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사회복지와 프로그램의 이해
✅ 4지선다형 예상문제 (30문항)
1. 다음 중 Romanyshyn(1971)이 정의한 사회복지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사회문제의 예방과 치료
B. 인적 자원의 개발
C. 개인의 경제적 자립만을 위한 정책
D. 인간생활의 향상
2. Friedlander와 Apte의 사회복지 정의에서 강조한 요소는?
A. 순수 민간 지원만 포함됨
B. 사회적 욕구 충족을 위한 시책, 프로그램, 급여, 서비스
C. 개인의 자립을 위한 정신적 상담
D. 국가가 아닌 자선단체의 역할
3. 국내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한 사회복지 개념은?
A. 경제적 자립
B. 사회통제
C. 인간의 행복과 공동체적 노력
D. 시장의 효율성
4. 사회복지 발달사 중 사회보험 시대의 특징은?
A. 빈민에 대한 자선 중심
B. 시민권 기반의 복지
C. 노동자를 위한 산업화 대응
D. 가족 중심의 보편적 복지
5. 복지국가 시대의 대표적 변화는?
A. 자선 중심에서 교회 중심으로
B. 시장 기능의 완전한 제거
C. 시민단체의 등장과 사회경제정책 도입
D. 빈민에게만 제한된 지원
6. 다음 중 자유주의 복지국가의 특징이 아닌 것은?
A. 시장 중심
B. 자조와 자립 강조
C. 높은 급여 수준
D. 취약계층 중심 수급
7. 보수주의 복지국가에 해당하는 국가는?
A. 미국 B. 스웨덴 C. 독일 D. 캐나다
8. 사민주의 복지국가의 가치로 옳은 것은?
A. 전통과 질서 B. 경쟁과 자립 C. 평등과 연대 D. 시장 효율
9. 프로그램(program)의 어원으로 맞는 것은?
A. 라틴어 legis B. 헬라어 graphein C. 영어 propose D. 라틴어 ratio
10. 다음 중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정의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무작위적 활동의 나열
B. 목적을 위한 계획된 활동
C. 조직적이고 구조화된 활동
D. 클라이언트의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
11. 대상별 프로그램의 예로 옳은 것은?
A. 재원 출처 분석
B. 지역사회 캠페인
C. 노인을 위한 건강체육 프로그램
D. 프로그램 모니터링
12. 제공방식에 따라 구분된 프로그램 중 직접 제공에 해당하는 것은?
A. 상담 프로그램 B. 기부자 관리 C. 회계 정산 D. 후원물품 발송
13. 프로그램의 목적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A. 행정 효율
B. 클라이언트 삶의 질 향상
C. 정부 예산 절감
D. 단체 명성 제고
14.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의 1단계는?
A. 활동평가 B. 실행계획 C. 문제 확인 및 욕구사정 D. 결과 보고
15.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신청사업은 자유주제 공모 형태이다.
B. 기획사업은 지정 주제에 따른다.
C. 긴급지원사업은 신청 시기 제한이 없다.
D. 모든 사업은 연속지원이 가능하다.
16. 프로그램 사업과 기능보강 사업의 주요 차이는?
A. 지원 금액
B. 신청 방식
C. 지원 대상
D. 프로그램 중심 vs 장비·보수 중심
17. 사회복지의 두 가지 관점은?
A.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B. 시장주의와 계획경제
C.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D. 개인주의와 전체주의
18. 잔여주의의 기본 가치가 아닌 것은?
A. 자조B. 자립C. 근면D. 평등
19. 제도주의의 자유 개념은?
A. 소극적 자유B. 자유 제한C. 시장 자유D. 적극적 자유
20. ‘능력에 따라 부담하고, 낸 만큼 사용’은 어떤 관점?
A. 잔여주의 B. 제도주의 C. 실용주의 D. 상대주의
21. 제도주의 관점에서 중시하는 세제 형태는?
A. 간접세 B. 정률세 C. 누진세 D. 면세
22. 사회복지를 권리로 보는 관점은?
A. 잔여주의 B. 제도주의 C. 시장주의 D. 자선주의
23.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정기탁사업의 특징은?
A. 기부자의 의사와 무관
B. 기부자가 배분지역·대상·용도를 지정
C. 정부의 필수 지원
D. 무조건 연속지원
24. 사회복지 기획의 속성이 아닌 것은?
A. 미래지향성B. 연속성C. 무계획성D. 목표지향성
25. 프로그램 기획과 계획의 차이점으로 맞는 것은?
A. 기획은 결과 중심
B. 계획은 과정 중심
C. 기획은 계속적 과정, 계획은 구체적 실행안
D. 기획은 고정된 행동
26.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신청사업’은 다음 중 어떤 것인가?
A. 정부 지시형
B. 주제 지정형
C. 긴급 지원형
D. 자유 주제 공모형
27.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의 마지막 단계는?
A. 활동 구체화B. 실행C. 평가D. 대상자 조사
28. 제도주의 관점의 세금 운용 원칙은?
A. 간접세 중심
B. 능력에 따라 납부, 필요에 따라 사용
C. 기부 우선
D. 소득에 관계없이 균등 납부
29. 잔여주의 관점에서 수혜자는 어떻게 인식되는가?
A. 시민의 권리로 인식
B. 공동체의 구성원
C. 낙인이 부여됨
D. 변화의 주체
30. 다음 중 프로그램 기획자의 역량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모험 정신
B. 명확한 목표 설정
C. 기록 회피
D. 동기 부여 능력
----------------------------------------------------------
4지선다형 정답 및 해설
1. C– Romanyshyn은 인간 생활의 향상과 인적 자원의 개발을 강조하였으며, 단순한 경제 자립에만 초점을 두지 않음.
2. B– Friedlander와 Apte는 사회복지를 사회적 욕구 충족을 위한 시책, 프로그램, 급여, 서비스로 정의함.
3. C– 국내 학자들은 인간의 행복과 공동체적 노력을 강조.
4. C– 사회보험은 산업화와 함께 노동자 보호 목적에서 출발.
5. C– 시민단체 등장과 사회경제정책이 복지국가 시대의 변화.
6. C– 자유주의 복지는 급여 수준이 낮고 최소 지원 원칙.
7. C– 독일은 보수주의 복지국가 대표 사례.
8. C– 사민주의 복지는 평등과 연대를 강조.
9. B– program은 헬라어 graphein(쓰기, 기록)에서 유래.
10. A– 무작위적 활동은 프로그램 정의에 부합하지 않음.
11. C– 아동, 노인, 여성 등 대상별로 설계된 프로그램 예시.
12. A– 직접 제공은 상담, 교육, 훈련 등 서비스 중심.
13. B–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 향상이 목적.
14. C– 문제 확인과 욕구 사정이 기획의 첫 단계.
15. D– 모든 사업이 연속지원 가능한 것은 아님.
16. D– 기능보강은 장비, 보수 중심 / 프로그램 사업은 서비스 중심.
17. C– 사회복지 관점은 잔여주의와 제도주의로 구분.
18. D– 평등은 제도주의 관점에서 강조됨.
19. D– 제도주의는 적극적 자유(기회의 평등, 조건의 평등)를 중시.
20. A– 능력에 따라 부담, 낸 만큼 사용하는 원리는 잔여주의.
21. C– 제도주의는 소득 재분배 기능이 있는 누진세 선호.
22. B– 제도주의는 사회복지를 권리로 본다.
23. B– 지정기탁사업은 기부자가 지역, 대상, 용도를 지정.
24. C– 기획은 무계획성과 반대되는 개념.
25. C– 기획은 방향 설정, 계획은 구체적 실행안 수립.
26. D– 신청사업은 자유 주제 공모 형식.
27. C– 프로그램 기획 마지막 단계는 평가.
28. B– 제도주의는 능력에 따라 납부, 필요에 따라 사용 원칙.
29. C– 잔여주의는 수혜자에게 낙인 부여 경향.
30. C– 기록을 회피하는 태도는 기획자에게 부적절함.
---------------------------------------------
#사회복지 #프로그램개발 #프로그램평가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