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과 학생 게시판

조회 수 90 추천 수 0 댓글 0

좋습니다. 😊 Charles님이 다른 분들에게 쉽게 전할 수 있도록, 인문학적 시선으로 풀어낸 칼럼 형태로 작성해드릴게요.


‘나태(Idleness)’라는 오해 ― 베버리지 보고서의 숨은 맥락

1942년, 영국의 경제학자이자 사회개혁가였던 윌리엄 베버리지는 세계사를 바꾼 한 권의 보고서를 내놓았다. 이른바 베버리지 보고서(Beveridge Report)다. 여기에서 그는 인간다운 사회를 가로막는 다섯 가지 ‘사회 악’을 지목했다. 궁핍(Want), 질병(Disease), 무지(Ignorance), 불결(Squalor), 그리고 마지막 하나 ― 나태(Idleness)였다.

오늘날 우리는 ‘idleness’를 곧잘 ‘게으름’으로 번역한다. 그래서 베버리지가 왜 개인의 게으름을 사회악으로 지목했는지 고개를 갸우뚱하기도 한다. 하지만 사실 그가 말한 Idleness는 결코 개인의 태만을 뜻하지 않았다.


‘게으름’이 아닌 ‘강제된 무위’

20세기 초 영국 사회에서 idleness라는 단어는 지금보다 훨씬 넓은 의미를 지녔다. 단순히 “게으른 성향”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일을 하지 못하는 상태’, 곧 무위(無爲)를 가리키는 중립적 표현이었다.

특히 베버리지는 Enforced Idleness ― “강제된 무위”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이는 곧 실업을 의미한다. 중요한 점은, 실업이 단순히 개인의 능력 부족이나 게으름 탓이 아니라, 사회 구조가 만들어낸 결과라는 사실이다. 베버리지는 “일하고 싶지만 일자리가 없는 상태”를 사회악으로 규정한 것이다.


국가의 책임을 강조하다

왜 하필 ‘idleness’였을까?
당시 영국에서는 실업자를 향한 도덕적 낙인이 강했다. “일하기 싫어서 노는 게 아니냐”는 편견이 사회 전반에 퍼져 있었던 것이다. 베버리지는 바로 이 지점을 뒤집었다. 그는 ‘idleness’를 사회악으로 지목하면서, 그 원인이 개인의 게으름이 아니라 일자리를 제공하지 못하는 사회 구조에 있음을 강조했다.

즉, idleness라는 단어 선택은 실수가 아니라 전략적 언어 사용이었다. 베버리지는 “국가가 완전고용을 책임져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지기 위해 이 단어를 사회악의 자리에 올려놓았다.


오늘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

베버리지가 Idleness라 부른 것은 결국 “일할 기회를 주지 않는 사회의 게으름”이다. 그에게 있어 진짜 나태는 개인의 습성이라기보다, 일할 능력과 의지가 있는 사람들을 방치하는 사회의 태도였다.

80여 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여전히 같은 질문 앞에 서 있다. 청년 실업, 비정규직, 구조적 불평등 속에서 우리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강제된 무위’로 내몰고 있는가? 그리고 그 책임을 개인의 탓으로 돌리고 있지는 않은가?


맺으며

베버리지가 남긴 교훈은 단순하다. “게으른 개인”을 탓하기 전에, 그가 왜 일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는지를 물어야 한다. Idleness라는 단어가 품은 역설은, 오늘 우리의 사회정책과 노동 문제를 다시 돌아보게 하는 묵직한 울림을 준다.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과 학생 게시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필독) 공지 모음 / 방송대 커뮤니티 포인트 얻는 방법 및 입문서 417 게시판관리 8178 0 2022.12.24
공지 방송통신대학교 커뮤니티 홍보하고 포인트 적립하자! 73 게시판관리 3622 0 2023.09.20
공지 🎖 활동 메달 안내 및 기준 14 게시판관리 573 24 2025.07.30
공지 [공지] 글작성 상단 ChatGPT 에디터 기능 오픈 안내 7 nothregz 5518 0 2025.09.15
5750 일반 2020년 1헉기 사회복지학과 개설 교과목표 7 file 자동로봇 1861 2 2020.12.28
5749 4학년 노인복지론ㆍ사례관리론 출석대체시험 26 file 자동로봇 4258 4 2020.12.28
5748 1학년 사회복지개론 요점정리 140 file 자동로봇 9180 14 2020.12.30
5747 3학년 [사회복지와 인권] 강의 연습문제 & 정리하기 126 file 자동로봇 14858 13 2020.12.30
5746 3학년 [사복3] <장애인복지론> 2021년 기말셤 대비 종합문제 79 file 자동로봇 7776 20 2020.12.30
5745 3학년 [사복3]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2020년판 종합해설(2021년까지 유효) 51 file 자동로봇 5089 7 2020.12.30
5744 3학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전체 강의록) 37 file 자동로봇 3464 5 2020.12.30
5743 3학년 청소년 지도방법론 1-5강 요약 2 file 자동로봇 817 1 2020.12.30
5742 3학년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종합문제(153문항) 87 file 자동로봇 9310 10 2020.12.30
5741 1학년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연습 및 기출문제 (해설포함) 106 file 자동로봇 14931 10 2020.12.30
5740 3학년 장애인복지론 기출문제(교재페이지표시) 90 file 자동로봇 13326 10 2020.12.30
5739 3학년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평가 기출문제(교제페이지표시) 55 file 자동로봇 9182 6 2020.12.30
5738 3학년 2020년 사회복지법제와 실천과목 교재 18 file 자동로봇 1668 0 2020.12.30
5737 4학년 [가족복지론] 노트 & 강의 연습문제 28 file 자동로봇 5558 9 2020.12.30
5736 3학년 빈곤론 학습정리 및 연습문제 (1~14강, 수정본) 76 file 자동로봇 9350 6 2020.12.30
5735 4학년 사회복지행정론 기말시험 출제경향 124 file 자동로봇 15779 9 2020.12.30
5734 4학년 4-2 기말 셤 연습문제 사회복지정치학 37 file 헤비업로더 6622 3 2020.12.30
5733 4학년 4-2 학습자료 [사복, 가복, 교육4] 노인복지론 기말시험요약본 재정리 36 file 헤비업로더 8695 3 2020.12.30
5732 4학년 4-2 학습자료 [사복, 가복, 교육4] 노인복지론 워크북문제 49 file 헤비업로더 10458 6 2020.12.30
5731 4학년 2학기 사회복지문화다양성 연습문제 및 기말시험 (해설포함) 43 file 헤비업로더 6327 3 2020.12.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88 Next
/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