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론에서요 1차 현장을 잡아야 하는거자나요,
1차현장이라고 하면 책에서
1차현장은 기관의 일차적 기능이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사회복지사가 중심이 되어 활동하는 실천현장이다.
지역사회의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 복지관, 노인복지관, 사회복귀시설
2차현장은 기관의 일차적 기능은 따로 없으며, 필요에 의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천형장으로 , 의료기관, 학교,교정시설.주민센터등이 속한다
라고 되어 있어요
그럼 1차현장은 지역사회의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 복지관, 노인복지관, 사회복귀시설 요런것으로 정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다른분들이 댓글에 달린글을 보면은 생활시설을 이용해야 한다고 하는데
생활시설, 이용시설은 주거서비스 제공여부를 나누는거자나요.
사회복지실천 현장 유형분류는1. 기관의 기능및 목적 (1차현장, 2차현장) 2.주체 (공공기관. 민간기관)
3.서비스 제공방식(서비스기관, 현정기관), 4 주거서비스 제공여부(생활시설, 이용시설) 5. 이윤추구 여부(영리기관, 비영리기관)으로 나누어 지는거고
지금말하는거는 기관의 기능및 목적 으로 분류했을때 물어 보는게 아닌가 해서요.
왜 생활시설이용이 되는곳만 해야 하는지 잘모르겠어요
그럼 이문제 답이 종합사회복지관이 될수가 없자나요,
종합사회복지관은 생활시설이 아니고 이용시설이니깐요..
아시는분 좀 알려주세요...
레포트 써야 되는데 답답해서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