지의 생성 과정을 탐구하고 실체를 통해 의미와 가치가 생성되는 과정에 대한 탐구를 가능하게 한다.
3) 상징기호: 임의로 만들어진 기호로서, 표상체와 대상체 사이에 어떤 연관이나 유사성이 없지만 사회 내에서 의미작용에 관한 동의를 받음으로써 사회적 혹은 문화적 약속에 의해 성립된 기호다.
4) 시뮬라시옹: 프랑스 철학가 장 보드리야드 이론으로 실재가 실재 아닌 파생실재로 전환되는 작업이 시뮬라시옹(Simulation)이고 모든 실재의 인위적인 대체물을 ‘시물라크르’(Simulacra)라고 부른다. 그에 의하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곳은 다름 아닌 가상 실재, 즉 시뮬라크르의 미혹 속인 것이다. 현대 자본주의 사회는 사물이 기호로 대체되고 현실의 모사나 이미지, 즉 시뮬라크르들이 실재를 지배하고 대체하는 곳이다.
1. 이미지에 대한 양적 연구로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브랜드 이미지의 개념화 연구 ② 이미지의 전달 즉 광고의 효과 연구
③ 이미지의 숫자적 의미의 공식화 연구 ④ 이미지에 대한 전반적 측정 연구
이미지를 정신적인 개념이라 숫자적으로 의미화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3번이 가장 적합하지 않은 답이 될 것이다.
2. 이미지에 대한 질적 연구로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① 퍼스의 기호이론 ② 바르트의 기호학
③ 하버마스의 공개장 이론 ④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감사합니다.
2학기에 수강할려고 하는데
과제며 시험난이도 궁금합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