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사회(Strong Society) 핵심 개념 정리
1. 기원 및 이념 (Origin & Ideology)
-
모델: 1920년대 스웨덴의 '국민의 집(Folkhemmet / People's Home)' 모델
-
핵심 개념: 산업 사회에서의 집단적 연대 (Collective Solidarity)
-
핵심 목표: 개인의 행복을 위한 공적 책임 강화
-
국가의 역할: 강력한 사회를 만드는 '복지 요람' (Welfare Cradle) 역할 수행
-
초점: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체 건설 (Community building)
2. 주요 정책 및 실행 (Key Policies & Implementation)
-
정책 기반: 베버리지 보고서(Beveridge Report)의 시민 복지 기준
-
5대 악(Five Giants) 척결
-
결핍 (Want): 소득 보장 (Income Security)
-
무지 (Ignorance): 공교육 (Public Education)
-
질병 (Disease): 공공 의료 (Public Healthcare)
-
불결 (Squalor): 공공 주택 (Public Housing)
-
나태 (Idleness): 고용 보장 (Employment Provision)
-
-
-
공동체의 역할: 국가의 힘을 보장하는 역할 (Ensure State Strength)
-
활동: 국가의 역할 축소를 막는 사회적 행동 (Preventing state role reduction)
-
목표: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 보장 (Secure minimum human livelihood)
-
-
학습/저항의 장: 공동체를 민주적 학습과 행동의 장으로 활용
-
국가의 역할이 축소될 때 저항하고 도전하는 공간
-
3. 시민 역량 강화 및 교육 (Citizen Empowerment & Education)
-
시민의 지위: 단순 수혜자가 아닌 시민권(Civil Rights)을 가진 권리 주체
-
교육 초점: 민주시민교육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
교육 방법: 스터디 서클 / 학습 동아리 (Study Circles / Learning Associations)
-
결과: 높은 유권자 투표율 등 높은 수준의 정치 참여 (High Political Participation)
-
개념 연결: '국민의 집' 모델과 연결
-
목표: 집단적 의사결정 / 합의 정치 (Collective decision-making / Consensual Politic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