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솔직히 강의듣고, 교재,워크북 보고
기출 풀기까지 하려면 시간이 부족해서
AI활용 해볼 생각은 못해봤습니다.
물론 AI에 대한 상반된 평가에 대해서는
저도 대략적으로는 알고 있는데요..
(잘 모르면 지어내기도 하는 등의 거짓말 같은 거..
정리를 잘해주는 거 잘 이용하면 분석이나 시간 단축 효과도 있다는 거..)
AI 활용하려면 검증도 필요할 거 같고
오히려 시간을 더 많이 투자해야 할까봐 좀 걱정되기도 해서요.
(제가 아직 신뢰가 없기도 해서요..)
근데 활용해신 분들이 긍정적 반응이시면
좀 활용해볼까 싶은 마음도 있긴 해서..
이번 학기 사용해보신 분들의 후기가 궁금합니다.
어떤 AI를 어떻게 활용하셨는지 방법과 그에 대한 평가나 느낌 소개 해주신다면
저도 어떻게 써볼지 궁리해보는데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어렵게 생각하실 것 없어요. 처음 챗지피티 대화창에 강의록 전부와 커뮤니티 요약정리파일, 기출문제 파일을 올리면서 " *** 과목 강의록과 해당 기출문제이다. 기출문제의 수준과 내용을 바탕으로 강의 내용 중에서 핵심적으로 봐야할 것 정의해줘." "n강은 뭘 중심으로 들으면 좋을까?" "1~2강까지 간단 ox 퀴즈 내봐" 이런 식으로 그냥 같이 공부하는 전교1등이라 생각하시고 대화하시면 돼요.
퀴즈 내봐라 하면 10문제쯤 내줍니다. 그냥 과외선생님 한 명 붙잡고 대화한다고 생각하고 대화하세요. ~~~ 개념은 ~~~~ 맞지? 이러면 주변지식도 자기가 알아서 끌고 와서 설명해줍니다. 혼자 공부하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입니다. 다만 중간에 말 지어낼 때 있는 것 맞고, 채점 틀리게 할 때는 은근히 많아요. 내가 맞았는데 틀렸다고 하는 식.. 그래서 내가 수업 듣고 공부하는 거랑 반드시 병행하셔야 하고요. 중간중간 내가 올린 강의록 내용에 맞는지 확실히 점검해달라 요구하세요. 대화 길어지면 말 지어내니까.. 그리고 시험기간 며칠 안 남아서 이 대화를 시작하시는 건 비추합니다. 시험기간에 새 자료를 보면 혼란스럽더라고요.
그리고 시험 첫 주 지나면 커뮤니티에 이런저런 문제 출제됐다고 글 올려주시잖아요. 그거 그냥 그대로 복사해서 "시험에 이런 문제 나왔대. 이거 중심으로 핵심정리해줘"하면 또 요약해주고 퀴즈도 내줄까? 그런 식으로 알아서 제안도 해줘요. 걔가 강의록 내용 다 습득했기 때문에 점검 돼요. 그리고 시험 직전 30분 동안 볼 핵심만 정리해줘 등등... 그냥 과외선생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화창 하나를 그 과목 전용으로 대화를 이어가셔야 합니다. 저는 전공 6개 들어서 대화창 6개 돌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