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과목 2018년~2019년 기말시험 기출문제입니다.
문제항목별로 관련 교재페이지를 표시해 놓았습니다.
기출문제 풀어보시면서 관련 내용 찾아보기 편하시라고 만들어 보았습니다.
자료 일부
|
2과목 |
프로그램개발과평가 |
(36~70) |
|
|
출제위원:방송대 최미영 |
|
||
출제범위:멀티미디어강의 1~14강, 강의록 1~14강 |
||||
|
|
|
36. 다음 중 사회복지 프로그램 실천을 안내해 주는 확고한 신념으로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의 실천 과정에서 사회복지사가 지녀야 할 정신적 목표와 가장 가까운 것은? p.6
① 가치 ② 목표
③ 지식 ④ 환경
37. 로마니쉰(1971)의 국가발전 단계에 따른 사회복지 프로그램 관점의 변화로 옳은 것은? p.17
① 제도적에서 - 잔여적으로
② 빈민구제에서 - 복지사회 구현으로
③ 시민의 권리에서 - 자선으로
④ 사회개혁에서 - 개인의 변화로
38. 사회복지 프로그램 책무성의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p.26
① 서비스의 질
② 전문직의 능력
③ 공급체계 중심
④ 프로그램 효과성
39. 다음 중 대표적인 영유아보육시설의 유형은? p.62
① 아동양육시설
② 지역아동센터
③ 아동보호전문기관
④ 어린이집
40. 한국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발달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① 일제 강점기 : 식민정책의 일환으로 자선의 의미가 강했다.
② 미 군정기 :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외원 단체의 활동으로 활발했다.
③ 6.25 전후 : 토착 민간 사회복지기관이 프로그램을 전개했다.
④ 1960년대 : 토착 민간 사회복지기관의 활동이 활발했다.
p.77~79
41. 다음 중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p.93~94
① 프로그램의 대상에 따라 유형을 구분한 것은 대상별 프로그램이다.
② 실제로 가장 유용하게 활용되는 유형은 대상별 프로그램이다.
③ 일회성 프로그램은 주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들이다.
④ 대부분의 사회복지적 문제는 연속성을 갖는 경우가 많다.
42. 프로그램 활동의 직접적인 생산물, 완성된 업무량, 실적 등과 관련된 프로그램 구성요소는? p.109
① 투입 ② 전환
③ 산출 ④ 성과
43. 연속성 프로그램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p.101
① 다수를 대상으로 정하는 이벤트성 행사에 적합하다.
② 집중적이어서 홍보에 유리하다.
③ 단순한 목적을 가진 캠페인성 활동에 활용된다.
④ 몇 개의 단위 프로그램이 연속적으로 일어난다.
44. 프로그램 개발의 논리적 경로를 제공하여 프로그램 개발 경험이 없는 초심자들도 쉽게 프로그램 개발을 할 수 있는 모델은?
① 통합적 모델
② 선형적 모델
③ 비통합적 모델
④ 비선형적 모델 p.134~135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로그인 후에 바로 열람 가능합니다