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습문제 >
Q1. 돌봄교육의 필요성에 해당되지 않는 내용은 무엇인가?
① 사회환경 변화에 대응할 중요한 대안 |
② 현대사회 여성들의 사회․경제적 활동 지속 증가 |
③ 산업화의 진전으로 저소득층가정의 방치된 아동의 보호 및 가족지원 서비스 제공 |
④ 초등생 자녀의 보육문제 심각성 및 사각지대 발생 |
<해석>
1960년대 산업화의 진전으로 인한 저소득층가정의 방치된 아동의 보호 및 가족지원 서비스 제공은 돌봄교육의 태동이라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1980년대 후반부터 운영되어 온 공부방(야학)의 시작과 1991년 영유아보육법 제정에 따라 아동보육의 필요성과 의무가 강조된 점도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방과 후 아동보육 즉, 돌봄교육에 대한 태동이라 할 수 있다.
Q2. 돌봄서비스 공백이 큰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지역 내 방과 후 돌봄의 거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2017년 행안부와 복지부 공동 공모사업으로 시작되어 2019년 ‘아동복지법’ 개정을 통해 설치·운영된 돌봄교육(활동)은 무엇인가? (다함께돌봄센터)
<해석>
다함께돌봄센터는 돌봄서비스 공백이 큰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지역 내 방과 후 돌봄의 거점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여, 지역의 초등돌봄을 위한 공공/민간 자원의 연계를 통해 지역사회가 다함께 아동을 키우는 자율적이고 유연한 체계 운영과 지역 내 돌봄 수요 및 자원을 고려한 상시·일시 돌봄, 프로그램 운영, 등·하원 지원, 급·간식 지원, 자녀돌봄 관련 상담 등의 서비스 제공을 추진방향으로 설치·운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