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올린 30제 문제를 다시 보니 정답이 뒤섞있군요. 죄송합니다. 정답을 수정해 다시 올립니다. 

추가로 20문항도 올려드립니다.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장애인복지론 제2장 장애인복지 이념과 태도 예상문제(20문항)

 

1. 다음 중 헌법 제10조에 명시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장애인은 동등한 기본적 권리를 가진다.

모든 인간은 자유로우며 동등한 존엄성을 가진다.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장애인이 모든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향유하도록 보장한다.

 

2. 다음 중 세계인권선언(1948)의 주요 내용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다.

모든 인간은 동등한 존엄성을 가진다.

장애인은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존중받아야 한다.

모든 인간은 동등한 권리를 가진다.

 

3. 다음 중 UN장애인권리협약(2006)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장애인이 모든 인권을 완전하게 향유하도록 한다.

장애인이 기본적 자유를 동등하게 향유하도록 한다.

장애인의 천부적 존엄성에 대한 존중을 증진한다.

장애인을 '장애인'으로 대우하는 사회를 실현한다.

 

4. 다음 중 정상화(Normalization) 이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장애인을 '장애인'으로 구분하여 특별한 보호를 제공하는 것

장애인이 일반 생활환경 속에서 일상적 생활을 하도록 하는 사회 실현

장애인의 억압받는 관계와 모순을 설명하는 이론

서비스 전달 체계의 거시적 맥락을 강조하는 이론.

 

5. 다음 중 정상화 이념의 한계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무엇인가?

서비스 전달 행태에 주목하지 못한다.

장애인들이 억압받고 있는 갈등과 모순 관계를 설명하지 못한다.

미시적 맥락을 논의한다.

장애인을 한 사람의 인간으로 대우하는 것을 강조한다.

 

6. 자기결정(Self-determin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타인에 의해 삶을 통제받는 것

자신에게 주어진 선택 가능성에 기초하여 자신의 삶을 스스로 통제하는 것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은 고려되지 않는다.

자기결정능력은 자기결정권과 동일한 개념이다.

 

7. 롤스의 정의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평등주의적 자유주의를 지향한다.

최소극대화의 원칙을 강조한다.

무지의 베일을 가정한다.

차별적인 사회적 배제를 옹호한다.

 

8. 다음 중 사회통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특정 집단을 배제하는 것

특정 집단을 분리하는 것

차별적인 사회적 배제 없는 포괄적인 시민의 권리

제한적인 환경 조성.

 

9. 다음 용어 중 사회적 배제의 정도가 가장 약한 것은 무엇인가?

Exclusion

Separation

Integration

Inclusion

 

10. 다음은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 )에 알맞은 용어는?

보호·관리 ( ) 동반·자립

억압

배제

후원·지원

동정

 

11. 다음 중 장애인 복지에 대한 과거의 관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보호

관리

동정

자립

 

12. 다음 중 장애인을 바라보는 바람직한 태도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있는 그대로의 모습 존중

특별하게 대우

다름을 인정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

 

13. 장애인복지법25조에 명시된 사회적 인식개선에 대한 주관 부처는 어디인가?

고용노동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14.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5조의2에 명시된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교육의 주관 부처는 어디인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행정안전부

 

15. 다음 중 장애인 복지 이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인권

정상화

자기결정

차별

 

16. 다음 중 장애인 권리선언(1975)에 명시된 내용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장애인은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존중받아야 한다.

장애인은 같은 나이의 일반 시민과 동등한 기본적 권리를 가진다.

장애인은 모든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완전하고 동등하게 향유해야 한다.

장애인은 동등한 존엄성을 가진다.

 

17. 다음 중 사회통합의 개념과 가장 가까운 것은 무엇인가?

배제(Exclusion)

분리(Separation)

통합(Integration)

포용(Inclusion)

 

18. 다음 중 장애인 복지 패러다임 변화 과정에서 후원·지원단계의 특징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보호 차원의 배려

훈련과 교육 중심

지역사회 참여

동반

 

19. 다음 중 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시각이나 태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동정

봉사

극복의 대상으로 여김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존중

 

20. 다음 중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관련 법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장애인복지법25

②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5조의2

③ 「헌법10

④ 「UN장애인권리협약

 

 

정답 및 해설

  • :해설: 헌법 제10조는 모든 국민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고 명시하고 있다.

 

2. 정답:해설: 장애인은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존중받아야 한다는 내용은 장애인권리선언(1975)에 명시되어 있다.

 

3. 정답:해설: UN장애인권리협약은 장애인이 모든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완전하고 동등하게 향유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장애인으로 대우하는 사회를 실현하는 것은 정상화 이념에 어긋난다.

 

4. 정답:해설: 정상화 이념은 장애를 가진 사람을 한 사람의 인간으로 일반 생활환경 속에서 일상적 생활을 하도록 하는 사회를 지향한다.

 

5. 정답:해설: 정상화 이념은 장애인들이 억압받고 있는 갈등과 모순 관계를 설명하지 못하고, 거시적 맥락을 논의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6. 정답:해설: 자기결정은 자신에게 주어진 선택 가능성에 기초하여 자신의 삶을 스스로 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7. 정답:해설: 롤스의 정의론은 평등주의적 자유주의를 지향하며, 최소극대화의 원칙과 무지의 베일을 통해 사회정의를 추구한다. 차별적인 사회적 배제를 옹호하지 않는다.

 

8. 정답:해설: 사회통합은 차별적인 사회적 배제 없이 모든 시민이 권리를 누리는 것을 의미한다.

 

9. 정답:해설: 배제(Exclusion)는 가장 강력한 형태의 사회적 배제이며, 포용(Inclusion)은 사회 구성원으로서 완전한 참여를 의미한다.

 

10. 정답:해설: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은 보호·관리에서 후원·지원을 거쳐 동반·자립으로 변화해왔다.

 

11. 정답:해설: 과거의 장애인 복지는 보호, 관리, 동정 등의 관점에 머물러 있었으나, 현재는 자립을 지향한다.

 

12. 정답:해설: 장애인을 특별하게 대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존중하고 다름을 인정하며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해야 한다.

13. 정답:해설: 장애인복지법25조의 사회적 인식개선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한다.

 

14. 정답:해설: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5조의2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교육은 고용노동부가 주관한다.

 

15. 정답:해설: 차별은 장애인 복지 이념에 부합하지 않는다.

 

16. 정답:해설: 장애인이 모든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완전하고 동등하게 향유해야 한다는 내용은 UN장애인권리협약(2006)에 명시되어 있다.

 

17. 정답:해설: 사회통합은 포용(Inclusion)의 개념과 가장 가깝다.

 

18. 정답:해설: 지역사회 참여는 동반·자립 단계의 특징이다. 후원·지원 단계는 보호 차원의 배려와 훈련, 교육 중심의 특징을 가진다.

 

19. 정답:해설: 동정, 봉사, 극복의 대상으로 여기는 것은 잘못된 시각이며,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존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정답:해설: 헌법 제10조는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관련 법률이 아니다.

 

 

 

수정된 정답과 해설 

 

2장 장애인 복지 이념과 태도 예상문제 30

 

1. 다음 중 인간의 권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특정 집단에게만 주어지는 권리
법률로만 인정받는 권리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는 보편적인 권리
국가가 허락한 사람만 누릴 수 있는 권리

 

2. 세계인권선언 제1조의 핵심 내용은?

장애인은 배려의 대상이다.
모든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동등한 존엄성과 권리를 가진다.
시민권은 정부가 부여한다.
자유는 선천적인 것이 아니다.

 

3. 다음 중 UN 장애인권리협약(2006)의 목적에 해당하는 것은?

장애인의 격리 보호
장애인의 권리 축소
장애인의 권리 향유 및 존엄성 존중
장애인에 대한 차별 허용

 

4. 헌법 제10조에 근거한 장애인복지의 기본 이념은?

행복추구권은 비장애인만 누린다.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 행복추구권의 보장
복지는 국가가 허락한 만큼만
장애인은 예외로 취급한다.

 

5. 정상화(normalization) 개념을 최초로 제시한 사람은?

마이클 올리버
존 롤스
뱅크-미켈센
올팬스 버거

 

6. 정상화의 실현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장애아동은 가족과 함께 생활
성인은 독립 가능하도록 지원
여가는 비장애인과 동일한 수준으로 접근
모든 장애인을 시설에 수용

 

7. 정상화 개념에 대한 마이클 올리버의 비판으로 옳지 않은 것은?

서비스 통제권이 전문가에게 있다.
장애인의 갈등과 억압을 설명하지 못한다.
거시적 맥락이 고려되지 않는다.
사회참여를 강조하는 효과가 있다.

 

8. 올팬스 버거가 강조한 개념은?

자기결정
사회정의
사회적 역할의 가치화
재활모델

 

9. 자기결정의 개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자유와 자율을 포함한다.
타인의 통제를 최소화한다.
스스로 삶을 통제하는 것이다.
전문가가 전적으로 대신 결정하는 것

 

10. 자기결정권 오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자기결정은 독립적 행동 수행만을 의미한다.
자기결정은 선택행위만을 의미한다.
자기결정은 모든 프로그램에서 자동적으로 실현된다.
자기결정은 장애인의 참여를 지원하는 것이 포함된다.

 

11. 다음 중 포용(융합)’에 해당하는 설명은?

장애인을 일반 사회로부터 분리
비장애인과의 부분적 통합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구분 없이 함께 생활
장애인의 지역사회 접근을 제한

 

12.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의 변화와 관련 없는 설명은?

보호 중심에서 교육과 훈련 중심으로 변화
전문가 중심에서 자율성 중심으로 전환
재활 중심에서 자립생활 중심으로 변화
시민권 박탈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

 

13. 자기결정권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접근은?

전문가의 전면적 통제
장애인 당사자의 결정 참여 보장
모든 결정을 가족에게 일임
비장애인의 입장에서 판단

 

14. 다음 중 '자기결정 능력''자기결정권'의 구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자기결정 능력이 없으면 자기결정권도 없어야 한다.
자기결정권은 능력과 무관하게 존중되어야 한다.
자기결정권은 전문가에 의해 위임되는 권리다.
자기결정권은 지적장애인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15. 다음 중 장애인권리선언(1975)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장애인은 동등한 존엄성을 지니지 않는다.
장애인은 시민과 동일한 기본권을 가진다.
장애인은 사회참여가 제한되어야 한다.
장애인의 권리는 국가가 임의로 정한다.

 

16. 다음 중 배제(exclusion)의 상태는?

장애인이 지역사회 내에서 함께 생활
장애인이 완전히 분리된 시설에 거주
장애인이 지역사회 내에 있지만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구분 없이 생활

 

17. 다음 중 올팬스 버거가 제시한 개념은?

정상화의 비판
서비스 전달 체계의 확대
사회적 역할의 가치화
재활 패러다임 강조

 

18. 사회정의 실현을 위해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인간의 존엄성 보장
소득에 따라 복지서비스 결정
권리와 참여의 보장
공평한 부담과 필요 기반의 서비스 제공

 

19. 다음 중 무지의 베일과 관련 있는 사상가는?

마르크스
플라톤
롤스
뒤르켐

 

20.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태도의 형성 원인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의사소통의 어려움
장애인에 대한 정보 부족
가족 내에서의 제한적 경험
장애인의 능력에 대한 정확한 인식

 

21. 다음 중 재활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장애인을 수동적 존재로 간주한다.
변화의 중심은 전문가이다.
장애인의 역량 강화를 중시한다.
장애인을 의존적 존재로 본다.

 

22. 자립생활모델의 중심 철학은?

전문가 통제
재활 중심
권한 부여와 역량 강화
시설 중심 생활

 

23. 다음 중 사회통합을 위한 환경이 아닌 것은?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거주
소규모 가족 형태의 배치
장애인의 서비스 참여 보장
장애인만의 별도 사회 구성

 

24. 장애인복지서비스 제공 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제공자 중심의 서비스 구성
지역사회 요구보다는 중앙정부 기준
장애인의 욕구와 필요 기반 서비스
가족의 경제력 중심 서비스 제공

 

25. 다음 중 전환계획회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자기결정 프로그램이다.
선택행위를 강제하는 방식이다.
장애학생이 자기결정 기술을 배우는 도구이다.
보호자 중심 의사결정 도구이다.

 

26. 다음 중 시민권 모델에 해당하는 내용은?

장애인을 보호 대상으로 간주
권리와 참여의 보장 강조
전문가 중심 서비스 강화
복지제도 제한 중심 사고

 

27. 다음 중 정상화 개념과 가장 밀접한 것은?

특수교육시설 강화
지역사회 내 생활 일반화
시설 중심 보호
전문가 치료 중심 체계

 

28. 사회정의의 핵심 가치가 아닌 것은?

공정한 기회 제공
인간 존엄성 보장
선택적 복지 확대
소외 계층 배려

 

29.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장애 체험 활동
장애 관련 정보 제공
장애인의 능력 평가절하
장애인과의 접촉 강화

 

30. 다음 중 분리(separation)’ 상태에 해당하는 설명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동일 환경에서 생활
장애인만의 별도 공간에서 생활
지역사회 내 거주하나 제약이 존재
구분 없이 통합된 생활을 추구

 

--------------------------------------------------------------

 

제2장 장애인 복지 이념과 태도 정답 및 해설

1 ③ 인간의 권리는 보편적이며,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는 권리입니다.
2 ② 세계인권선언 제1조는 “모든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동등한 존엄성과 권리를 가진다”고 명시합니다.
3 ③ UN 장애인권리협약의 목적은 장애인의 인권과 존엄성을 존중하고 보장하는 것입니다.
4 ② 헌법 제10조는 모든 국민의 인간 존엄성과 행복추구권을 보장합니다. 장애인도 포함됩니다.
5 ③ 정상화 개념은 뱅크-미켈센(Bank-Mikkelsen)이 처음 제시했습니다.
6 ④ ‘모든 장애인을 시설에 수용’은 정상화 개념에 반하는 내용입니다.
7 ④ 올리버는 정상화 개념의 한계로 사회참여 강조 효과를 비판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거시적 관점의 결여 등을 지적했습니다.
8 ③ 올팬스 버거는 '사회적 역할의 가치화'를 강조했습니다.
9 ④ 자기결정은 전문가가 대신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이 스스로 선택하는 것입니다.
10 ④ 자기결정은 단순한 행동이나 선택이 아니라, 장애인의 참여를 지원하는 것입니다.
11 ③ ‘포용’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구분 없이 함께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것을 뜻합니다.
12 ④ 시민권 박탈을 강조하는 것은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변화와 무관합니다. 오히려 시민권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13 ② 자기결정 실현을 위해서는 장애인 당사자의 참여가 반드시 보장되어야 합니다.
14 ② 자기결정권은 능력과 관계없이 존중되어야 할 기본 권리입니다.
15 ② 1975년 장애인권리선언은 장애인이 일반 시민과 동등한 권리를 가짐을 명시했습니다.
16 ③ ‘배제’는 지역사회 내에 있지만 실질적인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17 ③ 올팬스 버거는 ‘사회적 역할의 가치화’ 개념을 강조했습니다.
18 ② 사회정의는 소득이 아니라 ‘욕구와 필요’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19 ③ 롤스는 '무지의 베일'을 통해 공정한 정의의 원칙을 주장했습니다.
20 ④ 장애인의 능력을 정확히 인식하는 것은 부정적 태도의 형성과 관련 없습니다. 오히려 긍정적 이해를 돕습니다.
21 ③ 재활모델은 개인의 변화를 요구하며, 역량 강화보다는 전문가 주도의 접근입니다.
22 ③ 자립생활모델은 권한 부여와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합니다.
23 ④ ‘장애인만의 별도 사회’는 통합이 아닌 분리 개념에 해당합니다.
24 ③ 장애인복지서비스는 제공자의 기준이 아닌, ‘장애인의 욕구와 필요’에 따라야 합니다.
25 ③ 전환계획회의는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아니라, 자기결정 기술을 연습하는 도구입니다.
26 ② 시민권 모델은 권리와 참여 보장을 핵심으로 합니다.
27 ② 정상화는 지역사회 내에서의 생활 일반화를 중시합니다.
28 ③ 사회정의는 선택적 복지가 아니라, 모두에게 공정하고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29 ③ 장애인의 능력 평가절하는 인식 개선에 부정적 영향을 줍니다.
30 ② ‘분리’는 장애인만의 별도 공간에서 생활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장애인복지론 #장애인복지 #예상문제

 
  • ?
    뚜기뚜기 2025.04.10 10:46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헤이나야 2025.04.10 10:51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쫑아hope 2025.04.10 13:42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냇물 2025.04.10 14:05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플라워피그 2025.04.10 14:25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숲길잡이 2025.04.12 11:16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도리캣 2025.04.10 15:38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깽이 2025.04.10 18:05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소녀별 2025.04.10 18:50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개미지옥 2025.04.10 22:47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팡스타 2025.04.11 01:26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트리풀 2025.04.13 07:04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햇님달님 2025.04.13 09:52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크리스티나 2025.04.16 10:32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공부진심 2025.04.21 13:03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 ?
    권정아 2025.04.23 13:09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필독) 공지 모음 / 코인(포인트) 얻는 방법 및 입문서 417 게시판관리 6426 0 2022.12.24
공지 커뮤니티를 홍보하고 포인트를 적립해보세요 73 게시판관리 2904 0 2023.09.20
공지 글쓰기 에디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34 file 게시판관리 2323 2 2024.03.11
4037 질문 사회복지학개론 출석과제물 질문해도 될까요? new 큐이 50 0 2025.04.25
4036 일반 안녕하세요^^ 볼트 59 0 2025.04.25
4035 일반 포인트 8 공마음 89 3 2025.04.25
4034 일반 저희 기말시험이 객관식으로 나오나요? 15 메용리 169 1 2025.04.24
4033 일반 망했어요 11 럭키화 320 5 2025.04.24
4032 질문 3학년 편입생인데요...직장인 주말실습 구할수있을까요?? 8 헤이나야 188 0 2025.04.24
4031 일반 실습 제본 시간빠듯해요 5 rkaksl 193 1 2025.04.24
4030 일반 빈곤론 기말 강의연습문제 12 file Hiroo 123 6 2025.04.24
4029 일반 기말시험 힘 네세요 !! 2 라벤더님 125 5 2025.04.24
4028 질문 사회복지역사 출석수업 시 교재 지참 문의 5 이수박 96 1 2025.04.24
4027 3학년 프로그램개발과 평가 제2장 예상문제 감사합니다. 해솔 76 1 2025.04.24
4026 3학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기말준비자료 13 file 템페스트 181 6 2025.04.23
4025 질문 사회복지 기말 시험 순서 추천해주세요 6 벼락치기 216 2 2025.04.23
4024 일반 (배포용)사회복지와 인권 1-15강 요점정리 입니다. 21 file 조둘리 178 6 2025.04.23
4023 실습 실습처 구함( 경기도 광교근처) 1 허흰둥 71 1 2025.04.23
4022 3학년 기출이 없어서 공부하기 힘드네요 9 SAPPOON 269 3 2025.04.23
4021 질문 사회복지학과 현장실습처 관련 문의 SAPPOON 71 1 2025.04.23
4020 질문 기말인데.... 책을 사야할까요?? 5 헤이나야 160 0 2025.04.23
4019 질문 사회복지와 인권 워크북 답 오류....?? 2 럭키화 127 0 2025.04.23
4018 질문 기말시험 과목 문의 5 xxxxg 140 1 2025.04.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2 Next
/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